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레이니아 May 08. 2017

홍성태, 배민다움, 북스톤, 2017

나음, 다름, 다움

어영부영 또 한 달이 지나갔다. 읽어나간 책은 많은데, 독서노트는 더디다. 핑계를 대보자면 독서노트 말고도 내보내야 할 글이 너무 많았다. 읽기는 그대로인데 써야 할 글은 곱절로 늘고 있으니, 밑천도 비어가고 바닥이 드러날까 글을 쓰며 늘 걱정이 된다.


어쨌든, 모두가 같이 읽기로 했던 그 책.

연휴를 맞아 짧게 정리했다.




그러니까 이 책을 읽고 혹자는 위선적인 내용이 판을 친다고 했었다. 위선의 수준에 오른 것일지는 모르겠으나, 어쨌든 이 책은 '배민'이라는 회사를 칭찬하려는 목적에서 나온 건 확실하다. 애초에 이 회사에 매료되지 않았으면 이렇게 책을 쓰겠다고 저자가 덤비지도 않았을 테니까.


가령 중간중간 보면 실패 사례도 등장한다. 그러나 많지는 않다. 글 중간에 나온 '우리는 실패 사례를 더 많이 이야기한다.'는 말과는 대조적이다. 그리고 실패 사례를 저자가 비판하는 게 아니라 배민이 직접 비판하고 그 결과만 전할 뿐이다. 그러니 결국 실패 사례도 실패 사례를 드러낼 정도로 솔직하다, 혹은 이 실패를 바탕으로 이만큼 성장했다.는 표현에 그친다.


책의 목적이 비평이라기보다는 (호감을 갖고 적은) 분석에 가깝다. 그러니 다른 책도 마찬가지겠지만, 이 책은 독자가 의도를 파악하고 더 비판적으로 독해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위선적이니 아니니 하는 평가가 내용 이해와 관련해 큰 의미가 있다곤 생각지 않는다.


그래서, 왜 우린 못하는데?


책을 읽고 나면 머릿속에 남는 질문이다. 그러나 이 질문은 허공을 맴돈다. 배민처럼 한다는 게 배민의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배민처럼 매출을 내고 싶다는 건지, 배민과 같은 결과물을 내고 싶다는 것인지. 어디에 초점을 두느냐에 따라서 그 '왜'를 찾을 수 있을 듯하다.


마케터의 입장에서, 콘텐츠 제작자의 입장에서, 회사 운영자의 입장에서 이해하는 바는 각기 다르겠으나 콘텐츠를 제장하는 상황에서 배민과 같은 콘텐츠를 어떻게 하면 만들어낼 수 있을지 고민해본다.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려면 아무도 만족할 수 없고, 단 한 사람을 제대로 만족시키면 모두가 만족한다'입니다. 모두에게 맞추려고 하는 순간, 누구도 만족시킬 수 없을 거예요. (p.74)


간단하고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걸 믿고 꾸준히 가는 것. 그리고 이걸 믿어주는 사람을 만나는 게 간단한 일은, 그리고 당연한 일은 더욱 아니다. 저렇게 표현하고 있으나 막상 배민이 콘텐츠를 제작하는 환경은 꽤 혹독하다. 마감에 쫓기고 늘 일손이 달리게 일한다. 하지만 배민이 지속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책에서는 구성원이 충분히 만족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를 한다.


내·외재적 보상이 구성원에게 충분한 동기부여가 되고, 이 힘이 격무와 씨름하면서도 매력적인 콘텐츠를 창출해나간다는 이야기가 있다. 하지만 좀 더 생각해보면 내·외재적 보상. 이른 바 강화(reinforce)를 이용해 동기부여에 접근하는 것은 인간의 인지의 안티명제다. 이러한 분석은 인간의 복잡한 인지구조를 너무나 단순하게 재단해버린다. 이런 분석이 올바르다고는 생각지 않는다.


새로운 모델을 찾기 위해서는 계속 스윙을 해야만 뭐가 맞는지를 알 수 있어요. (p.80)


일하는 개개인을 분석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에 이를 논하는 것은 '배민다움'이라는 책에서 적절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결국 남는 건 결과물에 관한 태도였다. 밑줄 친 하나의 '완벽한 팬' 찾기. '지속적인 스윙'. 이러한 노력과 시기, 운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려 멋진 결과물이 빛을 본다.


결과물을 내는 것은 인고의 세월을 견디고 언젠가 될 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갖고 꾸준히 뭔가를 만들어내는 것이라는 당연한 결과에 도달했다. 그래서 조금 허무했다. 기억할 만한 문장. 염두에 둬야겠다는 태도를 몇 개 건져낸 것 외엔 남는 게 마땅히 없었다. 이만큼이라도 얻은 걸 만족해야 하나 싶다.


책을 읽으면서 불쑥불쑥 떠오르는 반항적인 생각. 이를테면,

'쟤네들은 때를 잘 만나서 저래'
'쟤네가 성공한 건 쟤네라서 그렇지'
'칼같은 규칙? 그것도 저런 결과물이 나오니까 할 수 있는 거야'

와 같은 이야기는 결국 여우가 포도를 보며 입맛다시는 이야기밖엔 되지 않을 것이다. 결과론적으로 배민은 어떻게든 매출이라는 눈에 보이는 성공을 이뤘고, 결과물이 '고급스러운 B급'이라는 프레임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그리고 나는 아니고.

그래서 오늘도 내 안에 밑천을 꺼내서 쓸고 닦아본다.

희망을 놓치지 않고.




* 그 밖의 밑줄

니즈 말고 원츠
21세기 마케팅의 초점은 원츠의 충족이다. (p.153)


'원츠'의 세상에서는 사람들이 편리함만을 추구하지 않는다. (p.154)


나음, 다름, 다움 (p.273)

매거진의 이전글 고종석, '쓰고 읽다', 알마, 2017.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