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백승주 Mar 12. 2021

도대체 순수는 어디에

더운 나라의 왕은 순수를 원했다. 왕은 자신의 왕국을 물들인 알록달록한 색깔들과 시장통의 난장을 견딜 수 없었다. 왕은 밤낮으로 신에게 기도했고, 신은 감읍했다. 폭설이 내렸다. 왕은 난생처음 흠결 없는 백색 세상을 바라보았다. 그러나 왕은 걱정이 앞섰다. 아침이 되면 순수해진 세상을 아이들과 개들이 망가뜨리겠지. 왕은 명령을 내렸다. 지금부터 모든 통행을 금한다.


다음 날 아침, 왕이 기대한 눈의 왕국은 없었다. 길은 눈과 진흙이 엉켜 진창이 됐고, 벌판에는 사람들과 동물들의 발자국으로 가득했다. 밤을 틈 타 사람들이 쏟아져 나온 것이다. 진노한 왕은 명을 어긴 자들을 색출하라고 명했다. 재상이 왕을 막아섰다. 폐하, 폐하의 왕국은 백성들의 왕래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고로 사람들이 오가며 만나고, 온갖 것이 섞이지 않으면 이 왕국은 존재할 수 없습니다. 저 순백의 눈은 그저 차가운 신기루임을 왜 모르십니까? 왕은 재상을 노려보며 말했다. 도대체 순수는 어디에 있단 말이오?


언어 순수주의자들이 신조어를 바라보는 관점을 설명하려면 이런 우화를 지어내야 하지 않을까?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 언어 순수주의자들은 세상이 온통 눈으로 뒤덮이기를 바라는 더운 나라의 왕들이다. 이들에게 신조어는 새로움이 아니라 순수한 언어의 파괴이자 타락이다.


이제 당신이 왕인지 아닌지 시험해볼 시간이다. ‘생파’(생일 파티) 때 친하지도 않은 사람이 ‘생선’(생일 선물)을 들고 왔는데 생선은 마음에 들었지만, 사람이 ‘낄낄빠빠’(낄 때 끼고 빠질 때 빠진다)를 못 하더라. 물론 ‘케바케’(케이스 바이 케이스)지만 그런 사람들은 정말 별로야. ‘헐’ 뭐 괜찮다고? ‘흠좀무’(흠, 이게 사실이라면 좀 무섭군요) 할많하않.(할 말은 많지만 하지 않겠다) 헐. 여기까지도 읽고 낯설지 않다고? 정말 오나전(완전) ㅎㄷㄷ(후덜덜). 더 볼까? ㅇㅋ?(오케이?) ㅇㅇ?(응?) 그렇다면 이런 야민정음은 어떤가? 띵작(명작) 모르겠다고? 이런 댕청이(멍청이), 정말 ‘롬곡옾높’(폭풍눈물)이 난다. 네넴면(비빔면)이나 먹어야겠다.


이런 신조어들의 목록을 계속 읽어 내려가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더운 나라의 왕이 되어 ‘도대체 순수는 어디에?’를 중얼거릴지도 모른다. 낯선 말들을 만나면 우리는 당황한다. 그리고 쉽게 그 당황스러움을 ‘불쾌함’으로 치환시킨다. 그러나 반대의 감정도 있다. 새로운 것을 써보고 통했을 때의 쾌감이다. 신조어를 둘러싸고 우리는 이 두 감정 사이를 왕복한다. 그러나 신조어를 둘러싼 논란은 이러한 감정, 그 이상의 것이 개입되어 있다. 그것은 바로 언어를 바라보는 시선이다.


우리는 언어를 이미 완성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즉, 언어를 항상성을 유지하는 하나의 단일한 생명체로 간주한다. 그러나 신조어는 언어에 대한 이러한 시선에 정면으로 도전한다.


여러 생명체가 결합되어 있는 혼종의 존재를 우리는 괴물이라고 부른다. 신화 속 혼종의 존재는 생명이 만들어지는 규칙을 위반한 것들이며, 따라서 세상이 혼돈에 쌓여 있다는 증거이다. 신화 속 영웅은 이러한 괴물을 제거함으로써 세상의 질서를 회복시킨다. 언어 순수주의자들에게 신조어는 딱 이런 괴물과도 같은 존재, 혼돈의 표식이다. 질서를 되찾기 위해 괴물은 없어져야 한다.


신조어의 괴물성은 한국어의 조어법을 거스르는 신조어가 많다는 데서도 증명된다. 과연? 여기서 사실 관계를 명확히 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한 언어의 문법은 선험적으로 존재하는 물리적 법칙이 아니다. 문법은 ‘발명’된 것에 불과하다. 그리고 문법이 발명되기 이전에는 ‘틀린 말’이란 게 존재하지 않았다.


만약 신조어의 생성 방식이 한국어 조어법과 어긋난다면, 이는 신조어가 ‘잘못’ 되었음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언어학자들이 한국어의 신조어 생성 방식을 포착해내지 못하고 있다고 이해하는 것이 맞다. 이는 어떤 생물학자가 인간을 관찰하고 ‘인간은 걷는다’라고 기술하면서, 달리기나 물구나무서기는 인간이 할 수 없는 동작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신조어를 만들어내는가? 그 이유는 단순하다. 욕망 때문이다. 우리는 ‘언어’로 사회를 구성한다. 그런데 사회는 변한다. 사회 구성원들은 새로운 관계와 환경에 처하고, 그에 따라 새로운 욕망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신조어를 만들어내는 동력은 바로 이 욕망이다.


‘스세권’, ‘숲세권’ 이라는 말을 예로 들어보자. 지하철역이 가까운 구역인 역세권이 아니라 스타벅스와 녹지가 가까이 있는 생활권을 뜻하는 이 말들은, 사람들의 삶의 양식이 어떻게 변했는지, 가치 있는 것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무엇보다도 어떤 것을 욕망하는지를 단박에 보여준다.


신조어는 특정 공동체의 일원임을 드러내고자 하는 욕망을 위해서 만들어지고 유통되기도 한다. 이때 신조어는 배타적 소통을 추구한다. 여성, 지역, 소수자 등에 대한 피해 의식과 혐오의 감정을 공유하고 이를 신조어로 만들어 유통시키는 문제의 극우 사이트는 그런 사례 중 하나다. 어쨌든 그런 점에서 신조어가 소통을 가로막는다는 생각은 반만 사실이다. 신조어는 원래 ‘우리끼리’ 소통하고 싶어서 만든 것이니까.


컴퓨터 자판, 스마트폰이라는 새로운 필기구,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적응하려는 욕망도 신조어에서 드러난다. ‘헐’을 ‘ㅎㄹ’로 최대한 단순하게 쓰고, ‘완전’의 오타인 ‘오나전’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그런 예들이다. 많은 신조어가 축약어의 형식으로 만들어지는 이유도 같다. 손을 최대한 덜 사용하되 최대한의 효과를 얻으려는 욕망이 이런 말들 속에 숨어 있다.


뭐니 뭐니 해도 욕망 중 최고봉은 ‘그냥 이유 없이’, ‘놀고 싶은’ 욕망일 것이다. ‘대’를 ‘머’로 읽고 ‘명’을 ‘띵’으로 읽는 야민정음은 이런 욕망의 산물이다. 야민정음이 한글을 파괴한다고 손가락질 받지만 나는 이런 놀이 때문에 한글이 파괴되지 않는다에 5백원, 세종대왕이 지하에서 통곡하지 않을 거라는 데 1만원을 걸겠다. 야민정음은 그저 문자의 형태를 가지고 하는 놀이일 뿐이다. 그리고 이런 놀이는 한글의 형태를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사람들만 할 수 있는 것이다. 폭풍눈물이라는 말을 거울에 비춘 이미지인 ‘롬곡옾높’ 역시 ‘푹풍눈물’이라는 말의 형태를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면 사용할 수 없다.


이런 놀이의 본질은 ‘쓸데없음’이다. 우리는 어떤 놀이가 뭔가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며 놀지 않는다. 놀이에는 목적이 없다. 그냥 재미있으니까 노는 것이다. 그러나 놀이로 생겨난 말들이 쓸모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신조어는 말을 유표적으로 사용하려는 욕망을 반영한다. 소통할 때 자신의 메시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더 눈에 잘 띄는 형식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나 너무 튀는 방식은 오히려 소통을 방해한다. 욕망은 때로는 역설적이어서 자기가 자신을 막아선다.


욕망은 다양하다. 그리고 복잡하다. 우리는 이 욕망을 언어로 만들고, 이를 조각보처럼 이어 붙여 사회를 만든다. 신조어를 들여다보면 복잡다단하게 얽혀 있는 우리들의 욕망이 읽힌다.


다시, 왕이 묻는다. 도대체 순수란 어디에 있단 말이오? 재상이 답한다. 순수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오직, 서로 섞이고, 스며들고, 소통하고, 또 멀어지려는 욕망, 그 욕망뿐이겠지요. 왕이 혼자 중얼거린다. 음, 이거 띵언인데.


http://www.gqkorea.co.kr/2021/02/15/%EC%8B%A0%EC%A1%B0%EC%96%B4%EC%97%90-%EB%8B%B4%EA%B8%B4-%EC%9A%95%EB%A7%9D/?fbclid=IwAR2QA-a0tqKbtCOBmOu2SKq_re1JM09QIEZQbg4htZX0FROJ9xMvAu1jTM8

매거진의 이전글 재난과 언어, 다시 찬드라의 경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