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상상공장 정장식 Jan 04. 2018

하드커버 그림책 만들기 꼭! 알아야 하는 필수 용어들

나만의 그림책 동화책 만들기 A to Z

꼭! 알아야 하는 하드커버 그림책 만들기 필수 용어


1. 그림책 만들기 표지 디자인 및 제작 관련 용어

1) 표 1

그림책 앞 표지이다. 부제목 및 제작처 등이 표기된다. 

표 1에는 가능한 박스 형식으로 디자인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하드커버 싸바리 작업 시 조금만 움직임이 있도 균형이 맞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2) 표 4

그림책의 뒷 표지이다. 가격, ISBN, 바코드, KC인증, 기타 문구들이 표기된다.

3)세네카(책등)

책을 책장에 꽂았을 때 보이는 공간이다. 인쇄 업계에서 세네카라고 부른다.

책등에는 책 제목, 출판사명, 저자명 등이 표기된다. 

하드커버로 제작 시에 책등은 최소 5~8mm가 기본이고 내지의 페이지가 많으면 늘어난다.               

책을 편집할 때 반드시 제작 업체에 용지, 페이지 등을 확인하였을 때 책등의 두께를 확인해야 한다.               

4) 미소

 하드커버 그림책을 펼쳤을 때 둥글게 말려 접히면서 책이 펴지는 부분을 미소라고 한다.

 미소의 여백은 책등을 기준으로 좌측 11mm 우측 11mm를 주어야 한다.


5) 닷지

첨무그림의 빨간 선 바깥쪽 상,하,좌,우, 여백을 닷지라고 한다. 

닷지의 역할은 하드커버 표지를 만들 때 인쇄된 표지 용지와 딱딱한 합판지를 결합할 때 안쪽으로 싸서 붙이는 부분이다. 이 부분은 책이 완성되었을 때 보이지 않는 부분이지만 닷지 여백까지 그림이나 배경 색을 다 채워주어야 한다. 그래야 합판지를 감싸는 부분에서 결합된 안쪽 부분까지 그림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깔끔하게 마감되기 때문이다.  

닷지는 책등, 미소, 표 1, 표 4가 반영된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상하, 좌우에 각 20mm씩을 잡아준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표지 바탕에 위의 예처럼 그림이나 사진이 전체로 깔릴 경우는  미소+표 1+닷지가 포함된 전체에 사진을 배치하여 주어야 한다.   

6) 싸바리

'싸서 바른다'의 의미로 하드 양장커버 제본의 하드커버 표지를 만드는 작업을 말한다. 즉 인쇄된 표지 용지로 1200g~1600g의 합판지를 싸서 바르는 작업으로 하드커버를 만드는 과정을 싸바리라고 한다. 싸바리는 수작업 이나 싸바리 전용 기계를 이용한다. 

7) 재단 영역

 상기 이미지에서 빨강선 안쪽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책의 사이즈가 되는 영역이다.  

 하나 주의할 점을 재단 영역 가장자리 가까이에는 제목이나 페이지나 중요한 그림이 배치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유있게 안쪽에 배치하는 것이 작업과정에 짤리거나 한쪽으로 쏠리는 문제를 대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8) 디자인 영역

상기 이미지에서 빨강선 바깥쪽 영역까지 포함한 영역을 말한다. 특히 닷지 부분은 싸바리 작업을 하면 안쪽으로 숨겨지는 영역이다. 

표지 디자인 작업을 할 때 주의해야 하는 것은 이 디자인 영역까지 그림을 다 채워주어야 한다. 

그림이 뿐만 아니라 배경색이 바탕에 깔릴 경우에도 디자인 영역까지 색을 깔아주어야 한다. 

그래야 싸바리 작업을 했을 때 자연스럽게 그림이 뒷장까지 연결되어 책의 완성도가 높아진다.

표지 디자인 작업 시 꼭 확인하고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작업이다.



2. 그림책 만들기 내지 편집 및 관련 용어 


1) 중철

 하드커버 양장제본은 중철로 내지를 결합한다. 중철이란 종이를 여러 장을 반으로 접어 접힌 부분을 실로 꿰매어  페이지를 결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렇게 가운데를 묶으면 1장을 반으로 접어 묶으면 4페이지 2을을 묶으면 8페이지,  즉 4배 수로 페이지가 늘어나게 된다.  

2) 사철

중철 방식으로 책을 묶을 때 실로 묶는 방식을 사철이라고 한다. 인쇄에서 사철로 책을 제작하는 것은 최소 500부 이상 대량의 책을 만들 때 가능한 방식이다. 따라서 소량의 하드커버 그림책은 공장의 대량 생산방식으로 제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공업용 미싱을 이용하여 실로 묶는 방식으로 사절을 한다. 이와 같은 방식을 스티치 방식이라고 한다. 

3) 대수

그림책의 책자의 페이지가 A4 사이즈 32p라고 가정한다면, 사철(스티치) 중철로 작업을 한다면 A3 용지는 1장에 4p지가 됨으로 8장이 필요하게 된다. 8장을 가운데 접어 한번에 미싱을 박아 철을 하면 너무 두껍기 때문에 가운데가 벌어지기 쉽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4장씩 두 묶음으로 만들어 16p씩 4장을 한 묶음으로 2묶음의 책을 나누어 만들 수 있다. 

이때 16p 4장의 한 묶음을 1대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한대는 8p~12p를 묶어서 많이 쓴다. 

하드커버 그림책을 만들 때 이렇게 내지가 4배 수로 페이지가 늘어나는 것과 함께 내지 페이지가 몇 대의 대수가 되는지 확인해 보는 것도 중요한 필수 지식이다.

4)면지

하드커버 그림책 만들기에서 면지는 중요하다. 면지의 역할을 단순하게 보면 하드커버 표지와 내지를 결합하기 위해 접착되는 역할이다. 하지만 면지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책의 완성도와 품질이 달라 보인다.

지는 기본적으로 색지를 사용하거나 면지를 인쇄로 사용할 수 있다. 색지는 밍크지 120g 정도가 많이 쓰인다. 

면지의 인쇄는 내지와 동일한 용지에 컬러 인쇄를 많이 사용한다. 면지는 앞면 뒷면에 필요하며 앞면 1p 뒤면1p는 하드커버 표지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그래소 최소 앞면 2p 뒷면 2p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앞면 4p, 뒷면 4p를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다. 색지를 쓰는 경우와 달리 인쇄를 할 경우  이면지를 잘 꾸며서 책이 돋보이는 공간으로 잘 활용하는 경우가 요즘의 추세이다. 

면지를 인쇄할 경우에는 4배 수로 늘어 나는 내지 페이지에 8p를 더해서 대수를 맞추어 주어야 한다. 이 부분은 인쇄하는 업체에 자세히 상의하여 디자인 초기에 활용 방안을 미리 잡아 두는 것이 중요하다.    

5) 내지 결합

사철(스티치)로 내지 결합이 완료되면 예를 들어 12p씩 3대 36p인 그림책일 경우 내지가 3대의 묶음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 3대를 하나로 묶어 주어야 한다. 이를 묶는 방법으로는 무선제본을 하게 된다. 

무선제본은 책등에 접착제를 발라 강력하게 결합을 하는 과정을 제본 기기를 통해서 작업이 이루어진다. 

표지와 내지의 결합 -싸바리로 만들어진 표지와 완성된 내지를 결합하는 과정이다. 

내지의 앞장과 뒷장에 접착제를 바르고 하드커버 표지와 접착을 하는 작업으로 전문기기를 통해 작업을 한다. 접착 후 일정 시간 프레스로 눌러 접착을 완성한다. 


6) 재단선

 내지 책자의 작업 부분에서 재단기로 잘라내야 할 부분을 안내해 주는 선이다. 

7) 도련(재단 여분/bleed)

재단선 바깥 부분의 여백을 일컫는 용어이다. 실질적인 책의 크기(사이즈)에서 상하좌우 3mm씩 도련을 주어야 한다.  도련을 주는 이유는 책을 재단하였을 경우 잘린 부분에 흰 선이 나타나지 않게 하여 마감이 깔끔하게 처리되기 위함이다.  책자 바탕이 백색일 경우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바탕 전체에 색상이나 그림이 배치되어 있을 경우 도련까지 색상이나 그림을 채워주어야 재단을 하였을 때 흰색이 나타나지 않고 깔끔하게 마무리가 된다.  


8)하리꼬미(터잡기)

예를 들어 내지가 12p씩, 3대(3묶음), 총 32p로 된 하드커버의 그림책일 경우에  책을 만들기 위한 인쇄는 일반 가정에서 프린터처럼 1p에서 32페이지 까지를 한 번에 출력을 하면 되지 않는다.  묶음 대수별로 앞뒤 양면 페이지에 출력되는 페이지의 순서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출력되는 순서대로 페이지를 배치해주는 작업을 하리꼬미(터잡기)하고 한다.  작업은 하리꼬미 전용 프로그램에서 또는 전문 인쇄기에서 출력 담당이 작업을 한다.  하리꼬미 작업을 위하여 내지 파일을 만들 때, 각각 페이지 별로 잘라서 pdf 파일을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9)내지표지(도비라)

내지 표지를 편집자들은 도비라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10)판권지

책자를 소개하는 면이다. 출간인, 저자, 그림, 글. 출간 일자, 인쇄, 발행일, ISBN 코드 등 책 관련 정보를 나열한다.


북피디_상상공장, 정장식  www.fb.com/value4u


'나만의 그림책 동화책 만들기 A to Z' 다음 글
 -나만의 그림책 만들기 기획하기 

작가의 이전글 그림책 동화책 만들기 인쇄ㆍ제본 이것 만은 꼭 알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