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는 전력수요를 크게 증가시킬 것이다
일본은 데이터센터의 급속한 성장으로 전력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탈탄소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이 문제는 2025년 3월까지 기본에너지정책을 진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일본뿐만 아니라 데이터센터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한국과 동남아시아 모두에게 닥친 문제이다.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은 사람들의 첨단 라이프스타일이 작동하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센터 구축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인프라도 필요하다. 이러한 인프라는 숫자를 처리하고 하드웨어를 냉각시키기 위해 많은 양의 전력을 필요로 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지난 1월 데이터센터의 전세계 전력 수요가 2022년부터 2026년까지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일본의 싱크탱크인 전력산업중앙연구소에 따르면 일본의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량은 2021년 20TWh에서 2040년에는 약 5배 증가한 105TWh, 2050년에는 211TWh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일본의 총전력소비량은 발전용을 제외하고 약 900TWh였다.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웹서비스, 오라클과 같은 외국 테크기업들은 향후 몇 년간 일본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형 데이터센터는 주로 도쿄와 오사카에 위치하고 있지만, 홋카이도 북부 섬과 같은 다른 지역에도 건설되고 있다.
정보기술연구 전문기관인 IDC Japan에 따르면 일본의 데이터센터 운영자는 2024년에 2023년보다 약 50% 증가한 5,000억엔(약 3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수준의 지출은 2027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일반 서버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AI서버가 점점 더 많이 배치되고 있으며 데이터센터 용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IDC는 말했다.
일본은 내년 3월까지 기본에너지정책 업데이트를 준비하면서 클린 전력원에 대한 추가 수요를 충족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일본은 처음으로 2040년에 대한 에너지믹스 예측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에 작성된 현재 계획에서는 에너지절약 노력으로 인해 전력수요가 2030년경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도쿄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3년 수준 대비 46% 감축하고, 2050년까지 순배출 제로를 달성하겠다는 공약을 이행하려면 전력 부문의 탈탄소화가 핵심이다.
일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2년 3월까지 12개월 동안 2013년 수준 대비 23% 감소했다. 그러나 발전된 전력단위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제자리걸음을 유지하고 있어 재생에너지 및 기타 클린 에너지원의 도입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본은 계속해서 화석연료로 73%의 전력을 생산한 반면, 재생에너지는 22%, 원자력은 6%에 불과했다.
일본의 2030년 목표는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41%로 낮추는 동시에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전체의 36% 이상, 원자력의 비중을 20%로 높이는 것이다. 그러나 재생에너지의 생산량 확대는 지리적 여건과 전력망의 한계, 그리고 관료주의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지역사회의 반발로 인해 원전 재가동이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도 비슷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한국 역시 수입 화석연료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구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네이버, 카카오, 에퀴닉스 등 국내 및 글로벌 테크기업들이 AI컴퓨팅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 데이터센터 설립을 서두르면서 국내 데이터센터 수는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부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2029년까지 2022년 대비 5배 증가한 732개의 데이터센터를 보유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집중이 전력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이에 따라 기업들에게 다른 지역에 데이터센터를 설치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상업용 부동산 중개업체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에 따르면 아시아 전역에서 데이터센터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운영 용량은 올해 1GW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며 도쿄, 뭄바이, 시드니의 시장은 향후 5~7년 내에 2GW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말레이시아의 조호르주는 바로 남쪽에 위치한 이웃 싱가포르에서 데이터센터 공급의 '스필오버'를 경험하고 있다고 이 기관은 덧붙였다.
Source: https://asia.nikkei.com/Business/Energy/Boom-in-data-centers-challenges-clean-power-goals-in-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