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ech and Biz Jul 21. 2019

정보처리기사 필기

[2018년 3회 정기시험] 

작년에 연구실에 "자격증 따기" 붐이 불어서 어쩌다가(?) 정보처리기사에 도전하게 되면서 이 글을 쓰게 되었는데, 당시에 글을 발행을 하지 않았아서 시점이 맞지 않지만!!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공유를 합니다.



최근 준비했던 정보처리기사 시험후기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원래 2018년 정기 기사 3회 실기시험 결과까지 나오면 후기를 한꺼번에 올리려고 했는데, 보다 생생한 후기를 알려드리기 위해서 필기 후기를 따로 올리게 됐습니다!


우선 결과부터 확인해보면!!!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결과

합격!!


2018년 정기 기사 3회에 필기시험에 합격했습니다! 


저는 우선 비전공자(기계공학, 전자공학)입니다. 하지만, 공대이다 보니 프로그래밍 중 C언어를 공부해본 경험이 있고, C와 C++ 프로그래밍을 다루어보았습니다. 

또한 전자공학을 학부 때 공부한 경험이 필기시험 2과목 "전자계산기 구조"에서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공부한 기간은 약 4일(하루 3시간, 마지막 날 밤샘) 정도 되었던 것 같고, 시나공 책으로 공부하였습니다.


책 내용이 워낙 방대하기 때문에, 시간적인 여유가 있으신 분들은 꼼꼼히 보셔도 괜찮지만 저와 같이 자격증 시험에 시간을 많이 뺄 수 없으신 분은 시나공 책 A와 B 부분만 봐도 필기는 충분합니다! 


따라서 저는 A, B 부분을 빠르게 보고 기출문제를 위주로 풀었으며, 문제들이 대부분 비슷한 것을 묻기 때문에 기출문제가 매우 중요합니다!

마지막 날 밤을 새워서 준비했으므로 공부시간은 약 20~24시간 정도 되었던 것 같습니다. 


시험을 준비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것은 5과목의 데이터 통신이었습니다. 실제 시험장에서도 5과목을 풀면서 20문제 중 18개 정도를 찍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였지만... 다행히도 찍신(?)이 강림하여서 과락이 뜨지 않았습니다 ^^ (65점..!!)


1,3,4과목이 개인의 차는 있겠지만 공부하기 수월한 과목들이 아닌가 싶습니다. 

코딩에 감이 있으신 분은 1단원은 빠르게 익히실 수 있으실 것 같고, 

3,4단원은 상식 수준의 문제로 출제되므로 기출을 통해서 감을 익히시면 될 것 같습니다. (4과목 소프트웨어공학은 100점 ^^!!)



시간적 여유가 없고 빠르게 필기를 합격하고 싶으신 분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 시나공 책으로 A, B등급 단원들을 우선적으로 속독 & 정독
(꼭.. 시나공 책이 아니어도 됩니다. 사실 책이 중요한 게 아니라 책을 한번 다 보는 것이 중요하죠!)

2. "1,3,4"단원을 우선적으로 공부합니다.
(이 세 단원에서는 80~100점을 목표로 하시는 게 좋습니다. 2,5단원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르므로....)

3. "2, 5"단원은 과락이 뜨지 않을 정도로 공부할 것 (시간적 여유가 있으신 분은 물론 꼼꼼히..!!) 

4. 기출문제를 최소 5회를 풀어봅니다! (최근 2~3개년 정도면 충분합니다) 

5. 시간적 여유가 없어도.... 요행을 너무 바라고 대충 공부하시면 안 됩니다:)   
(필기를 잘해두면 실기에서 편합니다!) 


궁금한 점 또는 시험관련 질문은 ↓ 댓글로 달아주세요!


2019년, 2020년 시험에서도

모두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다음 자격증 관련 포스팅은 2018년 정보처리기사 3회 실기시험에 대한 후기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구독 라이킷, 댓글공유는 작가에게 큰 힘이 됩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