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을 통해 간접적으로 느껴보는 타인의 고통에 대해
우리는 보통 사진을 감상할 때 의미하는 바를 알고 싶어하고, 작가의 의도를 들으며 고개를 끄덕이곤 한다. 나 또한 사진 전시회를 갈 때마다 오디오 가이드를 들으며, '아 이런 의도였구나. 멋있다.'라는 생각을 하곤 했다. 특히 찰나의 순간을 담아낸 사진들을 보면서, 그 찰나를 포착해 낸 작가들의 촬영 기법에 무한한 감동을 느끼곤 했다.
그러나 수전 손택은 사진 속에 드러나는 모습은 연출이 되었다며, 특히 그 중에서도 연출된 타인의 고통을 언급하며 독자들의 마음을 한껏 흔들어 놓는다. 아니 어찌보면, 나도 알고 있었지만 부정하고 싶었던, 마음 속 깊이 있던 진실을 인정하게 만들었기에 책을 읽으면서 불편한 감정이 일었다.
'타인의 고통'은 쉽게 읽기엔 어려운 책이었다. 평론가가 직업이라 그런지, 아니면 번역투에 낯설음 때문인지 한 문장을 읽을 때에도 여러번 다시 읽어야 이해할 수 있는 문장들이 많았다. 그러나 우리가 자주 만나는 미디어와 사진에서 노출되는 타인의 고통들을 직시한 그녀의 생각들이 고스란히 드러난 책이기에, 사진을 좋아하는 나로써는 읽기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던 책이었다.
수전 손택은 잔인하고 사실적으로 드러나는 전쟁 사진들을 언급하며, 우리는 사진에 드러나는 고통들과 잔인함들을 보면서 해당 대상들이 대상화되기에 우리가 타인의 고통을 잘 느끼지 못한다고 말한다. 특히 그 배경이 가까운 곳이 아니라 머나먼 타지라면, 이 세상의 미개한 곳이라는 생각에 동질감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더 극적으로 연출하고 멀리 있는 타인처럼 느끼게 만들기도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전쟁 사진들은 어느 프레임에 어떤 의도로 사진 작가가 담느냐에 따른 의도가 명백히 들어가버린다다. 그러나 수전 손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출되었던 많은 사진들은 순수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역사의 증거로 고스란히 남아버린다고 말한다. 어떤 의도가 담겼든 말이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사진에 남겨진 역사들이 떠올랐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어떠한 것이 진실이고 진실이 아닌 지를 분별할 줄 아는 능력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뭔가를 미화하는 것은 카메라의 전통적인 기능으로서, 이런 기능은 보여진 것에 대한 사람들의 도덕적 반응을 하얗게 표백해버린다. 뭔가를 최악의 상태로 보여줘 그것을 추하게 보이도록 만드는 것은 좀더 근래에 등장한 기능이다.
자극적인 정보가 쏟아지는 요즘, 우리는 점점 무감각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진을 보고 행동으로 적극적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사진들과 영상들은 더욱 자극적이 될 수 밖에 없게 된다. 수전 손택은 이러한 자극적인 미디어들 사이에서 사실을 분별해내고, 연출되고 연출되지 않은 것들을 주체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는 말을 던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태도를 통해 타인의 고통을 멀리 있다 느끼지 말고 우리가 어떠한 것을 할 수 있는지 판단해보라는 메세지를 전하고 있었다.
사진들을 둘러싼 그릇된 이해, 그릇된 기억, 이데올로기적 용도가 장차 뭔가 새로운 효력을 발휘할 것이다.
재미있게 읽었지만 책에 아쉬운 점이 있다면, 우리가 그렇게 느낀 점들을 어떻게 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까지 나와 있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리고 타인의 고통이 드러난 사진이 국한 전쟁 사진 뿐만이 아닐텐데, 전쟁 사진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은 다소 아쉬웠다. 그렇지만, 사진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사진의 영향력에 대해 생각해보고 어떻게 담아낼 지 고민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줄 수 있기에 읽어보라고 추천하고 싶은 책이었다.
글쓴이(필명)
만두님 - 책과 음악, 여행을 좋아하는 취향수집가
독서모임 '틈새'에서는 책을 함께 읽고 얘기를
나누고 싶은 신입 회원을 상시 모집합니다.
모임은 토요일 오전 10시 신촌 홍익문고 5층에서
진행되오니 궁금하시면 아래 글을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