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폭염이 좀처럼 물러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열대야로 인해 새벽까지 에어컨을 켜놓기 일쑤인데, 태양광 전력 시설이 있는 집은 그나마 냉방비 걱정을 들 수 있다. 자연스레 옛 시절이 소환된다. 그때는 어떻게 더위를 이겼던가.
한여름, 큰집이나 외갓집에 가면 대청마루만큼 시원한 곳이 없었다. 분합문을 걸쇠에 건 처마는 하늘의 절반 넘게 가리고, 널따란 마룻바닥 아래론 계곡물이 흐르는 듯했다. 서늘한 바람이 뒤뜰 문에서 쉴 새 없이 마당으로 불었다. 높다란 석축이 있던 큰집 뒤뜰이나, 작두펌프가 있던 외갓집도 담장 뒤로는 가파른 고샅길이었다. 그때는 대청마루가 늘 이렇게 시원하다고만 생각했다.
매입해 둔 앞집을 철거(멸실)할 때, 그 자리를 어떻게 조성할까 고민했다. 시멘트나 흙바닥은 논외로 쳤다. 파쇄석, 현무암 판석 그리고 잔디 마당이 선택지에 올랐고, 긴 고민 없이 조선 잔디 Roll(40x60cm)을 마당에 덮기로 했다. 다만 내가 관리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 15평만 잔디로 하고 나머진 합성목 테라스와 텃밭(아내 강권에 못 이겨)으로 결론 냈다. 이 정도면 황금 분할이라 해도 무리가 없지 않겠는가.
주위에서 권했다. 요즘은 현무암 판석이 대세이니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시공하라고. 잔디? 어지간히 부지런하지 않으면 유지관리가 힘드니 일찌감치 포기하라고 했다.
잔디를 선호한 데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통풍과 채광을 중시했던 전통 한옥에서는 잔디를 사초(莎草)라고 하여 집 마당에 들이지 않았다. 심지어 큰 나무도 마당 형상(口)에 더불어 지면 피곤할 곤(困)으로 꺼렸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상식이다.
책을 오래 읽다가 마당 잔디를 내려다보면 눈 피로가 빨리 풀렸다. 심적으로도 위안과 평온함을 느꼈다. 국립산림과학원 보도자료에 따르면, 천연 잔디 지표면의 평균온도는 인조 잔디, 우레탄, 아스팔트 등에 비해 절반으로 낮았다. 이는 식물의 증산작용으로 인한 공기 기화 효과인데, 대기 온도 또한 섭씨 2도 이상 내려갔다. 그 밖에도 대기 정화, 소음 감소, 여름에는 서늘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기온 조절 기능까지 있다니 마다할 이유가 없다.
비용 절감을 위해 잔디를 직접 깔았다. 마지막 4평 정도 모자라서 추가 구매하기로 하고 흙바닥을 그대로 놔뒀다. 이게 뒷날 화근이 될 줄은 몰랐다.
시멘트 담장 너머 옆집은 지대가 40~50cm가량 낮다. 철거 공사 후 시멘트 바닥을 걷어내자 자기 집 쪽으로 물이 안 내려오게 하라고 여러 차례 당부했다. 옛날 독거노인이 살던 때 만든 것 같은 물구멍을 찾아가며 막았다.
며칠 뒤 새벽부터 아침까지 7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졌다. 핸드폰이 울려 받아보니 옆집 주인이었다. 자기 집안이 뻘밭 되었으니 빨리 와보라며 난리였다. 노부부가 나를 기다리다 득달같이 달려들었다. 축대 틈 사이로 새 나오는 흙탕물을 가리켰다.
“저 정도의 물을 보고 마당이 뻘밭이라니 좀 과장되지 않느냐, 나도 할 만큼 물길을 막았는데 너무 몰아붙인다.”
항변을 늘어놓았지만 어쩌랴! 미안하고 다시 살펴보겠다 했다.
집에 돌아와 보니 마당 끝부분 그러니까 방치된 흙바닥 일부가 함몰되고 그곳으로 토사와 빗물이 섞여 쏟아져 내리고 있었다. 아이고, 이런!
땡볕이 내리쬐는 한낮에도 마다하지 않고 보수 공사를 했다. 흙바닥 평탄화, 추가로 잔디 덮기, 물고랑 만들기, 담장 옆 시멘트 바닥 물 구배 맞추기 등. 작업을 마치고 보니 체중이 3 kg나 줄고 얼굴, 목덜미 손등은 시커멓게 그을렸다.
해 질 녘, 식재한 나무마다 물을 주고 있는데 종아리를 간질거리는 게 있었다. 긴 풀이라 생각했지만 계속 건드려 내려다보니 뜻밖에 여치가 붙어있었다. 아, 이 녀석을 좀 보게? 여긴 읍내이면서 근린상가 지역인데 어떻게 이곳까지 왔단 말인가? 의구심 끝자락에 경외심마저 밀려왔다.
마침내 환지본처(還至本處), 본래의 자리로 돌아온 것 같다. 천연 에어컨 잔디와 더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