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일사삼공삼 Nov 05. 2021

21.11.01

고위험 신생아 살리기와 인공 유산

소아과학 수업이 간만에 재미있었다. 아이의 성장과 발달은 크게 흥미롭지 않았지만, 태어난 직후부터 생사의 갈림길에 놓인 작은 사람을 살리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이 진심으로 행복했다. 한 과목 안에서도 좋아하는 파트와 싫어하는 파트가 나뉠 수 있다니! 하긴 그러니까 세부 전공이라는 게 있는 거겠지.


오전에는 소아과학 수업을 듣고, 오후에는 생식의학 수업을 들었다. 유산과 유도분만, 태아 기형학 및 임신 시 약물에 대한 수업이었다. 수업을 다 듣고 나서 깊은 시름에 빠졌다. 분명히 몇 시간 전에는 힘들게 태어난 사람을 살리는 방법을 배웠는데, 지금은 다시 무로 돌려보내는 방법을 배웠다. 이래도 되는 건가.


분명히 나는 임신 중단에 찬성하는 쪽이다. 임신 유지 여부의 결정권은 그 몸의 주인인 여성에게 있으며, 언제든 어떤 이유로든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태아의 생존권이 여성의 생존권보다 우선이 될 수는 없다고 생각해왔다.  그런데 막상 내가 그 선택을 실행하는 쪽이 된다고 생각하니 같은 단어가 이전과는 다르게 다가왔다.


자책을 했다. 왜 지금까지 내가 인공유산을 집도하는 쪽이 될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을까. 왜 여기서 거부감이 느껴지는 건가. 내 손을 더럽히는 게 싫은 건가. 쉽게 정리되지 않는 생각을 한 움큼 쥐고 주변에 도움을 청했다.


한 친구는 이렇게 대답했다. “음, 기분이 이상할 수도 있겠군…근데 또 다른 부분에선 힘들게 낳는 거 배우고 또 그렇게 힘들게 낳은 아기 살리는 거 배우면 뿌듯하단 말이지?”


또 다른 친구는 이렇게 대답했다. “뭐 그래도 다 이유가 있으니 인류 지식의 역사에 있는 거겠지.”


어떤 친구는 이렇게 대답했다. “삶이란 게 어디 쉬운 게 있겠소. 인생은 원래 개같아. 그리고 그 개 같은 인생에서 개같음을 나누어줄 몇 안 되는 사람이 의료인이지.”


마지막으로 한 친구는 이렇게 대답했다. “고민이 드는 지점에서 더 많이 배워 두는 게 미래의 나를 위해서도 내가 만날 환자를 위해서도 지금 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이 아닐까?”


따스한 위로와, 어색한 다독임과, 기분이 나쁠 때는 좋은 풍경을 보고 좋은 노래를 들으라며 사진과 음악을 보내 주는 다정함과, 섬세하고 큰 마음 덕분에 열심히 공부하다 잠들었다. 이 사랑스러운 사람들 곁에 더 오래 오래 머물러야지.

작가의 이전글 21.10.30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