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잌쿤 Aug 30. 2018

서치(2018)

인물의 시선이 아닌 커서(cursor)의 시선으로

*브런치 무비패스 참여 작품입니다(글은 'elric13'이 대신 작성하였습니다)


“인물 사진을 찍을 땐 인물의 시선이 가 있는 쪽으로 공간을 둬야 안정감이 있어 보입니다.”

어디선가 인물 사진을 찍는 나름의 ‘꿀팁’이라며 들었던 것 같다(아마도 보았을 확률이 더 높겠지만). 이 팁은 사진을 보는 사람의 시선이 사진 속 인물의 시선을 본능적으로 따라가기에 유효하다. 이는 영화에서도 마찬가지여서 인물의 시선은 물론 움직임에 따라 관객의 시선도 옮겨가고, 그런 시선의 흐름이 매끄러울 때 편집이 자연스러움을 느끼게 된다. 


서치에서는 이러한 자연스러움과는 달리 관객의 시선은 크게 제한되고, 마치 관광지를 지나갈 때 카메라의 화면으로만 보는 것 같은 다소 답답한 느낌을 받을 수도 있다. 서치에서 관객에게 보여주는 장면은 하나의 언어로 관객에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스마트폰의 화면이고, 때로는 컴퓨터의 모니터, TV, CCTV 등 화면을 가진 모든 것을 활용해서 관객과 마주하게 된다. (이런 느낌의 신선함은 클로버필드(2008)에서도 느꼈던 것 같지만….) 하지만 다행히 서치는 관객이 익숙하지만 새로운 방식에 적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할애한다. 그 덕분에 과하게 확대되어 커다란 마우스 커서와 이제는 고전이 되어버린 친숙한 윈도우 XP의 화면, 딸깍딸깍하는 마우스의 클릭소리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영화의 오프닝이 끝나고 그 안에 몰입되어 있는 자신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관객의 시야기 제한되고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언어가 제한된다는 것은 연출에도 제한이 생기는 것과 같다. 관객은 새로운 것에 금방 적응하고 대부분은 새로운 것은 그 영화를 판단하는 첫번째 요소는 아니기에 서치의 감독은 이 양날의 검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스릴러와 가족 드라마의 두 마리 토끼를 성공적으로 잡았다. 스토리 자체는 스릴러, 드라마 두 장르 모두에서 봐도 크게 특별할 것은 없었지만 군더더기 없이 100분을 알차게 사용했고, 특별할 것 없는 스토리로 관객을 100분을 사로잡았다는 것은 관객들이 그들을 향한 새로운 언어에 좋은 평가를 보냈다는 뜻일 것이다. 


이 영화가 무엇보다 흥미로운 점은 등장인물의 상황과 감정을 이 영화의 주 무대인 스마트폰과 노트북(엄밀히 말하면 아이폰과 맥북)의 화면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행동은 그 자체로 받아들여지게 된다는 점이다. (그 행동의 주체는 등장인물이지만 보여지는 것은 마우스 커서일 것이다.) 이런 요소가 흥미로운 이유는 일상에서는 쉽게 접하지만 인물의 감정이나 상황을 표현하는 언어 그 자체로 사용된 일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그림, 말, 글, 영상 점차 무언가를 전달하는 언어가 그 무언가를 구체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발전해오고 있었으나, 어쩌면 영화의 언어로는 한 단계 후퇴한 방식을 사용하면서도 ‘무언가’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했다고 느껴지기 때문이다. 


영화의 많은 부분이 낯설었지만 관객인 내게 좋게 다가왔고, 어쩌면 뻔하다 할 수 있는 이야기이지만 이렇듯 뻔한 이야기를 낯선 연출을 활용하여 흥미롭게 연출한 것에 박수를 보내며, 감독의 다음 작품을 기대해 본다.


Searching (2018)


매거진의 이전글 맘마미아 2(2018)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