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손정빈 Feb 10. 2022

"I'm Here"

'메어 오브 이스트타운'에 관한 단상



1.

일전에 극찬한 적 있는 <메어 오브 이스트타운>은 국내엔 많이 알려진 드라마는 아닌 것 같다. 정말 훌륭한 작품이어서 잠깐 소개하자면, 작년에 방송된 HBO 드라마이고 케이트 윈슬렛이 주연했다. 메타크리틱 평점은 81점. 이 사이트에서 42개 매체의 평점 평균이 80점을 넘었다는 건 완성도가 매우 높은 작품이라는 의미다. 윈슬렛은 이 드라마로 골든글로브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이 작품은 웨이브에서 볼 수 있다.


2.

'메어 오브 이스트타운'은 삶의 고통에 관한 드라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메어(케이트 윈슬렛)라는 인물에 관한 이야기다. 그렇다고해서 메어의 고통에 대해서만 얘기하는 건 아니다. 제목엔 분명 한 단어가 더 있다. 이스트타운. 이스트타운에 사는 메어의 이웃들 역시 삶이 고통스러운 건 마찬가지다. 말하자면, 이 작품은 기막힌 불행을 마주한 예외적인 한 인간을 담은 게 아니라 보통의 불행 속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를 그리려 한다.


3.

징하게도 눈물겹다. 이 드라마 속에서 벌어진 비극의 크기 때문이 아니다. 크든 작든 비극은 종종 우릴 찾아온다는 것. 그 불행을 온몸으로 다 받아내면서도 결국 살아간다는 것. 머리부터 발끝까지 온갖 오물을 뒤집어쓰고 수차례 주저앉고 고꾸라지면서도 죽지 않고 견뎌내고 있는 그 광경은 애처로워서 자꾸 가슴을 친다. 이처럼 개같으면서도, 그래서 숭고하기만 한 이 삶이란 도대체 무어란 말인가.


4.

사실 여기까지만 얘기하면 '메어 오브 이스트타운'은 그리 특별해 보이지 않는다. '삶의 고통과 그럼에도 살아가야 하는 우리들'에 관해 얘기하는 뛰어난 영화·드라마는 이 작품 전에 이미 있었으니까(내가 가장 먼저 떠올린 영화는 '맨체스터 바이 더 씨'였다. 이 영화를 좋아하는 관객이라면 '메어 오브 이스트타운' 역시 좋아할 것이다). 그러면 무엇이 이 드라마를 특별하게 만드나. 그건 바로 메어의 직업이다.


5.

메어는 형사이기에 이스트타운에서 벌어지는 사건들 그리고 그 사건에 얽힌 사람들의 사정에 관해 잘 알수밖에 없다. 그런데 경찰이 개입해야 할 일이라는 건 대개 부정적인 것들이지 않나. 말하자면 메어는 그가 형사가 아니었다면 몰랐거나 혹은 자세히 알 수 없는 이스트타운 사람들이 겪는 갖가지 (고통스러운) 사건·사고를 매일같이 의무적으로 지켜봐야 하며 그런 일들에 관한 각종 사실 관계 등을 빠삭하게 알 수밖에 없다.


6.

그러니까 '메어 오브 이스트타운'에서 형사(메어)는 수사하는 사람이 아니라 고통과 슬픔을 함께 겪어내는 사람이다. 메어는 언제나 비극의 현장에 있어야 한다. 게다가 그 모든 환난의 경과를 파헤쳐 최대한 진실에 다가가야 한다. 또 이 과정에서 범법 행위가 있었다면 법의 심판을 받게 하고 죗값을 치르게 해야 한다(메어는 매우 유능한 형사다). 나는 이런 비슷한 일을 하는 존재를 알고 있다. 이 세상에서 벌어진 모든 일과 함께하며, 그 일들의 진상 또한 알고 있으며, 죄인을 벌하는 존재. 바로 신이다. 메어는 마치 성서 속 하나님을 대리하는 인물처럼 보인다. 혹은 하나님으로 보인다.


7.

여기서 잠깐, 반드시 짚고 넘어거야 하는 장면이 있다. 마크 부제(副題)의 설교 장면이다. 이 작품의 중심이 되는 사건이 발생한 후 그는 자신이 겪었던 이야기를 하나 해준다. 남자친구를 오토바이 사고로 떠나보낸 여자의 얘기다. 어느 날 성당 밖을 나오는데, 한 여자가 찾아와 자신과 신을 향해 욕설을 퍼부으며 소리를 질러댔다는 것이다. 그 목소리는 마치 왜 이런 일이 있어난 것인지 신을 변호해보라는 것처럼 들렸다고 한다. 마크 부제는 당시엔 아무 말도 못했지만, 이젠 이렇게 말해주고 싶다고 했다. "제가 여기 있습니다(I'm here)." 


8.

메어는 정말 하나님 같다. 그는 마치 구약성서 속 신이 그런 것처럼 매우 유능하면서(신이니까) 때론 난폭하다. 메어는 자신에게 주어진 힘(수사 권한)으로 이스트타운에서 벌어진 일들의 진실을 알고 있고(알게 되고), 그 내용을 공표함으로써 그 일에 엮인 이들에게 그들이 겪어야 할 합당한 고난을 기어코 가져다준다. 이스트타운의 사람들은 일이 생기면 메어를 찾고, 일이 해결되지 않으면 메어를 비난한다. 마치 우리가 하나님에게 그러는 것처럼 말이다. 가장 노골적인 설정은 메어가 아들을 잃었다는 점이다. 하나님이 자신의 아들을 세상에 내려보내 고통받게 하다가 결국 죽음에 이르게 한 것처럼.


9.

이제 다시 말하자. 메어는 하나님 같은 게 아니라 하나님이다. 고통 받는 사람들은 외친다. 도대체 신은 어디서 무얼 하는 거냐고. 왜 내게 이런 고통을 안겨주는 거냐고. '메어 오브 이스트타운'은 메어를 이용해 이렇게 말하는 것 같다. "내가 여기 있노라(I'm here)." 신은 우릴 버리지 않았다고, 신은 고통을 주지 않거나 덜어주는 존재가 아니라 함께 겪어내는 존재라고 이 작품은 말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메어(신)는 친구와 이웃에게 외면받고 욕을 먹고 심지어 폭행을 당하면서까지도 이스트타운을 떠날 생각이 없다. 그들과 함께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제 메어는 극심한 고통을 떠안은 채 살아가는 자신의 가장 친한 친구에게 가 이렇게 말한다. "I'm here."

작가의 이전글 즐거운 인터뷰, 좋은 인터뷰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