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빈트 부흐홀츠(Quint Buchholz)의 그림은 발음할 때마다 독특하고 생경한 그의 이름을 똑 닮았다. 어떤 일이든 일어날 수 있을 것 같은 곳, 스핑크스의 수수께끼처럼 묘하고 의미심장한 곳. <소피의 세계> 표지 삽화로 유명한 독일 일러스트레이터 크빈트 부흐홀츠의 세계로 초대한다.
처음 접했을 때 ‘마법 같다’는 생각이 저절로 떠오르는 그의 그림은 문득문득 어떤 것들을 연상시킨다. 초현실적인 풍경에서는 마그리트의 그림이, 캔버스 위에 콕콕 찍혀 그 풍경을 자아낸 수많은 점들에서는 쇠라의 그림이. 때로는 판타지 영화의 한 장면이나 특정한 시간대가 떠오를 때도 있다. 이를테면 서서히 어둠이 걷히기 시작하는 새벽이나 희뿌연 안개가 피어오르는 아침, 그러니까 어딘가 몽롱한 느낌을 풍기는 것들.
그곳에서는 늘 기이한 일들이 벌어진다. 책은 문자 그대로 또 다른 세계로 통하는 문이 되고, 통통배를 빌리려 찾은 선착장에선 손님을 기다리던 거대한 물고기를 마주치는 식이다. 환상적이라면 환상적이고 기괴하다면 기괴한 일들은 지난밤 꿈처럼 아스라한 풍경 속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일어난다. 보고 있자면 그 속으로 스르륵 빨려 들어가는 기분도 든다. 크빈트 부흐홀츠는 이렇게 묘한 그림들을 각종 책에 채워 넣으며 자신만의 세계를 지어 왔다.
그중에서도 <책그림책>은 스토리에 맞추어 삽화를 제작하는 대부분의 책과 정확히 반대로 제작된 흥미로운 작품이다. 탄생부터 죽음의 순간까지 책의 일생을 소재로 한 그의 그림 46점에, 46명의 작가가 기고한 글을 이어붙인 것이다. 그림에 대한 감상문부터 짤막한 단상, 한 페이지 분량의 소설까지 그 종류도 다양하지만 전 세계에서 참여한 작가들의 이름부터 어마어마하다. 밀란 쿤데라, 수전 손탁, 존 버거, 오르한 파묵…. 마이클 잭슨과 데이비드 보위, 퀸이 한 무대에 오른다거나 스티븐 스필버그, 클린트 이스트우드 그리고 박찬욱이 함께 영화를 만든다면 아마 이런 느낌이 아닐까 싶다.
실제로 <책그림책>은 그의 그림을 좋아하는 팬들뿐 아니라 전 세계 독자들로부터 뜨거운 반응을 불러일으켰고, 그 후로 비슷한 프로젝트를 통해 두 권의 책을 탄생시켰다. 바로 물을 소재로 한 <호수와 바다 이야기>, 해와 달과 별을 소재로 한 <달빛을 쫓는 사람>이다. 이른바 ‘부흐홀츠 트릴로지’라고 부를 수도 있을 이 세 권의 책들은 알 듯 말 듯 묘한 문장과 때때로 마음을 아릿하게 스치는 구절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중 한 편을 소개하자면 이렇다.
‘모리츠는 떠난다고 했다. 파울리네는 놀란 기색이었지만 나는 잠자코 있었다. 파울리네를 사랑했으니까. 내가 떠나면, 모리츠가 말했다. 너희들은 아무 일 없는 듯 함께 지내면 돼. 그 말에 파울리네는 이렇게 물었지. 어째서? 그녀의 말에 난 가슴이 아렸고 아무런 동요 없이 귀 기울이는 건 오직 달님뿐이었다.’
- 미하엘 크뤼거의 시집 <달빛을 쫓는 사람> 중에서
“캐나다에서 본 눈코끼리들. 정말 눈 깜짝할 동안만 보였지.”
“얼마 뒤 택시 한 대가 길모퉁이를 돌았지. 거리는 또 다시 텅 비고 쓸쓸해졌지 뭐야.”
그렇다고 해서 그가 늘 다른 작가들의 힘을 빌리는 건 아니다. 스스로 ‘순간을 수집하는 사람’이라고 소개하는 화가와 그의 믿기 어려운 여행담을 담은 그림책 <그림 속으로 떠난 여행>은 글과 그림 모두 혼자서 탄생시켰다. 수줍음이 너무 많아서 눈이 펑펑 내릴 때만 숲 밖으로 나온다는 눈코끼리, 프랑스의 어느 작은 도시를 날아다니는 서커스단 자동차 등 얼핏 팀 버튼의 영화 <빅 피쉬>를 연상시키는 이 작품으로 그는 스토리텔러로서의 면모를 입증해 보인다. ‘어떤 그림이든 비밀이 있어야 한다’는 의미심장한 대사를 통해 화가로서의 가치관을 슬쩍 보여주기도 한다. 재미있는 사실은 크빈트 부흐홀츠 역시 본인을 ‘순간 수집가’라고 불렀다는 것. 어쩌면 이 이야기는 그가 세상 모든 화가와 그림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바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누군가는 초현실적이라 평하고 또 누군가는 상상력이 뛰어나다고 평하는 크빈트 부흐홀츠의 세계. 그러나 그곳에는 어떤 문장으로도 표현되지 않는 무언가가 있다. 스스로 예술적 감성이 없다고 생각하던 사람조차 저도 모르게 어떤 이야기를 상상하게 하는 그 무언가. 한 살 두 살 많아질수록 상상할 시간은 점점 더 줄어드는 우리들, 한 번쯤은 물끄러미 그의 그림을 들여다보는 건 어떨까. 누가 알까? 내로라하는 작가들이 그 속에서 끄집어낸 이야기들이 우리에게도 들려올지. ‘올해 나는 지난 그 어느 때보다도 나이가 들었다’, ‘내가 바라본 그 별이 나를 이해한 것 같아. 우리의 언어가 통했던 거라구’ 같은 문장들이 우리 마음속에서도 회오리치고 있을지 모를 일이다.
*이 글은 인디포스트에 연재한 글입니다
Writer
전하영
언어를 뛰어넘어, 이야기에는 세상을 변화시키고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힘이 있다고 믿는다.마음속에 새로운 씨앗을 심어주고, 새로운 세계로의 통로가 되어주니까. 그래서 그림책에서부터 민담, 괴담, 문학, 영화까지 다양한 형태의 이야기들을 수집하고 있다. 이렇게 모은 이야기를 사람들에게 소개하는 중. 앞으로 직접 이야기를 만들기도 하며 더 풍성하고 가치 있는 세계를 만들어나가기를 꿈꾸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