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성진 Apr 23. 2024

흙을 퍼먹어도 빛나는 20대는 고이접어 바람에 나빌레라

물류센터에서 출고 알바 하루 뛰었다고 관절 마디마디가 비명을 지른다. 몸이 예전 같지 않다는 말은, 스물한 살 즈음부터 영양가 없는 고봉밥처럼 잔뜩 쌓아두었는데 이제야 혈당 스파이크를 맞는 기분이다. 이틀을 예정했던 육체노동은 삐거덕거리는 팔을 핑계 삼아 미래에 맡겨두었다. 생활비가 바닥을 보이면 줄여야 할 커피와 햇살 역시 미래의 내가 감당해야 할 몫이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 하는 물음이 언제까지나 철학적이고 실존적인 물음으로 남아있었으면 했다. 흙을 퍼먹어도 빛나는 20대는 고이 접어 바람에 나빌레라. 한 사람의 몫을 해가며 생활을 영위하지 않으면 품위를 챙기지 못하는 이 나이엔, 어떻게 살아야 할까 하는 물음은 그저 생존의 처절한 비명이다. 노동은 신성하다는 뽕에 취해 갓 스물 먹을 때부터 공장, 공사판, 상하차, 카페, 예식장 이리저리 맛을 봐 왔지만 내게 남은 건 ‘도무지 일머리 없음’이라는 딱지, 아울러 노동은 사실 신성한 게 아니라 지랄맞을 뿐이지만 그런 뽕이라도 있어야 하루는 더 살아간다는 눈물겨운 깨달음이다.     


나는 혼자서 살아갈 수 없다. 내가 발붙이고 숨 쉬는 이 땅에서 뿌리를 내린 이상 나를 둘러싼 것들은 곧 나를 이룬다. 그대들이 필요하다는 고백을 이렇게 돌려서 한다. 아 물론 돈 빌려달라는 소린 아니다(너 정도면 10만원까지는 가능하다고 말해준 친구에게 감사를). 그저 나의 세계와 내가 상호작용하는 관계 위에서만 서로가 존재할 수 있다고 한다면 나는 그대들에게 어떠한 사람인지 궁금해질 따름이다. 나의 세계를 돌보는 게 결국 나를 돌보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느끼는 지금에선, 내 맘대로 살면서 몸부림치더라도 다른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유익한 방향으로 머리를 두고 싶다는 욕심은 있으니까.     


내 입으로 말하긴 쑥스럽지만, 나의 팬을 자처하는 이들이 더러 있다. 하고 싶은 거 하면서 살아가는 모습이 부럽다나. 나이 먹으면 자신을 내려놓고 세상의 흐름에 몸을 맡겨야 할 테지만 그 와중에 서핑보드 하나 챙겨서 파도 타고 있을 놈이라는 소리까지 들어봤다. 오 영광이어라, 살면서 나쁜 짓은 조금씩만 하고 살아야겠다.     

모범적인 사람이 되야겠다는 다짐은 니체를 읽으면서부터 꽤 내려놓았다. 타인에게 목적지의 모습이 된다는 건 멋쩍은 일이다. 최후방어선 정도면 어떨까. ‘저렇게 살아야지’가 아니라 ‘저렇게도 살아는 지는구나’라는 느낌을 줄 수 있다면 성공이다. 낭만을 외치며 기행을 일삼는 나를 봐서라도 그대들은 하루를 더 세상에 발을 붙여달라. 그대의 삶을 긍정하며, Amor Fati..     


언젠가 이런 생활을 내려놓아야 할 때가 올 테다. 그땐 지나고 보니 다 부질없는 짓이었다는 회고를 할 것이다. 그렇지만 일단 가볼 수 있을 때까지는 가보려 한다. 우스꽝스러운 이야기 말고는 아무것도 남지 않는 섬으로의 항해를. 잔치가 끝나는 지점에서 일상은 시작되니까.



우스꽝스러운 이야기의 섬, 라프텔로 향하여



작가의 이전글 정말이지 삶은, 어떻게든 나를 속이려 든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