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보통마케터 Mar 14. 2024

브랜드 네이밍(이름)을 기획하는 5가지 방법

고객이 브랜드를 기억하게 되는 시작에 브랜드 이름이 있습니다. 어떤 이미지로 각인 시키고 기억되게 할 것인가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브랜드를 시작하기에 앞서 이름을 정하는 일은 신중하고 고민이 많이 되는 지점이죠.

브랜드 네임은 부르기 쉽고, 경쟁사와 구분될 수 있어야 하며 한번만 들어도 기억될 수 있게 길지 않아야 합니다. 오늘은 몇가지 사례를 통해 브랜드 네이밍을 어떻게 기획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시장/제품

브랜드가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명확하게 드러낼 수 있는 이름을 선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름을 듣는 순간 어떤 업종에 무엇을 파는 업체인지 바로 떠올릴 수 있어야 하죠. 랭킹닭컴은 닭가슴살 브랜드를 모아 순위별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로 시작했습니다. 이름 그대로 닭(가슴살)의 랭킹을 보여주는 서비스였고 이름만 들어도 그들의 비즈니스를 떠올릴 수 있죠.

이 방식의 장점은 브랜드 이름과 시장을 단번에 인지 시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단점으로는 추후 브랜드 확장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습니다. 닭가슴살 시장이 아닌 다른 시장으로 진출이나 확장을 할 때 이름이 방해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02. 상징성

토스(Toss)는 공이나 물건을 상대방에서 전달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바일 금융 서비스 시장을 개척한 토스는 쉽고 간편한 금융 경험을 제공하는것이고 브랜드 이름에 그들의 의지가 담겨 있죠. 마치 ‘그 공 나한테 토스해’와 같이 쉽게 금융을 이해시키겠다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상징성은 기존의 단어나 문장에 브랜드의 의미를 담아 표현해냅니다. 또 다른 예시로는 아마존(AmaZon)이 있는데 세계에서 가장 큰 열대우림처럼 모든 상품을 판매하겠다는 상징성과 함께 알파벳 A와 Z를 연결하는 화살표 역시 모든 제품을 다 담아내겠다는 상징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03. 조합/합성어

안마의자 브랜드 코지마(COZYMA)는 편안하다는 뜻의 Cozy와 마사지의(Massage)의 합성어입니다.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는 방식을 통해 익숙한듯 다른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기억되기 쉽습니다. 발명된 이름이기 때문에 상표권 등록에서 유리하지만 생소한 이름이기 때문에 고객의 이해를 돕기 위한 스토리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또 다른 예시로는 티빙이 있습니다. TV와 ING의 합성어로 티비의 현재진행형의 의미로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습관적으로 티빙을 계속해서 사용하도록 만들겠다는 의지를 담았다고 합니다.

04. 말장난/언어유희

던킨도너츠의 던킨은 '(커피에) 적셔 먹는 도넛' 이란 의미로 Dunking의 슬랭 표현에서 따와 브랜드 이름이 되었다고 합니다. 도너츠와 커피를 판매하며 성장한 브랜드의 시작이 그대로 이름이 된거죠. 이런 사례들 역시 꽤 많습니다. 블록 장난감 회사 레고(LEGO)는 ‘잘 논다(leg godt)’라는 덴마크어에서 시작되었으며, 구글 역시 10의 100제곱을 뜻하는 고골(googol)을 사명으로 사용하려던 과정에서 오타자(?)로 인해 지금의 구글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죠.

말장난과 언어유희 등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에피소드가 그대로 히스토리가 되어 회자 되기도 합니다.

05. 지역/지리적

지리적 이름의 경우 해당 지역이 주는 문화적, 자연적, 역사적 연관성을 그대로 가져와 브랜드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독일이라고 하면 왠지 기술적일 거 같고 프랑스라고 하면 와인과 빵을 떠올리는 거 처럼 특정 지역이 브랜드 이름에 포함시켜 신뢰와 지원을 할 수 있죠.

제주삼다수는 제주도가 주는 청정한 이미지와 화산암반층에서 시작되는 맑고 순수한 물의 이미지를 그대로 브랜드 자산으로 활용했습니다. 국내 유일의 화산 암반수라는 독보적인 이미지도 함께 확보하며 다소 비싼 가격이지만 고객이 선택하게 만들었습니다.

특히 한국은 제주도를 브랜드 자산으로 활용한 브랜드 전략이 많습니다. 에일맥주 시장을 성장시킨 제주맥주와 제주 방언을 활용한 네이밍의 깨수깡 그리고한라산 소주와 같이 제주도에서 시작해 전국으로 확장된 케이스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마케터 #마케팅 #스타트업 #프리랜서 #보통마케터 #브랜드 #브랜딩 #브랜드네임 #브랜드기획 #토스

작가의 이전글 맘스터치는 어떻게 레드오션에서 살아남았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