뫼르소의 죽음에서 삶을 생각하다
실존주의 문학의 대표 작가인 알베르 카뮈의 걸작이자 문학사에 한 획을 그었다는 <이방인>, 그가 이야기하는 부조리와 실존은 무엇일까? 질문하며 시작한 책이다.
주인공 뫼르소의 시선에서 자기 이야기를 들려주는 1인칭 시점으로, 1부와 2부로 나누어진다.
줄거리는 간단하다. 뫼르소는 어머니가 계셨던 요양소로부터 부고 연락을 받아 휴가를 내고 장례식에 참석한다. 울음을 보이진 않았다. 이후 연인 마리와 사랑을 나누기도 하고, 영화를 보고 바닷가에서 헤엄도 치며 즐거움을 느낀다. 이웃 레몽의 도움 요청에 응해 그를 위한 편지를 써주기도 한다. 자신의 연인 마리와 이웃 레몽, 그리고 그의 친구와 부인과 함께 바닷가에서 놀던 날, 남자 셋과 아랍인들 간의 싸움이 붙는다. 뫼르소는 아랍인 한 명을 죽이고 만다. 그 사람에게 특별한 원한이 있어서도, 살인 충동을 느껴서도 아니었다. 그는 그저 “태양” 때문에 총을 쐈을 뿐이다. 법정에서도 살인을 한 것은 “그저 우연”이라고 일관한다.
“나는 내가 대낮의 균형과, 내가 행복을 느끼고 있었던 어느 바닷가의 그 특별한 침묵을 깨뜨려 버렸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나는 그 움직이지 않는 몸에 다시 네 발을 쏘았다. 총알들은 깊이 들어가 박혀 보이지 않았다. 그것은 마치, 내가 불행의 문을 두드리는 네 번의 짧은 노크 소리와도 같았다.”
이 살인사건으로 인해 뫼르소는 수감되고, 재판을 받으며, 사형선고에 처해진다. 사형선고는 그가 처음으로 삶을 의식하기 시작한 계기였다. 그리고 말한다. “처음으로 세계의 정다운 무관심에 마음을 열고 있었”노라고. 세계와 자신이 닮아있음을 깨닫자, 그는 “전에도 행복했고, 지금도 여전히 행복하다”라고 느꼈다.
1. 뫼르소는 어떤 인물로 보였는가
뫼르소는 모든 것에 무심한 사람이다. 엄마가 죽었음에도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 (중략) 그것만으로는 아무런 뜻이 없다. 어쩌면 어제였는지도 모르겠다.” 며 남의 일처럼 방관하는 모습을 보인다. 장례식이 끝나고 나서도, 이제는 잠을 실컷 잘 수 있음에 기뻐하며 엄마의 죽음이 자신의 잠보 다도 인생에서 중요하지 않은 것처럼 대한다.
눈물 한 방울 흘리지 않는 뫼르소는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는 파렴치하고 부도덕한, 인간성을 상실한 사람처럼 보일지 모르겠다. 그리고 이러한 시선은 뫼르소가 사형선고를 받게 되는 중요한 고리로 작동한다.
연인 마리가 결혼하고 싶다는 말에도, “그런 건 전혀 중요하지 않지만 마리가 원한다면 결혼할 수 있다” 고 말한다. 사람들 간의 관계에서 지켜야 할 어떤 예의의 테두리에서 벗어나 있는 사람처럼 보였다.
감정을 느끼고 인지하는 것에 미숙한 것일까 싶으면서도 자신이 좋아하는 헤엄치는 느낌, 파도 소리, 물속에서의 해방감 따위를 갈망하는 것을 보면 꼭 그렇지만은 않다. 법정에서 검사가 자기를 향해 모진 말을 내뱉고 강렬하게 쏘아보는 눈빛에 “울음이 터져 나올 것만 같은 심정”이 들기도 하니 말이다.
태양, 바다, 영화 구경, 쾌락을 원하고 그에 만족하며 살아가는 모습은 바다 위에 둥둥 떠서 흘러가는 작은 종이배 하나를 연상시킨다. 심한 요동도 없거니와 인생사에서 풍파 같은 것은 중요하지 않다고 믿는. 인생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관해서는 전혀 관심이 없어 보인다.
2. 뫼르소는 왜 “이방인”인가
하지만 법정에서의 시간, 사형선고 이후의 시간 속에서 뫼르소를 관찰하자면, 그의 독특한 면모를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이 카뮈가 비추고자 했던 뫼르소의 참 모습일 것이다.
그것은 바로 “진실만을 말하는”, “거짓말” 하지 않는 태도이다. 인간은 사회 속에서 살아가다 보면 사회의 규범에 순응하거나 좋은 이미지나 성과를 얻기 위해 자신의 본모습을 숨기고 가면을 쓰기도 한다. 실제 이상의 것을 말하기도 한다. 재판에서 자기에게 유리한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라도 뫼르소는 그렇게 해야 했다. 하지만 뫼르소는 그러지 않았다. 그는 어찌 보면 자신에게 불리할 수 있는 진술도 그것이 “사실”이라면 그냥 했다. 스스로 죄를 뉘우친다고 말하기를 요구받는 상황에서도 “귀찮다”는 감정에 솔직해버리는 탓에 뫼르소에 대한 사법권력의 시선은 냉철하기만 했다.
뫼르소는 진실을 위해서라면 죽음도 마다하지 않은 것이다.
사실 이런 점에서 뫼르소가 왜 “이방인”인가에 관한 의문은 해소된다. <이방인>이라는 소설의 제목은 무엇을 표상하는가, 이 또한 어렵지 않다. 간단히 말하면 보통 사람과 비슷한 선택이나 행동을 하지 않는다. 상식 밖에, 특정 상황에서는 어떠해야 한다라는 규범 밖에 있는 인물이다. 자신의 삶에서도 그는 철저한 이방인이었다.
3. 뫼르소의 삶에서 읽는 죽음
카뮈의 인간 존재에 대한 이해, 그리고 실존주의 철학 사조는 뫼르소가 죽음을 대하는 태도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뫼르소는 본디 삶에 대한 별 생각이 없고, 무엇이 중요한지에 관해서도 별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것 같지 않은가? 그리고 남들의 질문에 “대답하는” 삶만을 살아오는 그다. 하지만 사형선고 이후 사형일이 다가오기를 하염없이 불안해하던 어느 날, 사제를 면회할 때 그의 속내가 터져 나온다.
4. 재판의 세계에 대한 카뮈의 비판
번외로 카뮈가 풀어내는 재판의 세계를 관찰하는 것도 흥미로웠다. 신문기자 활동을 하며 법정을 경험했던 것이 이 소설에 묻어있다고 하는데,
카뮈의 날카로운 시선은 “(어쩌면 만들어진) 죄인”을 소외시키는 법의 언어로 향한다.
“이를테면 사람들은 나를 빼놓은 채 사건을 다루고 있는 것 같았다.”
뫼르소에게는 제대로 된 발언권조차 주어지지 않았던 기울어진 힘의 장에서, 그의 살인은 어머니의 죽음에도 슬퍼하지 않고 여인과 쾌락을 즐기는 파렴치한 인간 말종의 계획적 범죄로 해석되고 구성되었다. 결국 뫼르소의 소외와 비극적인 최후는 한 개인을 지우고 권력으로 "구성"해낸 사실을 공표하는 사법의 메커니즘에 대한 카뮈의 비판적 의식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한다.
“우리 사회에서 자기 어머니의 장례식에서 울지 않은 사람은 누구나 사형 선고를 받을 위험이 있다.”
<이방인>에 대한 알베르 카뮈 본인의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