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꿈꾸는 노마드 Apr 20. 2024

슬쩍슬쩍 나의 내면까지 탐구하며 읽은 책

폴 오스터의 ‘내면 보고서’ 

어린 날의, 젊은 날의 초상화쯤으로 해석할 수 있을 폴 오스터의 이 책을 읽었다. 

평소 좋아하던 작가다 보니 무한한 기대감을 갖고 말이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말해 이 책은 내게 나의 어린 시절, 젊은 날을 떠오르게 했던 내 내면의 탐구로의 초대장쯤으로 여길만한 가치와 함께 세상의 사람들 모두 그들만의 추억과 상처와 아픔과 기쁨이 있다는 건 어쩜 전적으로 옳지 않은 추측일 수도 있겠단 생각을 내게 불어넣었다.


가령, 그가 추억하는 과거는 이전 내가 다른 책에서 많이 읽어본 그런 것들과 유사점을 많이 보였다. 프로스트의 그 유명한 ‘마들렌 이야기’만큼이나 폴 오스터의 과거 추억은 내게 폭신폭신하면서도 달콤한 과거의 여러 자락들을 내보였으니 말이다. 

카프카였던가? 그의 부모 역시 유대인 출신으로 노상 바빠 자식들을 돌 볼 틈이 없었고, 어쩌면 그런 부모덕에 카프카는 자기 본연으로의 탐구를 일찌감치 시작할 수 있었을지도 모르겠단 예감이 있는데, 그런 점이 폴 오스터 역시 많이 닮아 있었다.


그밖에 폴 오스터는 그가 성장해 온 시대를 관통하는 다양한 사건들 혹은 사고들, 그의 사유들을 이 책에서 하나하나 풀어놓는다. 물론 그가 시대정신을 요구하는 거대담론들만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그의 학창 시절, 첫 댄스의 추억, 소녀들을 향해 가슴 뛰었던 풋풋했던 순간들 또한 소박한 눈과 사유로 우리들에게 안도감을 전한다. 

무릇 위대한 작가 역시 어쩔 수 없는 어리바리한 시절이 있었음을, 미숙하고 불완전함으로 가슴 졸였던 순간들, 머무르고 싶었던 순간들이 있었음을 상기시키며 미묘한 동류의식을 전하면서 말이다.


또한 영화와 시나리오 쓰기에 관심이 많았던 그였음 증명하듯 그의 과거 이야기엔 영화에 대한 추억 역시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물론 그가 관심을 가졌던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들에 대한 언급, 철학자들의 철학과 그 당시의 사회상에 관한 보고 역시 빠지지 않고 빽빽이 촘촘하게 우리에게 말을 건네고 있다.


요즘의 내 일상이 번잡하다 보니 이 책 또한 충실히 읽어냈다곤 절대 말할 수 없겠다. 

고로 난 다시 이 책을 읽을 것이다. 그땐 아주 깊이 침잠하여 좀 더 그의 내면에 가까워지길 소망하며 그렇게 충실하게 읽어낼 것이다. 그날이 몹시도 기대된다.

작가의 이전글 ‘몽고반점’은 ‘주홍글씨’와 같은 낙인을 의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