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심동훈 Oct 10. 2024

외로움과 벽

외로운 인간을 가두는 벽에 대해

인간은 외로움을 느낀다. 외로움은 인간의 본성이 아닌 사회적 변화와 함께 찾아온 감정이다. 외로움이란 산업혁명 이후 형성된 근대의 개념이다. 산업혁명 시대 급속도로 증가한 인구 공급은 당시의 노동력 수요를 넘어섰다. 이로 인해 ‘실업’이라는 개념이 최초로 생겨났다. 실업 상태에 놓인 인간은 처음으로 자신의 가치가 상실되는 경험을 한다. 자신의 존재가 부정당한 실업자는 타자의 인정을 받으며 살아갈 터전을 잃은 느낌과 자신이 쓸모없어졌다는 느낌을 가지게 되었다. 외로움은 이렇게 산업혁명 이후 인간의 새로운 경험 속에서 학습된 감정이다.

 

근대 사회에서 외로움을 느끼는 인간은 벽에 갇힌다. ‘감옥’이라는 벽이다. 실업이란 현실과 성공이란 이상이 충돌하는 지점에서 괴리가 발생하고, 자신의 가치가 부정당함을 느낀 개인은 사회에 적응하지 못한다. 사회에 적응하지 못한 개인은 고립된다. 고립된 개인에게는 정신착란 증세가 나타난다. 정신병에 걸린 이들을 근대 사회는 규율로써 통제한다. 정신착란을 보이는 개인을 사회에서 배제시키기 위해 감옥에 가둔다.

 

현대 사회의 개인도 외롭다. 외로움을 느끼는 개인은 ‘인터넷’의 벽에 갇힌다. 현대 사회는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더 깊게, 자주 발생한다. 현대의 신자유주의 체제는 자유로운 사회지만, 자유는 과잉확산되고, 주체는 이에 예속된다. 모든 행동에 대한 책임을 스스로 져야 하는 현대 사회에 적응하지 못한 개인은 뒤처진다. 낙오된 개인은 공동체와 유리된 채로 고립된다.

 

신자유주의 체제는 고립된 개인을 인터넷이란 감옥에 가둔다. 스스로 들어가게 된다는 말이 더 적합하다. 신자유주의의 빅브라더인 빅데이터는 고립의 심화를 부추긴다. 자유에 예속되었으나 자유롭다 느끼는 개인은 빅데이터가 유도한 커뮤니티 속에서 헤어나오지 못한다. 비슷한 처지에 놓였거나, 같은 것만을 보고 느끼는 사람들과의 연결만 제공하며 편향성을 만들고, 편향성이 확장되어 탈진실 현상이 나타난다. 탈진실 현상은 사실보다는 내가 느끼는 감정에 치중해, 사실을 왜곡하는 현실이다.

 

철학자 리 매킨타이어는 탈진실 현상이 전체주의 지배의 전조라 말했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비춰보면 현대사회의 외로움을 방치한다면 우리는 또다시 전체주의가 지배하는 사회를 마주할 수 있다는 의미다. 역사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선, 우리는 외로움을 타파해야 한다. 외로움이 만든 벽 속에 갇힌 이들에게 당신을 도울 사람이 있음을 알려야 한다. 고립된 개인은 공동체의 존재를 자각하고 자신을 둘러싼 벽을 깨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렇게 개인과 공동체의 노력이 함께 이뤄져 줄탁동시 (啐啄同時)를 이룰 수 있다면, 현대사회를 사는 우리에게 놓인 더 큰 위협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