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BLE Project Nov 01. 2018

블록체인 기술 Research 업데이트




- Ethereum

: 이더리움 콘스탄티노플 하드포크는 Ropsten 테스트넷에서 컨센서스 및 신규 블록 생성 문제를 겪었고, 하드포크 일정은 2019년 1월 이후로 연기.

: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블록 생성 보상에 따른 인플레이션은 현재 7.4% 로 추정되고 있음. 이는 이더리움 가격 하락에 영향을 주고 있음. EIP-1234 도입 이후, 블록 리워드가 3ETH -> 2ETH 로 줄어들게 되면 4.7% 수준으로 안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난이도 폭탄은 12개월 이후로 미뤄지면서, 채굴방식의 POW 에서 스테이킹 방식의 POS 전환하는 캐스퍼 도입시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음.



- Omisego : More Viable Plasma

: 플라즈마는 스마트컨트렉트를 통해 이더리움 메인넷 위에 새로운 블록체인을 올려 스케일링 문제를 해결하는 프레임워크 기술.

: 사이드체인은 사이드체인 상 문제가 생기면 사이드체인 상의 State 를 잃어버리면서 자산 분실에 대한 리스크가 있음. 플라즈마의 Exit Game 을 통해서 사용자가 상위 레이어의 블록체인으로 안전하게 이주할 수 있다는 것이 사이드체인과 가장 큰 차이점.

: Minimal Viable Plasma 가 제안된 이래 다양한 접근방식으로 연구 진행 중. More Viable Plasma, Plasma Cash, Plasma XT, Plasma Debit 등 다양한 기술 접근을 통해 사용 시나리오에 따라 이용되는 플라즈마 프레임워크가 구분되고 있음.

: Tesuji Plasma : 현재 Omisego Minimal Viable Plasma 기반으로 내부 테스트넷 상 오딧을 통해 다양한 피드백을 받으며 검증 과정 중에 있음. 향후 More Viable Plasma 를 통해 보안과 UX 향상 버전으로 공개 테스트넷 상 검증 과정을 거칠 것임.



- ABLE 플라즈마 Research

: Minimum Viable Plasma 기반 플라즈마 컨트렉트 구현과 내부 이더리움 테스트넷 운영을 통해 테스트 환경 구축 준비 중.

: More Viable Plasma 및 Plasma Cash 기술 리뷰 진행 중.

: 이더리움 자체의 스케일링 일정이 연기되면서 플라즈마 일정이 영향을 받음. 에이블 플라즈마 기반 이더리움 메인넷과 개별 메인넷 투트랙으로 개발 전략.

: 플라즈마의 핵심은 Exit Game 을 통해 악의적인 공격으로부터 자산을 보호하는 것인데, 이는 현재 이더리움 성능으로는 지원하기 어려움. 이더리움 POS 전환 및 영지식증명 도입 등 TPS 증가 이후 플라즈마 기반의 스케일링 솔루션이 확장될 것으로 예상함.

: 플라즈마 컨트렉트의 구현이 중요하지만 테스트넷 및 퍼블릭넷에서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컨트렉트를 보안하는 과정이 플라즈마 기술의 핵심요소임.


작가의 이전글 ABLX 2억개 1차 바이백 소각 공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