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은정 Dec 08. 2021

삼성과 네이버의 파격인사 기사를 접하고

따뜻하고 정감 어렸던 어린 시절이 생각나는 이유



나는 77년생이다.

올해 6월 회사를 퇴사하기 전까지, 난 내 나이가 많다고 생각한 적이 없었다. 퇴사를 하고 한 두 군대 이력서를 내면서 사회 구성원으로 나는 이제 나이가 많은 부류에 속하는구나..라고 절실히 느끼고 있다.


요즘 삼성과 네이버의 파격 인사 기사를 심심치 않게 접한다. MZ세대. 30,40대 임원과 CEO의 기사 말이다.

하긴.. 국민의 힘 이준석 대표의 당선 때도 꽤 시끄러웠지.


'뉴'라는 수식어가 붙는 파격적 인사개편의 이유는 성과주의, 세대교체라고 한다. 그런데 어쩐지 그런 기사를 볼 때마다 조금은 억울하면서 힘이 빠지는 느낌이다. 나이가 많고 적음, 능력의 유무를 판단하는 사회적 기준이 꼭 1980년대 이후에 태어나는 것을 마지노선으로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물론, 네이버와 삼성의 MZ임원들과 같은 경우는 극 소수의 케이스라는 걸 알지만, 이미 사회적 분위기는 임원 직함을 가지지 못한 평범한 40대 중반의 직장인들은 퇴임을 앞둔, 무능력하며 잔소리만 많은 꼰대 취급을 하는 듯하다.

41세 이하 지원 가능(1980년대생부터 지원 가능) 이란 구인란의 조건을 볼 때마다, 45세에 퇴직하게 생겼네. 헛웃음이 나온다.


내가 기억하는 부모님 세대, 즉 우리 엄마 아빠의 40대는 젊고 활기찼으며 강인했다. 급변하는 사회에서 사람조차 너무 빨리 소비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에 씁쓸하다.

현시대 제조업의 쇠퇴와 단기적 일자리의 급증,  사람의 인력을 필요로 하는 제대로 된 일자리의 감소가 결국 일자리 쟁탈전을 일으키고 세대 갈등과 상실감을 낳는 원인이지 않나 생각해본다.


사회는 앞으로 더 급변할 테고, 사람을 필요로 하는 일자리는 더 줄어들고 갈등은 더 심화될 텐데 걱정이다.

십 년 뒤에는 20대 파격인사의 기사를 끝으로 그 이후엔 모든 인간의 잉여화 세상이 오지 않을까 무섭기까지 하다. 인간의 가치를 다시금 생각해본다.







작가의 이전글 영화 이야기_ 얼라이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