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차생활의 시작은 지갑으로부터
취미가 많은 편이다. 요리, 뜨개, 베이킹, 운동, 독서, 게임, 아이돌 덕질 등 남들이 취미라고 말할 법한 것들을 가성비로, 짧고 얕게, 혼자서 즐긴다. 어디 가서 스몰토크로 어떤 주제가 나와도 맞장구는 쳐 줄 수 있을 정도.
그러던 내게 과소비(?)를 하면서, 길고 깊게, 다른 사람들과 함께 즐기고 있는 취미가 생겼다. 바로 차(茶)다.
'이런 취미는 <차>가 처음이야!'에 대해 하나씩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내 지갑을 열게 한 취미, 차(茶)
어린 시절 유복하지 못해서(?) 세뱃돈을 받으면 다음 명절까지 용돈으로 썼다. 큰 금액이 아니었기에 갖고 싶은 것을 내 돈으로 사본 경험이 거의 없다. 그래서 돈을 '잘' 못쓰는 편이다. 20대 중반쯤 사회생활을 시작하며 돈을 벌어도, 고기도 먹어본 놈이 먹는다고 돈을 쓰는 것이 쉽지 않았다. 취미 생활을 하더라도 당연히 최대한 가성비로 하는데 독서는 도서관에서, 게임은 추가 과금 없이, 아이돌 덕질은 방송 챙겨보고 앨범은 딱 1개만 사는 정도(같은 앨범이 몇 가지 버전의 디자인으로 출시되어 버전별로 전부 구입하는 경우가 많다)다.
근데 <차>는 조금 달랐다. 내가 지갑을 열었고, 카드를 긁었다.
처음 차를 마시게 된 건 많은 사람들이 그렇듯 '커피를 못 마셔서'였다. 카페인에 예민한 타입이라 커피만 마시면 심장이 벌렁거리고, 배도 아프고, 정신이 붕 뜬 기분이 들고, 밤에 잠을 못 잔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차'를 찾게 되었다.
여기서 잠깐 오해를 막기 위해 차 오타쿠로서 구구절절 설명해 보자면, '차'에는 카페인이 있고, 보통 알고 있는 차들이 전부 '차'는 아니다. 무슨 말인가 싶을 텐데, 허브차(페퍼민트, 캐모마일 등)나 곡물차(보리차, 둥굴레차), 꽃차(국화차, 매화차) 등은 엄밀히 말하면 '차'가 아니다. 이들은 '대용차'로 분류되며, 카페인이 없다. 실제로 '차'는 차나무의 잎으로 만든 차만을 뜻하며, 백차, 황차, 녹차, 홍차, 청차(우롱차), 흑차(ex. 보이차)로 분류된다. 이를 6대 다류라고 한다. 이 진짜 '차'는 모두 카페인이 있다. 다만 테아닌이라는 성분이 함께 들어 있는데 테아닌은 카페인 흡수를 막고 배출을 돕는다. 카페인이 있지만 커피보다 흡수가 적고 배출이 빨라, 카페인으로 인한 불편감은 적다고 볼 수 있다.
아무튼 과거의 나는 허브차도 홍차도 녹차도 다 같은 차라고 생각했고, 카페인이 들어있을 거라 생각도 못한 채 카페를 가면 자연스럽게 차를 주문했다. 그러던 중 일본의 차 브랜드인 '루피시아'의 가향 홍차를 알게 되었고, 그 향긋한 신세계에 빠지게 되었다.
여기서 또 차 오타쿠적 모먼트를 뽐내보자면, 가향 홍차는 홍차에 향을 넣거나, 향이 나는 재료(꽃잎, 열매 등)를 함께 넣어 섞어 만든다. 상큼한 과일 향이 나기도 하고 달콤한 꽃 향이 나기도 한다. 특히 루피시아의 사쿠람보, 캐롤 등의 가향 홍차는 차를 모르는 이들에게 내어주면 매번 감탄한다.
그리고 홍차를 마시다 보니 나도 모르게 로판 소설 영애의 동경이 생겼는지 어쨌는지(정작 로판 소설은 보지도 않는다) '애프터눈 티세트'와 '서양식 홍차 티팟과 찻잔'이 예뻐 보이기 시작했다. 애프터눈 티세트 1인 비용은 대략 2만원대 였는데 두세 번 갔을 정도니 그 당시 내 기준 '과소비'다. (아, 티팟과 찻잔은 티팟만 해도 10만 원이 훌쩍 넘어서 살 엄두는 내지 못했고, 친구들이 돈을 모아 생일 선물로 사줘서 갖게 되었다.)
고작 애프터눈 티세트 몇 번 사 먹은 걸로 나에게 <차>가 과소비 취미일리는 없다. 진짜는 30대, 결혼까지 하고 이래저래 삶이 안정이 되었을 때 다시 만난 <차>에서 시작했다.
20대 때 다니던 회사의 상사가 보이차에 푹 빠져 다예사(차 전문가)가 되셨다. 어떻게 연이 다시 닿아 인사도 할 겸 보이차 원데이클래스에 참석했다가 처음으로 '차나무 잎'으로 만드는 차만이 '차'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같은 차나무 잎으로 만드는데, 어떻게 다 다른 맛을 내지?'라며 차의 매력을 알게 되었다. 차의 맛뿐만 아니라 차를 우리는 행위 자체가, 함께 모인 찻자리가 주는 안정감과 평온함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새로운 세계를 알게 된 나는 도파민이 뿜어져 나오는 상태로 나는 집에 오게 되었고 바로 보이차 정규 클래스를 듣기로 결심했다.
보이차 정규 클래스는 6회 과정으로 회당 5만 원 정도 금액이었다. 게다가 보이차를 우리는 다관(찻주전자)인 자사호를 구매해야 했다. 자사호는 중국 이싱 지역에서 나는 독특한 흙인 자사토로 만든 다관인데, 우리나라 옹기처럼 숨을 쉬는 것이 특징이다. 내가 당시 구매한 자사호는 입문용이지만 15만 원 정도 했으며, 함께 산 보이차도 금액이 꽤 되었다. 이후에 따로 찻잔과 숙우(우려낸 차를 부어두는 용기)까지 샀으니 큰 금액을 처음으로 취미에 쓴 것이다.
20대 때보단 경제적 여유가 생긴 시점이기도 했지만, 30대 중반인 지금도 편의점 삼각김밥 가격표를 보고 고르는 걸 보면 차에 큰돈을 턱 쓴 건 이례적인 일이 아닌가 싶다.
나의 과소비(?)는 시작일 뿐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차수업도 몇 번 더 듣고, 티소믈리에 자격증을 '취미'로 딴다며 100만 원에 가까운 금액을 지출했다. 차나 다구를 큰 고민 없이 턱턱 사는 건 일상이다. 오로지 차 경험을 위해 우리나라 차의 고장인 하동 여행까지 몇 번 다녀오고, 얼마 전에는 대만까지 가서 찻집 투어를 하고 왔다.
굳게 닫힌 내 지갑을 쉽게 여는 차의 매력.
이 매력을 나만 알기엔 좀 아쉽다. 그러니 계속 글을 써 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