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라 포이트라스 감독 <낸 골딘, 모든 아름다움과 유혈사태> (2024)
해당 리뷰는 씨네랩의 시사회 초청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
사진작가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들이 으레 그러하듯 이 영화 역시 낸 골딘의 사진에 어느 정도 빚을 지고 있다. 낸 골딘이 자신의 과거를 담담히 풀어놓는 동안 스크린 위로 사진 슬라이드 쇼가 펼쳐진다. 한 장 한 장의 사진이 갖는 에너지는 음악과 음성이 더해져 시대의 저항이 들끓었던 그곳으로 관객을 오롯이 데려간다. 낸의 유일한 언어는 사진이었고, 소외와 배척은 예술로 향하는 길이 되어 주었다. 낸 골딘의 삶은 세상과의 부딪침으로 이루어져 있다. 불안정한 가정환경과 언니 바버라의 자살, 성소수자, 폭력, 약물 중독. 사회의 주류에서 벗어나 있던 골딘의 주위에는 친구들과 예술이 흘러넘쳤다. 모두가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소리 높여 외치던 그곳에서 낸 골딘은 자신을 믿기 위해 카메라를 들었다. 사회와의 충돌과 투쟁 그리고 우정은 빛과 필름을 투과해 이미지로 온전히 남았다.
영화는 과거의 사진들과 현재 낸이 속한 시위단체 ‘P.A.I.N (처방 중독 즉각 개입)’의 활동을 병치한다. 낸 골딘은 2017년부터 옥시 중독 문제인 ‘오피오이드 위기‘에 목소리를 높였다. 옥시콘틴 약물의 위험성이 대두되지 않았던 시기 낸 골딘은 약을 처방받고 중독되어 죽음 직전에서 살아 돌아왔다. 약물 중독 문제를 방조한 제약사 퍼듀와 그 배후에 있는 새클러가의 기부를 받고 그들의 이름을 드높이고 있는 미술관들이 P.A.I.N의 무대다. 약통과 처방전 그리고 피 묻은 돈을 흩뿌리며 죽음을 재현하는 시위는 또 다른 예술이다. 골딘은 카메라를 들지 않고 직접 약통에 스티커를 붙이고 바닥에 누우며 육신으로 메시지를 전한다. 이런 낸 골딘에게 카메라를 비추는 이는 로라 포이트라스 감독이다. <낸 골딘, 모든 아름다움과 유혈사태>는 스스로 예술이 되기로 한 예술가를 담아낸다.
P.A.I.N은 미술관에 걸려 있는 새클러의 이름과 평판이 끌어내리려 한다. 옥시콘틴의 중독 위험성을 알면서 판매와 마케팅을 지속한 새클러가에 대항해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높이는 활동은 과거에 낸 골딘이 해왔던 투쟁들의 연속선상에 있다. 그러나 낸 골딘의 슬라이드 쇼를 영화화한 것 같은 과거 부분에 비해 현대 P.A.I.N의 활동은 지닌 의미에 비해 다소 밋밋한 인상을 남긴다. 성기게 나뉜 P.A.I.N의 활동은 낸 골딘의 사진 한 장에 담긴 압축된 에너지에 부수적이거나 밀려나는 것처럼 보인다. 낸 골딘이라는 개인과 그의 시각이 아니라 P.A.I.N이라는 단체로 시야와 집중력이 흩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매’라는 소제목을 가진 마지막 챕터는 흩어졌던 집중력과 힘을 다시 가져온다. 스스로 목숨을 끊었던 바바라의 의무기록과 그가 세상을 등졌던 공간에서 관객은 낸 골딘의 그리움과 슬픔, 애증을 목격한다. 언니의 죽음으로 시작한 낸 골딘의 이야기는 투쟁과 죽음을 지나 다시 이 기찻길에 다다른다. 기찻길은 3개의 화면으로 분할되어 나란히 놓인다. 낸 골딘이 촬영한 과거의 푸티지가 이어지며 언니의 유품 중 조지프 콘래드의 ‘암흑의 핵심’ 한 구절을 어머니가 낭독한다.
영화는 다시 시간을 넘어 현재로 돌아온다. 메트로폴리탄미술관을 비롯하여 많은 미술관들은 새클러의 이름을 끌어내렸다. 80년대에 에이즈 전시를 큐레이팅하고 국가기금의 반대에 부딪혔던 낸 골딘은 이제 자신의 권위와 명성을 이용해 미술관을 압박할 수 있는 독보적인 예술가가 되었다. P.A.I.N의 활동은 소기의 목적을 이루었다. 여전히 누군가는 부조리한 죽음에 맞닿아 있고 사회는 시리도록 무관심하다. 그러나 그곳에서 끊임없이 자신의 언어와 예술을 꽃피우는 이들이 있다. 가장 개인적이고, 정치적이며 역사적인 한 예술가는 그렇게 낮은 곳에서 자신을 언제나 드높인다. 자신의 언어인 사진과 예술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