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종열 Nov 23. 2022

"직장은 그냥 직장"일 뿐

우리 부서 직원 하나가 최근 이직을 하게 되면서, 기존 직원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할 기회가 생기게 되었다. 어찌보면 이 시시콜콜한 대화의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게 느낀 점이 하나 있다. 


『직장을 내 인생 전부』로 생각하는 사람이 여전히 많구나.


"월급쟁이는 결국 월급쟁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기에, 이공계 박사들이 통상적으로 걷는 커리어 트랙에서 벗어나 창업이라는 걸 해 본 내 입장에서는 직장을 과도하게 중시하는 이 분위기는 굉장히 이질적으로 느끼짐과 동시에 안타까움에 쓴 웃음이 난다.


경제적인 면을 포함하여, 이런 저런 이유로 직장을 너무나도 중요시하는 거 이해 못하는 바도 아니다. 사실 나도 창업 실패 후, 현 직장에 몇 년째 있는 건 경제적인 측면이 가장 크니까. 


다행스럽게도, 현 직장의 구성원들은 직장에 매몰되어 있는 사람은 몇 명 없다. 이직하는 직원이 새로 가야 하는 직장이 소위 말해 꼰대스럽고, 그 꼰대스러움의 기저에는 "직장을 내 모든 것"처럼 여겨야 그 곳에서 살아남고, 승진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은근슬쩍 형성되어 있는게 보였다. 예를 들어, 그 곳에 있는 아는 지인이 제법 잘 나가는데, 아직도 상급자가 퇴근하기 전에는 퇴근하지 않는다라던지, 내 시각으로는 철저히 "뻘짓"으로 판단되는 것들이 꽤 보였다. 이직하는 직원도 그걸 모르는 것 같지는 않고, 거기에 휩쓸리지 않겠다고 말은 한 건 다행스럽지만, "인간은 환경에 영향을 크게 받는 존재"인지라 그 곳에서 변하지 않는다고 누가 장담할 수 있을까.


자신의 모든 것을 퍼붇는다 하더라도 직장생활이 쉬운 것은 아니고, 개개인마다 직장에서 바라는 점에 다 다르겠지만, "직장은 그냥 직장일 뿐"이다. 설사, 내가 다른 곳에서 일한다고 하더라도, 나란 사람의 본질과 능력은 바뀌는 것도 아니다. 다소 과격한 생각일수도 있겠지만, "드라마 미생"에서 나온 이 대사는 여전히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직장인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생각한다. 



바둑에 이런 말이 있어.

미생, 완생.

우린 아직 다 미생이야.



작가의 이전글 물건에 치여 살기 싫으면, TV를 치워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