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강현 Aug 31. 2018

⑲ 고려인 김안드레아 할머니의 눈물

김강현의 모터사이클 다이어리

⑲ 고려인 김안드레아 할머니의 눈물


다시 만난 일행들


이르쿠츠크역에서 택시를 타고 일행들이 있다는 호스텔로 향했다. 비가 오는 도시를 바라보며 바이크 수리점을 찾았지만 얼른 눈에 띄진 않았다.


도시는 굉장히 아름답다. 낡은 건물들 사이로 낡은 아스팔트길이 나 있고, 낡은 철로를 낡은 트램이 지나다닌다. 오랜 역사를 느낄 수 있는 풍경이다. 지나가는 사람들은 비가 제법 내리는데도 우산을 쓰지 않고 모자를 쓰거나 그냥 비를 맞으며 걸어간다.


택시를 탄 지 이십분 쯤 지났을까? 기사가 다 왔다며 멈추더니 트렁크를 열어 우리 짐을 빼준다. 주변을 둘러보니 비슷하게 생긴 낡은 건물 몇 개 중 어떤 게 숙소 건물인지 잘 모르겠다. 택시기사에게 호스텔이 어디냐고 물었더니, 2층짜리 건물을 가리킨다.


그 곳으로 가까이 가 보니 두꺼운 철문 안으로 마당과 지하주차장이 있고, 건물 안에는 사람도 몇 명 보인다.


철문 옆에 달려있는 벨을 눌렀지만, 고장 났는지 아무런 응답이 없다. 문을 두드리자 사람이 나온다. 30대 초반 정도로 보이는 여성이 어설픈 영어로 우리를 맞이한다. 배낭을 잔뜩 짊어지고 있는 우리의 모습은 누가 봐도 여행자였으니 크게 경계하지는 않는 듯하다.

이르쿠츠크에서 머문 숙소 앞마당

그녀를 따라 숙소 안으로 들어가니 치타에서 빠져나오며 떨어졌던 일행들이 거기에 있었다. 고작 며칠밖에 떨어져 있지 않았는데, 배낭을 바닥에 아무렇게나 던져놓고 반갑게 포옹했다.


나중에 얘기를 들으니, 내 바이크가 고장 났던 그 호숫가 늪에 들어갈 때 맨 뒤에 따라오던 친구는 우리를 놓쳐 계속 앞으로 갔고, 다른 한 명은 내 바이크가 도랑에 빠지기 전에 진흙탕에 빠져 고생하다가 겨우 바이크를 빼내 돌아나갔다.


돌아나간 친구는 한참을 기다려도 내가 나오지 않아 ‘먼저 갔나 보다’ 생각하고 이동하다가 인근 주유소 근처에서 우리를 기다리고 있던 다른 친구와 만나 이곳까지 왔단다.


무사히 다시 만났다는 것에 안도하며 방을 잡기위해 카운터로 갔다. 그런데 손님이 꽉 차 방이 없단다. 앞마당에 텐트를 치고 방이 날 때까지 캠핑을 할까 했지만, 거세지는 빗줄기에 포기했다.


어떻게 해야 하나 고민하고 있으니, 주인이 내일은 객실에 자리가 난다며 하루만 1층 거실에 머무르면 숙박비를 반값에 해주겠단다. 아무 곳에서나 자도 상관없을 정도로 단련된 우리는 그녀의 제안을 흔쾌히 승낙했고, 거실을 지나다니는 사람들이 우리 짐을 건드리지 않게 안쪽 깊숙한 곳에 숨겨뒀다.


이틀 동안 기차에서 제대로 씻지 못했기에 갈아입을 옷을 챙겨 바로 샤워실로 들어갔다. 그동안 빨래도 못했더니 빨아야할 옷들이 산더미다. 샤워커튼이 쳐져있는 욕조 안으로 옷들을  던진 후 밟으며 샤워했다.


따뜻한 물이 몸을 감싸니 기분이 좋아진다. 샤워를 먼저 한 후 샤워기를 끄고 밟고 있던 옷 위에 샴푸세제를 몇 방울 뿌리고 빨래를 시작했다.


깨끗하게 빨기엔 시간도 오래 걸리고 힘들어 샤워하면서 빨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낸 것인데, 샤워하는 동안 물에 충분히 적신 후 샤워 후 세제 몇 방울 뿌려 벅벅 비비고 행구면 끝이다.


세탁기가 있는 호스텔도 있었지만, 대부분 유료여서 속옷이나 양말, 티 같은 간단한 옷들은 샤워하며 빨았다.


물기를 꼭 짜내고 방으로 들어와 침대 난간에 빨래를 널고 거실에 가서 따뜻한 홍차 한잔을 준비했다. 


차를 마시려 하고 있는데, 친구들도 샤워를 끝내고 거실로 모였다. 오랜만에 넷이 뭉친 우리는 밖에 나가서 맛있는 저녁을 먹기로 했다. 


과거로 시간여행?


비 내리는 오후, 숙소에서 나와 큰 길을 따라 사람이 많아 보이는 시장으로 향했다. 어떤 맛있는 음식을 먹을까 고민하며 돌아다녔는데, 괜찮아 보이는 식당이 없어 동네 구경도 할 겸 계속 걸었다.


숙소 근처에 큰 재래시장이 있었고, 중국인과 중국식당이 심심찮게 보였다. 아마 중국인들이 모여 사는 지역인가 보다.


시장은 파는 음식과 물건이 우리나라 재래시장과는 달랐지만 익숙하다는 생각을 할 정도로 분위기가 비슷하다. 하지만 비가 와서인지, 시간이 늦어서인지 문을 연 곳이 별로 없다. 다음날 구경하기로 하고 시장을 지나 계속 걸었다.


거리는 날것 그대로 모습이다. 굉장히 오래 돼 보이는 벽이 깨진 상태로 남아있기도 하고, 나무로 된 가로등과 블록이 빠진 거리바닥, 뚜껑 없이 뻥 뚫려있는 맨홀이 많다.

아직 비가 다 마르지 않은 이르쿠츠크의 길

해가 저물기 시작하자 문득, 지금이 2016년 맞나 하고 생각했다. 지나가는 사람들의 옷차림이나 핸드폰 등을 보면 마치 영화나 드라마에서 보던 80~90년대 유럽 모습이 떠오른다. 


바이크를 타고 시간여행을 온 것이 아닐까? 바이크를 타고 이동하다보면 하루에 보통 300~500km를 달린다. 많이 달릴 때는 그것보다 두 배 이상 달리기도 하는데, 이동할 때마다 시차 경계선을 넘어 시간 개념도 많이 없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보이는 풍경도 이러니, 시베리아 횡단열차가 시간경계를 지나 과거로 나를 데려온 게 아닌가 하는 상상도 펼쳐본다. 


상상에 빠지다보니 지금 눈앞에 보이는 모든 것이 그렇게 보인다. 가게 안에서 흘러나오는 티브이 화질이나 음질도, 비가 와서 달빛도 비추지 않는 도시의 밤도, 드문드문 있는 낡은 가로등의 어두운 불빛도…. ‘정말 내가 과거에 온 것인가?’ 하는 터무니없는 생각이 자꾸 깊어진다.


밤이 되자 길이 너무 어둡다. 여기에 길도 고르지 않아 몇 번을 넘어질 뻔한 뒤 핸드폰 플래시를 켰다. 많이 걸어서인지 배가 고파 식당이 보이면 바로 들어가기로 했다. 


김안드레아 할머니


조금 더 걸으니 반 지하에 있는 식당이 보인다. 러시아 음식 사진들이 걸려있지만, 중간 중간 중국 음식으로 보이는 익숙한 요리도 있다.


가게에 들어가 곧장 국수와 볶음밥 등을 주문하고 기다리며 주변을 둘러봤다. 시간이 늦어서인지, 우리 말고는 구석 한 테이블에만 노년의 손님들이 있다. 그 중 한 사람의 생일인 듯, 케이크와 와인, 보드카 등을 먹으며 이야기하고 있다. 


자세히 보니 동양인도 한 명 있다. 동네를 돌아다니며 중국인들을 많이 봤기에, 그냥 중국인이겠지 하고 나온 음식을 먹기 시작했다.

식당에서 주문한 국수와 볶음밥

배가 고픈 탓도 있겠지만, 정말 맛있다. 자주 먹던 것처럼 맛이 익숙하기도 하다. 맥주와 함께 허겁지겁 다 먹고 쉬고 있는데, 옆 테이블도 자리가 끝난 듯 정리하고 식당을 나간다. 


무심코 그들을 바라보다 동양인 할머니와 눈이 마주쳤다. 그 할머니는 우리에게 오더니 조금은 어눌한 말투로 “한국 사람이에요?”라고 물으신다. 중국인일거라고 생각하고 있던 나는 깜짝 놀라 잠시 머뭇거리다 “아, 네, 맞아요. 여행하고 있어요”라고 답했다.


할머니는 파티를 하다 남은 술이 있는데 같이 먹지 않겠냐고 물으셨고, 한국어를 하는 사람이 반가운 데다 술까지 주신다니 거절할 이유가 없었다. 


할머니의 이름은 김안드레아. 블라디보스토크에 살던 부모님이 ‘고려인 강제 이주’로 이르쿠츠크 쪽으로 오게 돼, 러시아에서 태어나셨단다. 알고 보니 식당 주인이 할머니의 큰아들이다.


할머니는 젊을 때 동대문 근처 식당에서 일했다고 하셨다. 골목으로 들어가면 세 번째 집이 일하던 식당이었는데, 그곳에서 김치찌개와 된장찌개를 팔았다고 하셨다. 


이미 술을 드신 데다 한국어를 오랫동안 쓰시지 않아서인지, 할머니의 말을 온전히 이해하기는 힘들었다.


할머니는 특히 같은 김씨인 나를 굉장히 반가워하시며 “나는 러시아에서 살고 있지만 그래도 한국 사람이라는 걸 잊은 적이 한 번도 없어”라며 눈물을 글썽이셨다.


먼 곳까지 와서 고생한다며 우리에게 생선찜 요리와 술 한 병을 더 주시며 주방에 있는 큰아들에게 우리를 소개시켜주셨다.


듬직한 체격의 사장님의 생김새는 누가 봐도 한국 사람이었지만, 한국말은 간단한 몇 가지 말고는 할 줄 모르셨다. 할머니는 아들을 소개해주신 후 술을 너무 많이 마셔서 힘들다며 집으로 간다고 하셨다. 내 손을 꼭 잡으시고 다치지 말고 몸조심하라고 격려해주셨다.


할머니가 가시고 나서 우리도 자리를 정리하고 사장님께 인사를 드리고 밖으로 나왔다. 부슬비가 내리는 이르쿠츠크의 어두운 길. 할머니가 사주신 술을 한 모금씩 마시며 숙소로 향했다.


자투리 여행정보 19. 고려인 강제 이주

1994년 MBC에서 방영 된 고려인 이주 역사를 담은 드라마 까레이스키

1937년, 블라디보스토크 등 소비에트연방 극동지역에 살고 있던 조선인 약 17만명이 스탈린의 명령으로 카자흐스탄ㆍ키르기스스탄 등 중앙아시아 지역으로 강제 이주됐다. 


그 이유는 일본의 간첩활동을 방지하는 데 있었다고 한다. 일본은 1931년에 만주 지역을 장악하기 시작했고, 1937년에는 중국 본토를 침공했다. 이 때문에 소련 극동지역 안보가 심각한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인과 일본인의 외모가 유사해 간첩 색출이 어렵다는 게 고려인 강제 이주의 주된 이유였다고 한다.


고려인들은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따라 30~40일간 이동했는데, 열차의 매우 열악한 환경 탓에 이동 중에만 노약자 등 500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한다.


까레이스키 라고 불린 고려인들은 이런 비극을 딛고 뛰어난 역량과 농업기술 등으로 유라시아 중심부에서 인정받는 민족이 됐다. 현대에 와서는 유라시아 정책과 관련한 네트워크 구축의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작가의 이전글 ⑱시베리아 횡단열차의 지루함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