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레네 Mar 05. 2023

결혼생활로부터 도망치고 싶을 때

꿈틀거리는 회피성향

내가 가진 현재 상황으로부터 도망치고 싶을 때가 있다. 갑자기 버겁게 느껴져서 다 포기하고 싶은 그런 때. 남들이 보기에는 예민하게 받아들일 게 아니지만, 유독 내게는 크게 와닿아 마음에 돌덩어리가 얹어진 느낌. 결혼이라는 시스템이 내게 주는 기대감으로부터 벗어나고 싶다. 출산을 하고 배우자를 보필하며 내 자신은 죽여야 하는 기대에서 보란 듯이 탈출하고 싶다.


이혼하고 싶은 마음과는 또 다르다. 지금의 배우자를 좋아하고 함께 있을 때 즐겁다. 배우자와는 함께하고 싶지만, 결혼이라는 체제에서는 자유롭고 싶다.


나는 회피 성향이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냥 포기하고 싶고 극단적인 생각으로 치닫는다. 결혼생활을 할 때도 마찬가지다. 가슴이 먹먹할 때면 다 내려놓고 훌쩍 떠나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하다. 작년부터 다시 해외여행을 다녀올 때마다 완전히 다른 사회에서 새로운 삶을 살아보고 싶다는 욕구가 끓어오른다.




오늘 배우자가 새로 이직한 교회에 첫 주일 예배를 드리고 왔다. 새로 왔으니 모르는 사람 투성이고, 낯선 사람들과 인사를 나눈다. 새로운 동네, 새로운 집, 새로운 사람들. 내가 새로운 일상을 시작할 곳. 그 모든 것을 처음 마주하니 여러 마음이 든다. 내가 잘 생활할 수 있을까? 낯설다. 먹먹하다. 별로다. 이건 좋네. 내가 선택한 건 아니었는데. 모두가 나를 '사모님'이라고 부른다. 목사인 배우자와 언제나 한 세트로 묶여서 살아야 하는 삶. 내가 과연 평생에 걸쳐 잘 견딜 수 있을까?


배우자는 오늘도 내게 미안하다고 했다. 사택을 둘러보고 나니 궁금증이 해결되면서도, 반대로 더 막막해지는 마음도 든다. 내 얼굴에 심난함이 나타난 것을 눈치챈 배우자는 내가 좋아할만한 것들을 말하며 내 기운을 북돋기 위해 노력한다. 고맙다. 내가 좀 더 무던한 아내였다면 좋았을걸.


 삶에 책임을 지는 어른이 되고 싶다. 싫다고 찡찡거리는  아니라 당당히 직면하고 깨뜨리는 내가 되고 싶다. 책임지는 것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라는  결혼을 통해 배운다. 결혼생활, 쉽지 않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의문이 화가 되지는 않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