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심택근 Dec 23. 2021

Life in Scotland Episode 7

2021년 안녕, 2022년 안녕!

12월, 한 학기가 끝났다.



'왜'라는 질문을 던질 때에는...


'왜'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곤 한다. 이 모든 것에 과연 무슨 의미가 있을까 하는 물음표. 우리는 이곳에 왜 왔으며, 무엇을 위해 사는지존재의 이유에 대한 명확한 대답을 들을 수 없기에 계속해서 방황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이곳의 교육방식은 학생으로 하여금 질문을 계속 던지게 만들며 하나의 정답을 찾기보다는 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구하게끔 하는 방식이다. 또한 음악에만 초점을 두기보다는 인간의 심리에 대해 더욱 고민하고 '인간'이란 무엇인가, 즉 우리는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끊임없이 하게 한다.

   


'뮤지컬'이 무엇이기에...


'이건 단지 뮤지컬일 뿐이야.' 현재 런던 웨스트엔드에서 뮤지컬 위키드의 음악감독으로 있는 Peter Wollard 교수님이 우리에게 해주신 말씀이다. 그냥 하나의 오락거리인, 동시에 전부인 이 뮤지컬을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 말며 동시에 너무 가볍게 여기지 말라는. 인생에 뮤지컬보다 중요한 것이 너무나도 많기에 너무 이것에 집착하지 말라는, 동시에 이것 자체를 감사히 여기며 사랑하며 즐기기를.



목소리의 힘


음악을 공부하겠지 하며 왔지만 음악 외의 것들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우고 있다. 뮤지컬 과정이기에 음악 외에 연기, 특히 '목소리'에 대해서 많은 것들을 배우게 된다. 실제로 'Voice'라는 수업이 따로 있는데 우리가 말을 할 때 호흡은 어떻게 하는지, 진동은 어디서 느껴지는지 등등 소리의 '인지'를 연구하는 수업이다. 셰익스피어의 구절들을 가지고 소리를 내는 연습을 하기도 하며, 명상하듯이 누워서 숨소리에 집중하는 시간을 갖기도 한다. 가끔씩은 이게 뭐 하는 건가 싶기도 할 때도 있다. 학생들 다 같이 방 돌아다니며 좀비처럼 걸어 다니거나 무슨 우주 정복자처럼 걸어 다니는 역할극 같은 것들을 할 때에는 약간 이상한 종교단체에서 하는 그런 것들과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곤 한다. 참 신기하게도 우리는 우리의 감정에 따라, 또한 역할에 따라 우리의 자세와 목소리가 많이 변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자세와 목소리를 바꾸는 것 만으로 우리의 감정을 조절할 수 있다는 말일까?)



서른 즈음에

    

어렸을 때, 서른이 되면 자연스레 어른이 되는 줄 알았다. 


서른이 되어보니 어른들이 자주 하시는 말씀, 

'마음만은 청춘인데...'

조금씩 이해가 된다.


시간이 갈수록 빨리 흘러간다는 건

그만큼 정해져 있는 시간 안에

해야 할 일이 많아졌다는 뜻이겠지.


서른이 되어보니 어른들이 자주 하시던 말씀,

'남는 건 사진밖에 없어...'

조금씩 이해가 된다.


순간 스쳐 지나가는 시간의 한 순간을,

네모난 화면 안에 

영원히 간직하고 싶은 거겠지.



서른이 되어보니

꼭 쥐고 있던 두 주먹이

하나 둘 

펼쳐지기 시작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Life in Scotland Episode 6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