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다크룸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찬찬 Jun 28. 2023

누가 책을내보라고 했다.

부끄럽기 위해 쓴다.


누가 책을 내보라고 했다. 말도 안되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점점 그 말도 안되는 일을 해보고 싶다는 충동이 들었다. 뱅뱅 돌고만 있는 이 지긋지긋한 반복의 세계에서 나도 한 번즘은 완전히 빗나가고 싶었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이제껏 말도 안되는 생을 살아왔던 거 같다. 그래서 쓰기로 한다. 인생은 원래 말도 안되는 것이라고. 절박한 심정으로 친구에게 토로하듯이 말이다.


기쁨과 슬픔 사이에는 언어로 설명되지 않는 무수한 감정들이 있다. 이 책은 바로 그 지점에서 씌여진 나의 무기력의 기록이다. 사실 글이라고 하기에도 민망한 중얼거림 같은 것이다. 최초의 에세이 집이라고할 수 있는 몽테뉴의 수상록에는 이런 말이 적혀 있다. “독자여! 여기서는 나 자신이 바로 내 책자의 재료다.” 그리고 몽테뉴는 이어서 이렇게 말한다. "이렇게도 경박하고 헛된 일이니 그대가 한가한 시간을 허비할 거리도 못 될것이다.“ 나도 마찬가지다. 이 책은 형편없는 나의 삶을 재료로 하고 있다. 그래서 당신이 이 책 속에서 무언가를 얻으려고 하거나 어떤 위로를 기대한다면 솔직히 실망할 수도 있다. 몽테뉴의 말마따나 이 책은 추호도 그대에게 봉사하거나 내 영광을 도모하기 위해 씌여진 책이 아니기 때문이다.


살기로 마음먹었더니 삶은 죽일 듯이 나를 목조른다. 그래서 죽기로 했더니 삶은 다시 내게 다정한 얼굴로 꿈과 용기를 준다. 우울하다. 하지만 이 우울이 영원할 거라는 어린아이같은 생각은 이제 하지 않는다. 그래서 더 우울한건지도 모른다. 차라리 명백한 불행이었다면 평생 마른 열매처럼 잘 살았을 텐데. 차라리 죽고만 싶은 심정이어도 한숨 자고 일어나면 다시 꾸역꾸역 살아갈만한 힘이 생긴다는 건 정말로 비극적인 일이다.


스피노자는 고통스러운 감정은 우리가 그것을 명확하고 확실하게 묘사하는 그 순간, 고통이기를 멈춘다고 했다. 나는 거기에 희망이라는 배팅을 걸었다. 물론 쓴다고 해서 작금의 고통이 거짓말처럼 사라질 것이라고는 생각 하지 않는다. 하지만 아무것도 씌여지지 않은 흰 종이는 무언가를 쓰지 않으면 안 될거 같은 기분을 만든다. 무의미한 글쓰기는, 이 쓸모없는 글쓰기는 왜 그런지 나를 살게 한다. 그냥 이런 나를 만 천하에 보여주고 싶다. 만약 누군가 이런 병적인 센티멘탈리즘으로 가득한 글들이 부끄럽지 않냐고 물어본다면 나는 부끄럽기 위해 쓴다고 대답할 것이다. 부끄러운 것만큼 나를 움직이게 하는 건 없다. 나는 그저 좀 더 부끄러워서 더이상 부끄럽지 않은 사람이 되고 싶을 뿐이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