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효상 Jan 13. 2019

영어 원서를 1분/1000 단어로 읽을 수 있는 이유

1. Critical reading과 speed reading를 같이 사용할 경우 1 분/1000 단어 speed reading 이 전문 원서에서도 가능하다.


a. 미국, 유럽에서 개발된 speed reading 은 대부분 소설은 가능하나, 전문 원서는 읽을 때 이해력 부족으로 적용이 어렵다는 게 공통된 인식을 가지고 있다.


b. Speed Reading을 커리큘럼에 포함시킨 미국 시카고 대학 연구결과를 보면, 

 

가. visual reading으로 1 분 / 700 단어 속도까지 올라갈 수 있다.

나. 전문 원서 리딩 시 1분/  450 단어까지는 1분/250 단어로 읽을 때 보다 이해력 상승

    그러나, 특정 text에서는 주의 깊은 판단력이 요구된다.(이해력을 보장하지 않는다)


가. http://counseling.uchicago.edu/page/speed-reading


나. 원어민 speed reader  대다수가 분당 700 이상 속도에선 이해력 4-50% 수준




b. 전문 원서를 speed reading 하기 어려운 이유는


   가. 속도 문제가 아닌

   나. Critical reading 능력 부족 때문임


c.  소설은 물리적인 시간 / 공간 축의 흐름이 존재하고, 주인공은 시간/공간 축을 따라 사건을 진행시켜 나가기 때문에 독자들은 주인공 시각에서 스토리를 따라가면 story development를 기억하기 매우 편리함.


d.  그러나 전문 원서는 물리적인 시간 / 공간 축이 없고 추상적인 인과 관계 축(logic)만 존재하며,


가. 그 인과관계 축을 따라 key idea가 움직이며 이야기가 진행됨

나. 그래서 전문 원서 내용을 기억/이해하려면 독자들은 인과관계 축을 따라 진행되는 "topic 이동 경로 축"

    즉 topic track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함

   ( ps.  글의 topic track  구조가 글의 logical structure 가 됩니다. )


  

e. 그래서 그 topic track를 찾아낼 수 있으면,


가.  빠른 속도로 읽어도

      writer 가 어떻게 idea를 developing 시키고 있는지 파악해  높은 이해/ 기억력이 유지 가능하나


나. 반대로, topic track를 찾아낼 수 없으면,  느리게 읽어도  영어 논문/ 전문 원서가 무엇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설명, 설득하는지를 이해할 수가 없음.


f.  결국 느리게 읽는다 해서 반드시 글의 이해력이 높아지는 것은 아닌 것처럼,  반대로 빨리 읽는다 해서

  반드시 글의 이해력이 낮아지는 것이 아님.  속도의 문제가 아닌, critical reading 능력 문제임.



2. Critical reading과 speed reading 이 결합하면 생기는 결과.


a. Critical reading를 숙달시킨 뒤에 speed reading를 통해, critical reading를 3 배로 가속화시키면  


가. 3 배로 빨리 읽기 때문에, speed reading이지만

나. reading process 자체는 critical reaing 임.


결국 critical reading를 3 배로 가속화시키는 것이 됨.


b. 그렇게 되면, 분당 900-1000 단어의 속도로 읽어도, 챕터 각 문단 topic sentence를 식별해내고 topic sentence들 사이에 숨어있는 topic track를 찾아낼 수 있음.  그 결과,  전문 원서나 논문을 소설 읽듯이 Speed Reading으로 내용 파악이 가능해짐.



d. 그리고 이 idea를 2012년 아마존에 "Visual reading and the Snowball of understanding" 출간 발표하여, 원어민 독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이끌어 냄 :(기존 speed reading의 한계를 뛰어넘었다는 반응)

(GoodRead's review)



e. 그리고 이 idea를 아마존에 출간 후에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세계적 학술지 cell 논문을 분당 900-1000 단어로 읽는 기술”로 발전시킴.


가. 대학원생-1

나. 대학원생-2


매거진의 이전글 영어 리딩 속도가 올라가도 이해력이 유지되는 이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