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구름 수집가 Feb 08. 2024

드디어 올 것이 왔다, 개발(開發)과 계발(啓發)

개발(開發) - 계발(啓發)

개발(開發) - 계발(啓發), 드디어 올 것이 왔다!

문해력깨나 있다는 사람들도 구체적으로 차이점을 설명하기 어려워한다는 단어들이지요. 사실 이 두 단어의 사전적 의미에는 공통점이 많기 때문에 의미로 구분하기보다는 다양한 예문을 통해 단어 활용의 감을 익히는 것을 추천합니다.      


● 개발(開發): ① 토지나 천연자원 따위를 유용하게 만듦. ② 지식이나 재능 따위를 발달하게 함. ③ 산업이나 경제 따위를 발전하게 함. ④ 새로운 물건을 만들거나 새로운 생각을 내어놓음.

   [예] ① 유전 개발 ② 자신의 능력 개발 ③ 산업 개발 ④ 신제품 개발

● 계발(啓發): 슬기나 재능, 사상 따위를 일깨워 줌.

   [예] 외국어 능력의 계발                    


단어에는 단어가 지니는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의미인 중심 의미와 중심 의미에서 파생되어 부차적으로 생겨난 주변 의미가 있는데 사전에서 단어를 찾으면 그중 첫 번째 나온 의미가 그 단어의 중심 의미입니다. 이런 단어를 우리는 ‘다의어’라고 부릅니다. 앞서 배운 동음이의어는 서로 의미적 연관성이 없이 우연히 소리만 똑같은 별개의 단어를 말하는 데 비해, 다의어는 하나의 단어가 의미를 확장해 나가면서 갖게 된 의미를 포함하므로 하나의 다의어가 지니는 다양한 의미는 서로 연관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머리’의 중심 의미가 ‘사람이나 짐승의 목 부분(예문: 그는 머리를 긁었다.)’이라면 주변 의미로는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예문: 머리가 좋다)’, ‘단체의 우두머리(예문: 그는 우리 모임의 머리 노릇을 하고 있다.)’ 와 같이 쓸 수 있는 것이죠.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것이 바로 ‘개발(開發)’의 주변 의미인 ②번 의미와 ‘계발’의 중심 의미 차이가 무엇이냐는 것이죠.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두 의미는 서로 유의어 관계여서 같은 쓰임을 보입니다. 실제로 사전에서도 ②번 의미 하단에 비슷한 말로 ‘계발’이 있음을 안내하고 있어요.


그래도 좀 더 맞는 표현이 있지 않을까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이죠. 국립국어원 누리집의 <온라인 가나다> 게시판에 최근 2년간 6건이나 ‘자기 개발’과 ‘자기 계발’ 중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이냐는 질문이 올라왔고 이에 대한 답변은 다음과 같았으니 참고해 주세요.                    


질문: ‘자기 개발을 위해 외국어 공부를 시작하다’라고 할 때, 자기 개발이 맞나요, 자기 계발이 맞나요?

답변: 안녕하십니까? 표현은 표현자의 의도에 따르게 되므로, 아래에 보인 ‘자기 개발’과 ‘자기 계발’의 뜻을 참고하시어 알맞은 표현을 쓰시기 바랍니다.


● 자기 개발: 본인의 기술이나 능력을 발전시키는 일.

● 자기 계발: 잠재하는 자기의 슬기나 재능, 사상 따위를 일깨워 줌.

-2022.9.28.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


그래도 차이는 있지 않을까요? 간절...

그래도 어떤 차이점은 존재하지 않겠냐고 생각할 수도 있겠습니다. 꼭 구분을 해야 한다면 개발(開發)은 중심 의미에 따라 토지, 천연자원 등 같이 구체적인 형태를 띠는 대상을 발달하게 하고 발전시킬 때 주로 사용하는 단어이고, 계발(啓發)은 중심 의미 그대로 일깨워 발전시킴으로써 더 나아지게 만드는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개발(開發)의 사전적 의미가 네 가지 있는 만큼 좀 더 폭넓게 사용되는 경향이 있지만 계발(啓發)은 중심 의미 한 가지로만 사용되므로 다른 의미로 써서는 안 되겠지요.  

   


<문해력이 쑥쑥, 한 줄 요약>

개발은 주로 눈에 보이는 유형의 것을, 계발은 대개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의 것을


* 이 매거진의 글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헷갈리는 단어를 중심으로 그 차이점들을 짚어 보자는 기획 아래 집필하고 있는 글입니다. 대개 중학생 정도의 수준에서부터 일반인도 까먹었을 법한 어휘나 문법 지식도 나올 수 있습니다. 부담 없이 읽다 보면 국어 문법 지식도 함께 이해할 수 있길 바라고 있어요!

혹시 차이점이나 쓰임이 궁금한 헷갈리는 단어들이 있다면 댓글 달아 주세요. 열심히 공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부모님의 내리사랑에 '안갚음'을 하고 계신가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