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ED Dec 29. 2018

과정 중심 평가와 성장형 마인드

당신은 성장 마인드셋인가? 고정 마인드셋인가?

과정 중심 평가에 합당한 교사의 태도



학생의 능력을 어떻게 교정할 것인가에서부터 그 변화 가능성까지 과정 중심 평가의 성공적 현장 안착을 위해서는 교사의 인식의 변화가 전재되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과정 중심 평가에 부합하는 학생관과 교육관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스텐버드대학교 심리학과의 세계적인 석학 캐럴 드웩 교수가 제안한 '성장형 마인드'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의 마인드셋 원리 속에서 과정 중심 평가에 도움되는 이야기들을 살펴보겠다. 


그가 제시한 고정 마인드와 성장 마인드의 특성을 알아보자.


고정 마인드는 사람의 능력은 고정되었고 확정되었다고 보는 것이며 어떤 행위에 대한 결과에 관심을 갖고 심판하는 것에 익숙한 모습이다. 이에 반해 성장 마인드는 사람의 능력은 변화 가능하며 배움에 관심을 갖고 모든 행위 속에 담긴 긍정적인 부분을 찾아 변화의 기회로 삼는 것에 익숙해 있다.

고정형 마인드셋(fixed mindset)은 타인 또는 외부에 자기 자신을 증명하고 그러한 판단을 하려고 하고, 성장형 마인드셋(growth mindset)은 자신의 증명보다는 성장과 배움에 큰 가치를 둔다


성장 마인드셋의 특징







  성장형 마인드는 과정 중심 평가를 실천하고자 하는 교사와
학생이 가지고 있어야 할 생각의 틀이라고 본다. 



고정형 마인드를 가진 학생은 평가를 개인적인 칭찬이나 비난으로 받아들이고 능력이 모든 것을 결정한다고 생각한다. 만약 실패한다면 나는 실패자라는 결론에 이른다. 성장형 마인드를 가진 학생은 평가는 자신에게 건설적이라고 생각하고, 자신의 노력과 자세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고 본다. 실패로부터 배운다고 여긴다.




교사는 학생이 보여준 노력의 과정과 성취에 대해 칭찬해야 한다. 



학교는 학생의 능력을 평가해서 서열을 정해주는 평가기관이 아니다. 고정 마인드셋을 가진 교사는 심판하는 분위기를 연출하지만, 생각의 틀을 '심판'에서 '성장'으로 바꿔가야 한다.



교사 스스로가 고정 마인드를 가졌다면 이를 극복하고 매사에 성장형 마인드로 학생을 대하려는 노력을 가져야 할 것이다. 평가 결과에 따라 학생을 부진아로 낙인찍는 것이 아니라 아직 학습이 완성되지 않는 상태의 학생으로 보고 학습 완성을 위해 어떻게 도움을 줄 것인지를 고민해야 할 것이다. 학생의 올바른 행동에 대해서도 기질이나 재능을 칭찬할 것이 아니라 노력의 과정과 성취에 대해 칭찬을 해 주는 것이 학생에게 성장형 마인드를 심어주는 방법이라고 한다. 

 


교사의 성장 마인드도 중요하지만 학생이 갖는 성장형 마인드도 중요하다. 도전하는 것을 즐거워하고 실패에 대해서도 배움의 기회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성장에 기반을 둔 과정을 칭찬해야 할 것이다. 과정 중에 있었던 이를 위한 노력과 인내, 훌륭한 전략 그리고 결국 성취한 결과에 대해서도 칭찬해야 할 것이다. 





교사는 성장 마인드로 학생의 안내자와 촉진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수업에 있어서도 학생이 학습에서 보이는 긍정적인 부분을 찾아 변화의 기회로 삼는 것이 필요하다. 학습의 과정 중에 실시하는 평가의 결과에 따라 학생에게 제공하는 피드백이 이러한 성장 마인드에 기반해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교사가 학생에게 주입할 수 있는 것은 제한되어 있다. 

능동적인 학습을 통해 배움을 완성해 가야 하는 것이다. 

로저스는 “타인에게 가르쳐줄 수 있는 것은 그다지 중요한 것이 아니며, 행동에도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고 하였다. 

교사에게 있어 '무엇을 가르칠 수 있는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무엇을 배우는가'가 중요하다. 


결국 교사란 지식과 기능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해주는 사람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자기 자신의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도록 도와주는 사람이다. 성장형 마인드를 가진 학생은 학습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교사는 성장 마인드를 기반으로 학생의 성장과 성취의 과정에 함께하며 안내자와 촉진자로서 조력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성취기준에 대한 맹신, 그 위험성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