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굳센바위 Feb 11. 2024

친환경제품 선택하는 방법 4

친환경 브랜드를 찾아라.

브랜드는 이미지와 가치를 담고 있다. 

브랜드는 회사 이름이나 특정 상품 또는 상품의 그룹을 말한다. 

여러 연구에서 브랜드는 특정한 개성, 역사성, 우월성 등의 이미지를 통해 소비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로서 여러분은 어떠한가? 

각자 어떤 상품을 살 때 무엇을 기준으로 선택하는지를 스스로 돌이켜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믿을 수 있다고 느껴지는 브랜드가 먼저 떠오르지 않는가. 소비자에게 브랜드는 신뢰와 비용 지불 의도를 의미한다. 


브랜드와 환경의 관계에서 친환경 브랜드, 그린 브랜드라는 표현이 있다. 

브랜드 컨설팅 그룹 인터브랜드(Interbrand)는 매년 Global best brand를 선정하여 발표하면서 Best Green Brand도 선정한 적이 있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 동안 그린 브랜드를 발표하였는데, 왜 4년만 했을까? 그린의 중요성이 줄어들어서일까? 

그린의 중요성이 줄어서가 아니고 그린이 좋은 브랜드에 포함되기 때문으로 해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종합적이며 그 속에 환경이 포함되어 있다. 

2004년 니케이 환경경영 포럼에서 기업의 환경 정보가 종합적인 브랜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는데, 상품 우위성 11.8%, 기업 이미지 22.8%, 브랜드 로열티에 24.2%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환경에 대한 노력은 전체적으로 좋은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가져다주며 그 영향력은 기대 이상이다. 

친환경을 기반으로 좋은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한 대표적 회사로 유한킴벌리가 있다. 1984년부터 시작해 지금도 계속 운영하고 있는 "우리 강산 푸르게 푸르게" 캠페인은 유한킴벌리의 브랜드 가치를 높여 시장 경쟁력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캠페인 시작 당시 20%가 채 안 되는 시장 점유율이 1995년 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현재 50%가 넘는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세계 자동차 판매 1위 도요타는 프리우스라는 친환경차를 통해 얻은 브랜드 이미지가 세계 1위 달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림의 빨간색 화살표는 프리우스 모델이 시장에 나온 시기이며 이때 도요타의 차량 판매가 증가하는데 중요한 것은 모든 차종에서 판매가 늘어난 것이다. 환경이 기업 전체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다. 




친환경 제품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친환경 브랜드, 다시 말해 환경이 그 회사의 브랜드 이미지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치고 있는 회사의 제품을 추천하는 이유는 경험에서 비롯된다. 

과거에 환경 이미지가 좋은 회사들과 일해본 적이 있다. 그 회사들은 당연히 자신의 브랜드 이미지를 알고 있으며 그 이미지가 매출에 미치는 막대한 영향을 인지하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그 이미지를 지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지 않을 수 없고 소비자 입장에서 그 노력을 믿을만하다고 느꼈다. 

물론 좋은 브랜드는 브랜드 자체의 비용을 요구한다. 그래서 노브랜드라는 브랜드(?)가 등장했지 싶다. 

명품이 친환경제품이라는 주장도 있었다. 비싸지만 오래 쓰고 수리나 수선 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이다. 환경을 고려하는 구매에서 좋은 브랜드의 비싼 제품을 선택하라는 의미는 아니다. 환경에 대한 의지가 포함된 브랜드의 제품이 친환경제품일 가능성이 높고 이러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은 기업들로 하여금 제품 환경성에 대한 노력에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선순환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제 친환경 브랜드를 찾는 방법을 소개한다. 

1. 창업 이념을 살펴보자. 

아웃도어 브랜드인 파타고니아의 창업 이념을 알 수 있는 일화가 있다. 창업자 이본 쉬나드(Yvon Chouinard)는 암벽등반가였는데 1957년부터 쉬나드장비에서 산악 용품을 만들어 팔고 있었다. 그러던 중 암벽 등반용 쇠못인 피톤이 암벽을 해치는 주범이라는 것을 알게 된 후 피톤 사업을 철수했다. 당시 피톤 사업은 쉬나드장비의 핵심 사업이었다. 피톤 대신 암벽 틈에 끼워 넣는 초크라는 제품을 개발하여 클린 등반 개념을 세상에 알리기 시작했다. 

파타고니아는 연간 매출의 1퍼센트 이상을 환경기금으로 기부하는 ‘지구를 위한 1% 프로그램(1% for the Planet)’을 만들고, 모든 면소재 의류를 100% 유기농 생산 체제로 바꿨다. 

2022년 9월, 팔순이 넘은 기업가 이본 쉬나드가 30억 달러(약 4조 원)에 달하는 회사 지분을 환경 단체와 비영리 재단에 통째로 기부한다고 발표했다. 현재 이 회사 홈페이지에는 다음과 같은 문장이 있다.  

2. 경영자의 신념을 확인해 보자. 

사실 경영자의 진짜 신념을 알기가 쉽지 않다. 언론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접하는 내용은 정제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벨기에의 친환경 세제 전문 기업 에코버의 경영자인 피터 말레즈의 인터뷰는 사실에 가까운 듯 보인다. 

기업에서 경영자의 신념과 의지가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는 대부분 아실 것이다. 환경에 대한 진정성 있는 신념을 확인할 수 있다면 좋은 브랜드로 손색이 없다. 


3. 경영 전략과 실천 상황을 파악해 보자. 

대표적인 환경 관련 경영 전략으로 제너널일렉트릭의 에코메지네이션이 손꼽힌다. 이 전략의 모토인 'Green is Green.'이 돈을 벌자는 것이어서 믿음이 간다. 앞의 그린은 환경이며 뒤의 그린은 돈이다. 미국 달러가 녹색이기 때문이다. 다만, 이 전략의 대상 품목이 발전, 운송, 용수 분야라 일반 소비자에게는 익숙하지 않을 것이다. 

일반 소비자에게 익숙한 환경 전략으로 러쉬의 6대 신념을 들 수 있다. 

이 6대 신념은 행동 양식에 가깝다. 제품을 통해 실제 모습으로 드러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기대에도 부합한다. 러쉬의 제품은 식물성 원료와 에센셜 오일, 최소한의 보존제와 안전한 인공 성분을 사용하고 있다. 동물실험을 하지 않고 동물실험을 거친 원재료 또한 사용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포장을 없앤 고체 형태의 다양한 ‘네이키드’ 제품을 개발하여 출시하고 있다. 

 

2006년 풀무원이 시행한 '완전표시제'도 친환경 전략과 실천의 좋은 사례다. 식품 특성상 식품첨가물이 다양하고 이 첨가물들은 환경과 건강에 이롭지 않다. 


사실 친환경의 의미가 포함된 좋은 브랜드를 찾기란 쉽지 않다. 복잡한 경쟁 구도 속에서 친환경의 가치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때가 있고 잘 포장된 문구의 진실성을 가려내기란 개인의 입장에서 버거울 수 있다. 

하지만 "최고경영자"와 "실천"의 두 개 키워드를 통해 바라보면 판단이 가능할 수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친환경제품 선택하는 방법 3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