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레일라 Apr 04. 2022

사진을 찍는 일


    최근에 작업과 관련된 촬영을 하며 작품 활동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았다. 생각해보면, 작업을 하며 늘 되새김질하는 부분은 바로 관점이었다. 어느 기준을 가지고 일을 대할 것인가에 따라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조차 달라지기에 어느 관점에서 스토리를 풀지를 작업하며 가장 큰 염두에 두곤 했다. 질문은 평범했고 대답 또한 특별할 것 없던 기억이 나는데, 이상하게도 마음은 그렇지 않았던 것 같다.



    작업할때 옆에서 보면 담담한 표정으로 글을 쉽게 쓰는 것 같지만, 글을 쓸 때의 손과 마음은 종종 멈칫댄다. 오래전부터 이런저런 다양한 글과 기획을 써왔지만 사실 카톡 한 줄도 그냥 쓰지 못하는 성격의 소유자라 그런지, 내 마음을 이렇게 전달하면 과연 오해가 없을까. 이 사람에게 이 마음을 이렇게 전해도 되는 걸까. 되새김질한다고 크게 달라질 건 없건만, 상대방이 어떻게 받아들일까 고민하고 오래 품을 들여왔다. 



    처음엔 사진을 찍는 일도 글과 다를 바 없었다. 마음에 드는 앵글이나 피사체를 발견하면 카메라를 들고 한참 고민하고 있기 일쑤였다. 그런 내게 한 사진 기사가 내게 말했다. 사진을 찍을 때는 눈에 먼저 담되, 고민하지 않아야 해요. 생각하는 순간 손은 느려지고 망설이게 되잖아요. 생각이 사진에 묻어나면 좋은 사진이 아니에요. 거침없이 셔터를 누르는 훈련이 되어있어야 합니다. 무엇보다 판단이 빨라야 한다는 의미였다. 손에는 언제나 핸드폰이 있으니 카메라를 켜는 일은 어렵지 않았지만 잘 찍고 싶은, 닉낌을 담고 싶은 욕심이 문제였다. 그도 그럴 수 밖에 없는게, 사진은 당시 시간을, 느낌을, 분위기를, 온도 등 많은 것을 동시다발적으로 담는다. 사진 작업이 늘 글감과 이어지는 이유는 한참이 지난 나중에 슬쩍 들여다보아도 그때 그 시간이 생생히 느껴지기 때문이다.



사진이라는 건 참 좋구나 싶었습니다. 찍는 사람은 보이지 않고 사진을 보는 나를 볼 수도 없고 그런데도 그 사람이 지나간 풍경을 영원한 정지 화면으로 가슴에 안고 갈 수가 있습니다. -니시카와 미와, <유레루>



    전에는 사진을 보고, 그 정지된 화면을 떠올리며 글 작업과 연계했다면 이제는 반대로 지난 시간 속 힘겹게 써둔 글을 읽고 쉽게 사진을 떠올린다. 잠시 멈추어 서서 카메라를 주섬주섬 꺼내 프레임 안에 시선을 담곤 했던 1년 전의 나, 스물네 살의 나를 떠올릴 수 있게 된 것이다. 사진 속에 카메라를 들고 찍는 나는 어디에도 없지만 사진의 존재 자체가 나를 증명하고 있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더 선명해지곤 한다. 그 골목 한 켠에 서서 시선을 향해 잠시 숨을 고르고 멈춰 섰던 그때. 복잡다단한 상황을 마주하고 조용히 카메라를 들어 올렸던 그때.  



    이토록 단순하게 사진을 찍는 그 행위 자체에 머물러 있던 나는 2015년에 사일런트 스페이스를 통해 칸디다 회퍼Candida Höfer를 만났다. 그는 시선과 접근에 대한 남다른 방식을 야기한다. 우리가 매일 보는 수많은 것들 중 과연 무엇이 중요한지, 그것들과 어떻게 소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사진을 통해 던지는 그의 작품을 통해 나는 완전히 매료되어 버렸다. 그는 공간은 우리의 역사를 형성할 뿐 아니라 우리 역시 공간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는 작가였다. 관찰의 매체인 사진을 나의 작업 과정에 얼마나 가볍게 투영해왔던가? 겹겹의 시간을 흔적으로 남기는 일에 의미를 두고 작업한다는 그의 철학을 통해 큰 영감을 받았고, 그렇게 써둔 이 글의 마지막 수정일은 2016년 여름이었다. 



나는 인내심 없는 사람이지만, 내 작업은 인내심을 요합니다. 이 대비가 발전기처럼 내게 힘을 줘요. 하지만 내게 공간의 시간이란 그것이 만들어진 시기나 시대에 대한 것이 아니에요. 공간의 특징을 구성하는 시간의 레이어죠. 사진은 그걸 말해 주기에 이상적인 매체입니다. -칸디다 회퍼, <나의 사적인 예술가들>



    주변에 사진을 찍는 일을 업으로 하는 사람들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공통점이 보인다. 바로 그들의 시선 끝에 닿는 대상을 그 무엇보다 끈질긴 애정으로 탐구한다는 사실이다. 누구보다 빠른 판단력을 가졌지만, 수백 번의 반복적인 행위를 통해 단 한 장의 결과물을 탄생시킨다. 그들의 관점과 생각이 투여된 사진 속엔 후회가 없다. 글도 마찬가지로, 얼마나 많은 실수와 수정을 거쳐야 퇴고를 할 수 있는지 글을 써본 사람들은 안다. 소설가 김연수 님은 글을 쓴다는 것은 사실 글을 고친다는 것과 같다고 했다. 일필휘지로 쓰인 좋은 글은 세상에 없다. 



이상적인 사진과 글이란 다수준적 질문을
던질 수 있는 매체여야 한다는 것


    2022년 봄인 지금, 주기적으로 2주 정도의 시간마다 사진첩을 정리하며 작업에 숨 쉴 틈을 부여한다. 핸드폰 속, 카메라 속 내가 저항한 순간들은 각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들여다볼수록 더욱 알 수 있었다. 사진을 찍은 나의 의도가 선명할수록, 나의 글 또한 명확해질 수 있다. 새로운 인연을 만들고, 익숙한 공간을 탈피할 때면 늘 화두로 공유하는 부분이 이것이다. 요즘 무슨 책을 읽는지, 무슨 생각을 하는지, 당신의 카메라에 담겨있는 사진은 무엇인지-같은 소소한 일상의 것들이다. 좋은 사진은 좋은 대화를 이끌어내기 마련이니까. 



    나의 뷰포인트 안에 담긴 일상 속, 시선은 무엇을 의미할까. 누군가로부터 영향을 받았는지, 피사체는 명확한지, 공간과 현장이 진부하지는 않은지-추상적이고 즉흥적인 질문을 던져본다. 



매거진의 이전글 난로 앞에서 편 책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