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ayden Apr 12. 2024

SEO 키워드 찾기

Winning Keyword를 찾는 과정

지난번 글 [키워드 분석의 중요성]을 이어가는 글이다.

글 말미에 Winning Keyword를 찾으라고 했는데, 그것에 대한 보충 설명과 인사이트를 공유하고자 한다.

PMF-K

나는 회사에서 PMF-K 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PMF는 Product/Market Fit으로 제품이 시장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는 것으로 제품 시장 적합성을 의미한다. PMF-K는 제품과 시장 상황에 잘 맞는 키워드를 의미한다.

이 PMF-K를 찾아가는 것이 바로 Winning Keyword를 찾는 것이다.


이는 검색량 쿼리에 비례하지 않고, CPC에 비례하지 않으며, 전환율과도 꼭 정비례하지 않다.

또한, 의도가 비즈니스와 맞지 않을 수 있고, 같은 의도여도 카테고리에 따라 전환율이 다를 수 있다.


어떤 키워드를 통해 노출된 콘텐츠를 읽고 들어오는 유저의 전환 당 비용이 가장 낮다 라는 것을 찾는 아주 힘든 일이기에, 다 방면의 시각이 필요하다.






말로는 누구나 할 수 있는 이야기이기에, 네이버 SEO의 ROI 최적화 사례를 공유해보고자 한다.


매달 신규 이슈들이 가득한 도메인을 가졌기에 쿼리량의 변화가 심하고,

네이버 SEO 진행 시, 키워드 별로 상위 노출 순위와 기간이 큰 차이를 보였으며,

UTM 기준으로는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성과로 명시하지만, 여러 롱테일 키워드로의 노출이 잡혀 사실상 해당 키워드만의 온전한 성과라고 보기에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따라서, 키워드 우선 순위 설정에 대한 명확한 판단이 어려웠다.


그러다 보니, 어떤 지표들을 통해 키워드를 최적화 할지 플로우를 기획해보았다.


1. 우선, 어떤 키워드를 통해 유입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구글 서치 콘솔을 통해 유입 키워드를 분석했다.


2. 분석한 유입 키워드 중, 네이버 월 쿼리량이 높은 순서로 10개를 선별했다.


3. 어떤 지표들을 트래킹 할지 설정했다.

해당 지표들을 선정하고, 이 지표들의 역할과 인사이트를 별도로 분리했다.


4. 콘텐츠를 업로드 하고, 업로드 시점으로 부터 2주간 데일리 트래킹을 진행했다.


5. 인사이트에 따른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키워드 · 콘텐츠를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이에 따라 관리 순위가 높은 키워드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6. 최적화를 진행한다.

2주간의 누적 데이터를 통해   

목표 키워드 10개와 실제 노출 키워드 10+a개를 리스트업한다.

첫 구매 전환 수가 발생하지 않은 키워드는 drop한다.

성과는 구매자 수 > 가입자 수 > 조회수 기준으로 가중치를 두어 판단한다.

새로운 키워드와 함께 다시 10개 키워드를 선정하여 이를 반복한다.


해당 플로우를 통해 PMF-K 를 찾아나갈 수 있었다.

별도의 인사이트를 공유하자면

A. PMF-K는 대체로 구글 자연 검색 클릭률 X 네이버 쿼리 의 값이 높았다.

B. 전략적인 타이틀 구조를 사용하면,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키워드에 상위노출 시킬 수 있다.

C. 200만 쿼리의 2위 노출 보다, PMF-K가 높은 1만 키워드 2위에 노출되는 것이 더 높은 조회수를 기록했다.

매거진의 이전글 키워드 분석의 중요성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