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태르페디엠 Jan 07. 2024

내가 피해자라고 느껴질 때

기버들이여! 받아들입시다.

엄마는 종종 이런 말씀을 하셨다.


 내가 식모냐?


 자녀를 돌보고 온 가족의 식사를 책임지는 일은 전적으로 엄마의 몫이었다. 23살에 시집을 와 24살에 첫째 아들을 낳은 엄마는 돈도 많이 아껴야 했다. 양가 부모로부터 지원받지 않았기 때문이다. 엄마는 주로 시장에서 장을 봤다. 콩나물을 살 때에도 오백 원어치를 살 지, 천 원어치를 살 지 고민했다.


 아빠는 밖에서 먹는 음식이 맛이 없어 외식이 싫다고 했고, 엄마는 꼼짝없이 한 달 90 끼니의 메뉴를 기획 및 실행해야 했다. 엄마는 제육볶음부터 치킨, 피자에 이르기까지 직접 만들어주셨다. 그런데 그 일을 혼자서 다 했는데도 불구하고 정작 밥 먹을 시간이 되면 이제 요리는 그만 하고 얼른 식탁으로 오라는 핀잔을 듣곤 했다.

 당시 아빠는 일주일에 회식을 여러 번 했다. 아빠에게 밖에서 먹는 음식들은 일상이었지만, 엄마에게는 낯선 일이었다. 아빠는 소갈비 등 밖에서 먹었던 음식에 대해 종종 이야기하시곤 했다. 내가 알기로는 엄마 먹어보지 못한 메뉴가 많았다. 나는 부인을 그런 곳에 데려갈 생각을 하지 못하는 그 모습에 실망도 했고, 얄밉기도 했다.

(아버지는 외벌이로 우리 집의 생계를 책임지고 자수성가하셨다. 감사합니다.)


 어린 시절, 밖으로 밥을 먹으러 나가면 무진장 즐거웠다. 낯선 공간에서 새로운 반찬과 메뉴를 먹는 것. 무엇보다 외식할 때 특유의 단란한 분위기가 좋았다. 아무도 고생하지 않는 커다란 장점 단란함을 부르지 않았을까. 다 자라서 사회생활을 시작해 보니 외식은 단순히 맛이 있고 없고의 문제가 아니었다. 외식은 새로운 맛과 공간의 분위기로부터의 경험이고 재미이자, 무엇보다 편리함 그 자체였다. 외식은 놀이의 한 형태이기도 했다.

 재정만 넉넉했더라면 아무리 아빠가 집 밥을 좋아한다고 했을지라도 외식을 나갔을 거라고 짐작해 본다. 그때는 엄마의 사랑과 희생을 너무 당연시했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부모님이 각자 다른 부분에서 고군분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소통하지 못했고, 그 미묘한 긴장감이 전해진 탓에 나는 불안했다. 그럴 때마다 엄마의 불행을 내가 맏아들로서 책임져야 할 것만 같았다.


 엄마는 기버(giver) 성향이셨다. 나에게는 학창 시절 미국으로 유학을 보내주시는 등 최고의 것들을 선물해 주셨지만 본인은 커피 값이 아까워서 카페에도 가지 않았다. 나는 엄마가 친구 모임 덕분에 카페모카를 먹을 수 있어 좋았다는 말을 듣고 이를 알았다.


 기버 성향의 사람들은 실제로 남들에게 많은 것들을 제공한다. 주는 것에 편안함을 느끼기 때문에 받는 것보다 줄 때가 많고, 상대방이 아무런 피드백을 주지 않을 땐 섭섭하기도 하다. 내 생각에 우리는 우리가 기버라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마음 가는 대로 모든 것을 내어주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의 마음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때론 힘을 빼는 연습이 필요하다.


 이는 가족 간의 관계에서도 생각해 볼 만한 문제다. 가족은 계산 없이 모든 것을 주는 사이 아니냐라고 누군가 반문할 수도 있다. 내 생각은 조금 다르다. 내 마음이 다친다면 가족 구성원을 진심으로 사랑하기 힘들 것 같다.

 나는 엄마가 심리적으로 고통받는 모습을 보며, 어떠한 관계에서든지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바운더리를 정할 필요가 있겠다고 생각했다. 건강한(상처를 덜 받는) 마음과 행동을 바탕으로 아내와 진심으로 아끼고 사랑하는 사이가 되겠다고 다짐했다. 그리고 힘들 때에는 어떠한 방식으로라도 이를 나누어서(표현 등) 둘 사이에서 사랑하는 감정의 컨센서스를 유지하겠다고 말이다.

 가족이라는 공동체를 누군가의 희생이 반드시 필요한 집단으로 만들지 않겠다. 적어도 각자 어떠한 부분을 희생하고 있는지 서로 알고 그에 대해 감사할 수 있도록 하겠다. 아이가 다 자랐을 때 우리 가족은  Me first, love always 집단이었으면 좋겠다.



ps. 

 기버들은 주는 데 익숙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로부터 받는 것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만 준다는 피해의식을 가지고 있을수도 있다고 한다. 종종 이성적으로 따져 보아야 하겠다.


기버 관련 내용을 구글링 하다가, 인간관계에서 상처받은 기버들이 한 번쯤 읽어보면 좋을 것 같은 사례를 공유합니다

  . 내용 : 왜 사람은 잘해주고 맞춰줄수록 만만하게 보는 걸까요?라는 질문과 그에 대한 정신의학과 전문의의 답변

작가의 이전글 대기업 공채 11곳 원서 접수 후, 7개에 합격한 이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