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썰킴 May 19. 2024

작가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한 이유

책은 작가의 분신

 책은 작가가 펜으로 낳은 자식이다. 책을 쓰기 위해 작가는 자신의 삶에서 건져 올린 생각과 경험들을 재료로 부단히 글을 써 내려간다. 생각과 경험이 담긴 글은 작가의 분신이다. 책은 작가와 닮았다. 책을 읽으면 작가를 알 수 있고, 작가를 알면 책을 알 수 있다. 책을 읽고 작가에게 호기심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 행여 감동과 전율을 일으키는 책을 만나면 작가에 대한 궁금증은 더욱 커지게 된다. 이때부터 작가에 대해 본격적으로 알아보는 시점이다. 자신에게 영감과 감동을 준 작가라면 그의 전집, 전기, 살았던 생가, 업적, 주변 사람들의 평가 등 모든 것을 찾아보게 된다.       


한 권의 책에 사로잡힐 때작가를 읽고 이해하기 시작해 그와 모종의 관계를 맺을 때 비로소 그 책은 진정한 영향을 발휘한다.

<헤르만헤세의 독서의 기술>, 헤르만 헤세       


 마치, 아이돌을 좋아하는 열혈 팬처럼 작가에 대해 샅샅이 조사한다. 작가가 언제 태어나고, 어떤 부모님 아래에서 자랐으며, 집안 환경은 어떠했는지, 취향은 어땠으며, 어릴 때 어떤 꿈을 그렸는지 말이다. 작가의 개인사부터 시작하여, 크게는 이 작가가 살았던 시대를 조사한다. 작가가 살던 나라와 그 시대는 어떤 가치를 중요하게 여겼는지, 어떤 역사적 사건에 작가에게 영향을 주었는지, 그에게 인생행로를 결정짓게 한 핵심적인 사건이 무엇이었는지 말이다. 책을 읽을 때 호기심은 글로부터 생겨나지만, 그 호기심은 자연스레 작가에게로 옮겨간다. 책 읽기가 작가 읽기고, 작가 읽기가 책 읽기이다. 작가를 알고 책을 읽을 때와, 작가를 모르고 책을 읽을 때와는 격차는 너무나 크다.    

 

 작가의 글에는 저마다 자신만의 철학과 지향점이 있다. 작가의 삶이 그가 쓴 글과 합치되면 책은 더 단단해진다. 글만 읽을 때와는 차원 다른 감동을 주기도 한다. 반대로. 작가의 삶과 책에 있는 글이 합치되지 않을 때의 책은 생명을 잃는다. 작가와 책은 일심동체이며 운명 공동체이다. 이 둘을 분리할 수 없다. 깊이 있는 글을 써 내려가는 작가는 모두 삶 속에 고뇌가 있다. 작가가 어떤 고뇌를 품고 살았느냐를 알게 되면, 그의 글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작가의 삶을 이해함으로써 책을 보다 깊숙이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작가의 생에 대한 탐구는 슬로 리딩의 기본이기도 하다. 아래 내가 좋아하는 <일일초>라는 시가 있다.     


오늘도 한 가지

슬픈 일이 있었다.

오늘도 한 가지 

기쁜 일이 있었다     

웃었다가 울었다가

희망했다가 포기했다가

미워했다가 사랑했다가     

그리고 이런 하나하나의 일들을

부드럽게 감싸 주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평범한 일들이 있었다

<일일초호시노 도미히로     


 시를 읽으니 어떤가. 슬픔과 기쁨, 웃음과 울음, 희망과 포기, 미움과 사랑에 대해 담담한 어조로 자신의 하루를 관조하듯 써 내린다. 그리고 이 모든 일들이 수많은 평범한 일들과 함께 있음을 이야기한다. 이 시를 읽고 따듯한 차 한잔을 떠올렸다. 고요함 속에 향기로움, 그리고 온기가 있었다. 참 마음이 따뜻해지는 시라고 생각했었다. 그러다, 아래 시인에 대해 쓰인 한 줄을 더 읽고 마음이 먹먹해졌다.    

 

교사 시절 기계 체조를 가르치다가 철봉에서 떨어져 전신마비가 됨     


 이 한 줄이 마음 깊숙이 자리 잡고 있던 무엇을 건드렸다. 가슴이 아렸다. 연민인지, 슬픔인지 모를 감정과 들면서 시가 달리 보였다. 시가 시인의 삶을 타고 내 안으로 깊숙이 들어왔다. 아래 한 줄이 없었다면, 나에게 스쳐 지나갈 좋은 시로만 남았을지 모른다. 그러나 시인의 삶을 아고나니, 이 시는 나에게 다르게 읽혔다. 몸 하나 움직일 수 없는 상황에서 삶을 담담하게 바라보는 태도와 시선에서 감동이 있었다. 그렇다. 글과 작가는 분리될 수 없다.      


 훌륭한 작가는 자신만의 고유한 장소고유한 땅을 갖고 있다이야기는 이야기를 생산하는 풍토에 작가가 애착을 갖고 있어야 만들어진다.

<아무도 없는 밤에 피는>, 사쿠라기 시노     


 위의 글은 사쿠라기 시노의 작품을 해설하는 글의 첫 문장이다. 저 문장은 모든 글에 있어 참이다. 작가의 삶은 글의 모태이다. 어떤 이야기도 작가의 경험과 생각을 벗어날 수 없다. 아는 만큼 쓰고, 경험한 만큼 쓰고, 생각한 만큼 쓴다. 작가의 인생을 조사하며 책을 읽으면 책 안의 글에서 작가의 삶과 글이 실타래 얽혀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수많은 교차점을 찾을 수 있다.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어떤 주제가 있다. 작가는 그 주제를 떠올리게 된 동기가 있었을 것이고, 해답은 바로 작가 삶 속에 있다. 주제는 누군가 작가에게 주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삶 속에서 발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책을 쓰는 작가의 표현도 마찬가지다. 어떤 소설을 읽을 때는 배경 묘사가 너무나도 정밀하고 선명하여 실제로 보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렇다면 그 배경을 소설가는 만들어낸 것일까. 아니다. 자신이 눈으로 보고, 듣고, 만지고 느낀 것을 글로 써낸 것이다. 자신이 살았고 겪었던 환경에 대한 묘사이다. 그래서 실제 살았던 것처럼 생생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한국의 노 작가들을 보면 옛 한국의 마을의 풍광이나, 분위기를 실제로 살았던 것처럼 세밀하게 묘사한다. 겪었기 때문에 그렇게 쓸 수 있는 것이다. 어렸을 적 자신이 태어나고 자랐던 산자락 작은 마을이며, 시골 장터의 구수한 내음과 풍성했던 인심을 표현하는 것은 모두 그 장소, 그 시대에 있었기 때문에 쓸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이 아닌 다른 지역을 배경으로 삼은 소설은 어떨까. 조정래 작가는 <정글만리>를 쓰기 위해 중국으로 수년 동안 자료 수집을 위해 다녔다. 꼼꼼하고 광범위하게 자료를 수집하여 중국에서 살았던 것처럼 생생하게 소설을 써 내렸다. 그래서 격변의 중국을 살아내고 있는 다양한 인간 군상을 순간 냉동하여 전시하듯 써낸 것이다. 조정래 작가뿐이겠는가. 다양한 작가들이 자신의 삶을 원료로 책을 써 내려가고 있음이다. 작가를 모르면서 책을 읽지 마라. 작가는 책의 원산지다. 원산지 표시를 등한시 여기면 깊은 독서는 물 건너간다. 좋아하는 책이 있다면, 더 읽고 싶은 책이 있다면 작가를 샅샅이 파악해자. 책 읽기가 달라진다. 더 재밌고, 더 깊이 읽힌다.

매거진의 이전글 지속적인 독서를 위한 열정 관리법(3)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