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현수 Apr 29. 2019

푸드트럭 - 4교시 메뉴 및 차별화

창업 아카데미

4교시 교육은 메뉴 컨셉 및 차별화 방안이다.


아이템(Item)이란

업종이나 판매할 상품과 서비스의 총칭이다.


아이템을 구상할 때 자신이 제일 좋아하고 잘하는 게 무엇인지 생각하고 시작했으면 한다.

많은 소비자들에게 인기 있다고 해서 남들과 똑같이 따라 하기보다는 

나만의 독창성과 개성으로 푸드트럭 아이템을 표출할 수 있다면 소비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줘서

다른 지역의 행사장에 가서도 타 푸드트럭 보다 앞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단, 맛을 기본적으로 보장이 돼야 된다는 사실은 기본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독창성과 개성을 중요시한다고 맛을 무시한다면 소비자들에게 외면받을 것이다.


아이템 선정은 창업의 성패가 달려있다.

우리 일상생활에서 흔히 트렌트는 유행을 일컫는다.




트렌트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1) 뉴트로 감성

New(새로움)와 Retro(복고)를 합친 신조어인 ‘뉴트로(New-tro) 감성’.

익숙하지 않은 옛것(아날로그 감성)들이 젊은 세대에게 신선하고 새로움으로 

느껴져 인기를 끌고 있는 현상으로 외식분야에서는 골목상권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것이 

뉴트로 확산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런 감성은 음식에 제한되지 않고 간판, 디자인,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본다.


(2) 비대면 서비스화

패스트푸드점, 편의점, 대형마트 등에서 무인 주문 및 무인결제 시스템.

무인화, 자동화의 확산과 배달앱 및 kdoiq의 보급으로 사람을 만나지 않고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뜻이다.


외식분야에서도 사람 중심의 서비스가 기계 중심의 서비스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지만, 앞으로 사람 중심의 고급화된 서비스와 편의성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로 

서비스의 형태가 양극화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얘기한다.


(3) 편도족의 확산

보편화된 가족 구성원 형태의 변화 3인 가구 이상 → 1인 가구, 2인 가구 등으로 소형화되며,

이에 식사 해결 방식이 달라지며 편의점 등에서 파는 ‘가정간편식(HMR)’ 식사의 한 종류가 되었다.

ㄱ. 기존 편도족 : 편의점 도시락으로 식사를 해결하는 형식이라면

ㄴ. 2019년 편도족 : 서비스 제공과 함께 HMR 등 음식 섭취의 공간.

곧 편의점이 ‘식당’을 대체하고 될 것이라고 전망된다.


(4) 하이브리드 외식

식품과 제품의 콜라보, 두 가지 맛을 한꺼번에 느낄 수 있는 음식, 

음식점의 투 컨셉 단맛과 짠맛의 조화 등의 키워드와 연관되면서 

하이브리드 외식 현상은 쉽게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햄릿 증후군 고객을 위한 메뉴,


음식 출시와 맞물려 수요층이 겹치는 제품끼리 판매하는 음식점이 증가하면서 

메뉴의 단점을 커버하는 전혀 예상하지 못한 음식의 융복합 현상 및 

매출을 끌어오는 효과까지 나타나고 있다.


(5) 가성비

경기불황이 지속되면서 가격 거품을 뺀 가성비(저렴하면서 음식의 품질이 좋은)가 

좋은 음식점이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대용량 식품, PB식품, 무한리필 식당, 

냉장 디저트 등이 구매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커피, 주스 전문점 위주의 대용량 커피, 저가 주스 메뉴 등도 함께 큰 인기를 얻고 있다.


(6) 푸드 편집샵

여러 개의 브랜드 음식점 및 음식 상품이 한 곳에 모두 입점한 백화점, 대형마트, 

복합 쇼핑몰의 푸드코트를 의미하고, 여러 음식점이 한 곳에 있어 고객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공간으로 진화하면서 외식업 형태를 변하 시켰다.


(7) 패스트 캐주얼

패스트푸드와 패밀리 레스토랑의 중간이라고 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이다.

건강식을 찾는 고객들의 등장과 가격이 조금 비싸더라도 신선한 음식을 먹으려는 

고객의 니즈가 생겨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주목받고 있다. 

예) 프리미엄 김밥, 떡볶이, 수제버거 등을 말할 수 있다.


메뉴 계획 시 여러 가지를 생각하고 고민해야 된다.

고객 선호하는 음식인지, 영양 몇 % 인지, 식자재는 공급의 방법, 시설과 장비, 

재료대의 예산을 몇 % 잡고 판매 가격은 얼마나, 생산 형태와 서비스 등 고민해야 한다.

     

매출 증진을 위해 새로운 메뉴 개발 및 기존 메뉴를 보완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중요한 부분은고객 Needs를 만족시킴과 동시에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가장 이상적인 메뉴 구성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1) 어디서(음식점 종류)

(2) 누구에게(고객)

(3) 얼마나 다양하게(메뉴 종류)

(4) 언제(판매시간)

(5) 얼마나(매출량)

(6) 어떻게 제공(서비스 형식) 


메뉴 컨셉 및 차별화 전략으로는 위에 말한 외식 트렌드를 분석 및 전망해야 된다.

(1) 한 끼 식사를 간편하고 빠르고 건강하고 알차게 즐기고 싶은 

     고객 니즈가 증가하고 있는 점을 기억하자.

(2) 한식 뷔페, 퓨전 한식으로 한식의 대중화가 많이 보편화되었고, 

     새롭게 해석되는 모던 한식도 확산되고 있음

(3) 1인 외식이 보편화가 되는 시대가 되면서, 혼밥족을 넘어 혼자 술, 커피를 마시는 

     나 홀로 외식문화 확산됨.


고객의 선택을 받기 위한 마케팅은 필수 도구이다.


창업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메뉴와 가격,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판매방법,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인테리어,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 등 전략이 필요하다


고객을 음식점으로 끌어들이는 기술이 아니라, 

소비자 스스로 음식점을 찾아오게 만들어서 한번 구매가 아닌, 

반복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차별화된 마케팅이 필요하다

고객이 직접 만드는 SNS – 먹스타 그램을 말할 수 있다.



현수 작가의 푸드트럭 창업 교육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4SzIPHnF88k

     

현수 작가의 창업스토리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fmdo5rcFc_OXDodxyPXpnQ?view_as=subscribe

매거진의 이전글 푸드트럭 - 3교시 창업절차(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