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힘들 때, 무작정 버티지 말고 이 3가지를 기억하세요

요즘 사는 게 힘들고, 지치고, 스트레스 받아서 혼자 끙끙 앓고 계신가요? 세상이 참 마음처럼 안 되죠? 저도 깊이 공감합니다. 생각대로 흘러가는 경우는 정말 많지 않은 거 같아요.


그래서 어떻게 하면 이 힘든 상황을 조금이나마 극복하고, 행복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 고민을 해보니까 딱 세 가지로 말씀드릴 수 있을 거 같더라고요.


그게 뭘까요? 바로 수용, 몰입, 만끽 +⍺ 인데요.


이 +⍺ 는 말 그대로 보너스 같은 느낌이라 3가지를 먼저 말씀 드리고, 그 다음에 말씀 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듣기만 해도 여러분의 힘든 상황을 나아지게 해줄 3가지, 지금 전해드릴게요.




자 여러분, 어느 선생님 한 분과 학생들이 야외 수업을 하고 있었나봐요. 그런데 큰 바위가 하나 있었대요. 그걸 본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이렇게 물어봅니다.


“얘들아, 저 바위 무거울까?”


학생들이 이렇게 대답하죠.


“당연히 무겁죠.”


그러자 선생님이 이런 말을 해요.


“안 들면 안 무거워”


무슨 이런 말장난이 다 있어요. 그쵸? 그런데 여기에는 정말 중요한 교훈이 하나 숨어있어요.


우리가 삶을 살아가면서, 나는 그냥 조용히 내 앞길을 걷고있는데, 난데 없이 바위가 쿵 하고 떨어져요. 뭐 잘못한 것도 없는데.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하죠? 이 바위를 옮기려고 해요. 다시 말하면, 저항을 합니다.


'왜 나한테 이런 일이 벌어진거야?'


'왜 하필 지금?'


'다른 사람들은 다 잘 살고 있는 거 같은데 왜 나한테만?'


이렇게 옮길수도 없는 바위를 옮기려다가 진이 다 빠져요. 힘들고, 지치고, 다 포기하고 싶죠.


그런데, 이 바위는 옮길 수가 없어요. 겨우겨우 옮긴다고 해도, 얼마 못가서 또 바위가 떨어지죠.


그러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그냥 돌아서 가면 돼요. 이미 벌어진 일에 대해서는 [수용]을 해야됩니다. 이 수용의 반대말이 바로 저항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저항은 하면 할수록 괴로워져요.


<마음챙김>이라는 책에서는 이렇게 공식으로 말해주더라고요.


괴로움 = 고통 X 저항


고통은 우리가 어떻게 할 수가 없어요. 하지만 괴로움을 줄일 수는 있습니다. 저항이 0이면 괴로움도 0이 돼요.


우리가 저항을 하는 이유는 뭘까요? 삶에서 정답을 정해놓기 때문이에요.


이러이러한 삶이 좋은 삶이야. 이렇게 정해놓고, 그것처럼 흘러가지 않으면 계속 저항을 하는 거예요.


그런데 계획대로 되는 삶은 없잖아요. 정답을 정해놓는 대신, 어떤 일이든 벌어질 수 있다고 생각해야돼요. 그리고, 수용을 해야 됩니다.


하버드대학교의 연구팀은, 1930년대 말에 입학한 2학년생, 268명의 삶을 72년 동안 추적하면서, 행복에 대한 공식을 찾기 위해서 노력했는데요,


이 연구를 담은 책 <행복의 조건>에는 이런 말이 나와요.


행복의 조건은 ‘인생의 고통에 어떻게 대응하는가’에 달렸다.


고통의 많고 적음이 아니라, 그 고통에 어떻게 대처하는가가 중요하다는 거예요.


고통에 대처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뭘까요? 바로 수용이죠.


그런데 이 수용을 체념과 혼동할 수 있는데요, 수용과 체념은 달라요.


체념은 뭘까요? 약간 반포기 상태에요. ‘에휴 모르겠다 이젠’ 이런 상태고,


수용은 상당히 적극적인 태도예요.


‘내가 할 수 없는 부분은 받아들이자. 어쩔 수 없지 뭐. 그리고 할 수 있는 부분에 집중하자.’


이거예요.


다시 한번, 내가 할 수 없는 부분은 받아들이고, 내가 할 수 있는 부분에 집중해야돼요.


이렇게 할 수 있는 부분에 집중하는 걸 뭐라고 부를까요? 바로 [몰입]이라고 부릅니다.


<몰입>의 저자인 미하이 칙센트 미하이는 ‘인간은 언제 행복할까?’라는 질문에 자신만의 경험표집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했는데요,


사람들한테 일주일동안 호출기를 가지고 다니게 하고, 호출기가 울릴 때마다 설문지를 작성하는 방식이었어요.


정해진 시간 없이, 불규칙하게 하루 7-8번씩 호출기가 울렸는데요, 불시에 그리고 즉각적으로 설문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료는 높은 신빙성을 가지게 된다고 해요.


이렇게 경험들을 모아보니까, 사람들이 가장 행복감을 느끼는 순간은 다른 어떤 일에도 관심이 없을 정도로 지금 하고 있는 일에 푹 빠져 있는 상태였대요.


이런 상태를 그는 플로우라고 명명 했는데, 그 이유는 사람들이 최적 경험에 빠져 있을 때를 ‘물 흐르는 것처럼 편안한’, ‘마치 하늘을 자유롭게 날아가는 느낌’으로 묘사했기 때문이에요.


이 플로우와 가장 어울리는 우리 단어가 바로 몰입이에요. 이 몰입 상태에서는 나를 잃는, 무아지경의 상태가 됩니다.


자, 우리가 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수용을 통해서 괴로움을 줄였다면,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몰입을 해서 행복감을 조금이라도 올려야돼요.


만약에 직장에서의 인간관계 때문에 힘들다고 해볼게요. 여러분들도 아시겠지만 지금 당장 누군가를 바꾸는 건 정말 힘든 일이에요. 이거는 수용을 해야됩니다. 받아들여야 돼요.


그러면 어디에 집중해볼 수 있을까요? 먼저, 일단 해볼 수 있는 데 까지는 해볼 수도 있겠죠? 예를 들면 데일 카네기의 인간관계론을 읽고 인간관계를 좀 나아지게 해볼 수도 있을 거예요. 그런데 이렇게 해봤는데도 안된다?


그러면 내가 하는 일에 몰입해보는 거예요. 그러면 어떻게 될까요? 내 능력이 올라가요. 내 능력이 올라가면 회사랑 협상을 해볼 수도 있는거고, 이직을 고려해볼 수도 있는 거예요.


이게 바로 몰입의 마법이에요. 몰입의 조건과 성장의 조건이 같거든요.


몰입은 언제 일어날까요? 과업이 내 수준보다 약간 높을 때.


과업이 너무 어려우면 포기하게 되고, 또 너무 쉬우면 지루해져요. 딱 내 수준보다 약간 높을 때 몰입이 일어나거든요?


이 지점을 대가 연구의 대가인 ‘안데르스 에릭슨’은 성장의 스위트 스팟이라고 불렀어요. 뇌 가소성, 그러니까 뇌의 변화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점이기 때문이에요.


이게 무슨 말이에요? 몰입하면 성장도 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 다시 말하면, 몰입을 하면 할수록 할 수 없었던 부분이 할 수 있는 부분으로 바뀔 수도 있다는 거예요!


그러니까 어떻게 해야 될까요? 내가 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수용을 하고, 내가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몰입을 해야됩니다.


자 그런데, 여기서 알아야 할 중요한 사실 하나는, 너무 한가지에만 몰입하면 안된다는 거예요.


여러분 그거 아세요? <혼자 살아도 괜찮아>라는 책에 따르면, 독신이 기혼자보다 번아웃 증후군을 더 쉽게 경험한대요.


그냥 독신이라서, 혼자 살기 때문이라서가 아니에요. 독신은 직업 또는 경력계발에 비중을 더 많이 두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래요.


어느 한 분야에 너무 비중을 두면, 그 분야에 문제가 생겼을 때 자신감이 크게 위축될 수가 있대요. 그런데 기혼자들은 일이 만족감을 얻는 유일한 길이 아닌 거예요. 그들은 가족이라는 일종의 ‘안전망’이 있어요.


그래서 지금 뭐 결혼을 하라는거냐? 결혼 장려 영상이냐?


그런게 아니구요. 어느 한가지에만 너무 치중하면 안된다는 거예요. 우리에게는 행복의 기둥이 여러개 필요합니다.


다시 한번, 우리에게는 행복의 기둥이 여러개 필요해요.


그래서 우리에게는 몰입과 더불어서 [만끽]이 필요합니다.


만끽은 몰입이랑 어떻게 다를까요? 집중하는 건 똑같은데, 집중하는 대상이 달라요.


몰입은 과업에 집중한 나머지 나를 잃는 상태를 말하는 거고요, 만끽은 내가 느끼는 감각과 감정에 온전히 집중하는 걸 말해요.


카페에서 친구랑 대화를 한다고 해볼게요. 대화를 할 때는 딱 대화에만 몰입하는 거예요. 그런데 대화를 잠깐 멈추거나 커피를 한잔 마실 때 또는 디저트를 먹을 때, 바깥 풍경을 구경할 때 잠시 이 순간을 만끽하자는 거예요.


카페의 분위기, 대화의 즐거움, 커피의 향과 디저트의 달콤함. 이런 것들을 온전히 느껴보는 거죠.


언제 만끽의 행복을 느낄 수 있을까요? 식사를 할 때나 커피를 마실 때, 퇴근하고 휴식을 할 때가 있을 수도 있고, 몰입을 하다가 몰입이 풀리는 순간을 만끽할 수도 있어요.


저는 독서에 몰입하다가 잠시 몰입이 풀릴 때 생기는 번뜩이는 감각을 좋아합니다.


자 그래서 행복의 세번째 열쇠는 오늘 누릴 수 있는 것에 대한 만끽인데요, 수용 몰입 만끽에 이은 마지막 행복의 열쇠는 뭘까요?


바로 오늘 내게 주어진 것에 대한 [감사]입니다.


여러분, 감사하지 못할 정도로 하찮은 건 없어요. 모든 것에 감사할 수 있어요.


감사는 누군가와의 비교에서 오는 게 아니고요, 그냥 오늘 나에게 주어진 것에 대해서 감사하는 거예요. 햇빛, 앉을 수 있는 의자, 이 영상을 볼 수 있는 스마트폰 등 감사할 건 무수히 많습니다.


만약 어디에 감사해야될 지 모르겠다면, 내가 구석기 시대에 태어났으면 어땠을까 고민해보세요. 오늘 내가 서있는 곳이 얼마나 눈부신지 아시게 될 거예요.


<나 자신이 되는 법> 전자책 + <나를 제대로 아는 방법> 워크북 구경하러 가기 ⬇️

https://bit.ly/beselfbook ​


제가 최근에 수영을 하다가 오른쪽 어깨가 빠졌었어요. 그래서 팔걸이를 하게 됐는데요. 처음에는 저도 저항을 했어요.


'왜 하필 이렇게 바쁠 때 다친거야?'


'수영하다가 어깨가 빠진 사람이 있기는 한가?'


그런데 이번 글을 기획하면서, ‘아 이 4가지를 정리했으니까 나한테 적용해보자.’ 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일단은 수용을 했어요.


‘이미 벌어진 일이고, 오른팔은 당분간 못쓰겠구나.’


그 다음엔 어떻게 했을까요? 할 수 있는 부분에 집중했어요.


왼손으로 젓가락질하고, 왼손으로 양치도 하고, 키보드도 왼손으로 치고, 또 키보드로 치기 힘든 건 받아쓰기 기능도 써보고 하면서 어찌됐든 해냈습니다.


밥을 먹을 때나 간식을 먹을 때는 ‘만끽’하기 위해서 노력했고요, 저를 도와주는 우리 가족들과 다친걸 알릴 수 있는 친구가 있음에 감사했고, 일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해주는 스마트폰과 노트북에도 정말 감사하더라고요.


그래서 꼭 여러분들도 이 4가지를 실천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딱 4문장으로 정리해볼까요?


1. 오늘 내가 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수용을 통해서 괴로움을 줄이자.


2. 오늘 내가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몰입을 해서 행복과 성장 둘 다 잡자.


3. 오늘 내가 누릴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만끽을 통해서 행복의 기둥을 늘리자.


4. 오늘 내게 주어진 것에 대해서는 감사를 하자.


이 4가지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게 있죠? 바로 ‘오늘’입니다. 오늘 여러분이 서있는 곳에서 행복하실 수 있어야 돼요.


이 4가지만 매일 연습하셔도, 분명 삶이 달라질 겁니다.


오늘은 여러분의 현재 상황을 떠올려보시면서, 오늘 하루,


무엇을 수용해야 되는지,

어디에 몰입해야 되는지,

무엇을 만끽할 수 있는지,

어디에 감사할지,


댓글로 적어보는 기회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도 오늘처럼 비셀프하는 데에 필요한 다양한 컨텐츠로 돌아올 예정이니깐요,


오늘 이야기가 도움이 되셨다면 [❤️라이킷]과 [구독]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