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arry Aug 28. 2020

8월 27일

베를린 일기 

오늘의 단상

1. 

도전하지 않으면 성장은 없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나 도전만으로는 안된다. 도전에는 항상 리스크가 동반하며, 고통이 뒤따른다. 그 리스크와 고통을 버터내야 한다. 일종의 성장통이다. 나는 성장하고 있는가? 질문에 움츠려 든다면 나는 더 이상 도전하고 있지 않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질문의 내용이 달라져야 한다. 나는 왜 도전하지 않는가? 머뭇거리는 이유는 무엇인가?


2.

작년과 재작년 풀코스 마라톤을 뛰었다. 서울에서 뛰었던 내 생애 첫 풀코스 성적은 3시간 50분이다. 아마추어 러너 치고는 꽤 좋은 성적이라는 칭찬을 들었다. 매일 하루도 빠지지 않고 3km를 뛰었다. 그 3km의 힘이 풀코스를 도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된 셈이다. 대회 한 달을 남겨놓고 국가대표 출신 마라톤 코치와 연습을 한 적이 있는데,  10km를 45분 이내에 들어오는 목표를 제시했다. 코치가 했던 말이 인상적이었다. 심장은 절대 터지지 않는다. 그러나 그렇게 심장이 터질 정도로 달렸던 경험을 하면 몸은, 심장은 기억한다고 한다. 그 경험을 미리 한 사람과 안 한 사람의 차이. 거기에 승부가 난다며 토할 정도로 몰아 부쳤다. 


3. 

도전한다는 것은  끊임없이 나의 한계점을 넘어서는 목표를 향한 부단한 노력이다. 단순히 일상을 잘 살아냈다는 것만으로 성장하지 않는다. 결국 스케일 업이 본질이며, 거기에는 반드시 고통이 따른다. 고통이 없는 성장은 없다. 



오늘의 아포리즘


헤르멘 헤세 <데미안> 중에서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려야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8월 26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