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일상에서 배달음식은 필수다. 하지만 인스턴트 음식으로는 채워지지 않는 허기가 있다. 맛있어서 먹기보다는 배고파서 먹는다는 표현이 더 어울린다. 배달음식에 익숙해질수록 집밥이 그립다. 집에 오면 잃어버린 밥맛을 찾을 수 있다. 어릴 적 엄마가 내준 음식에서 시작한 입맛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요즘에는 상점이나 인터넷을 통해 식재료를 손쉽게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엄마는 정성껏 길러 수확한 것을 식탁에 올린다. 씨를 뿌리고 수확한 것을 먹는다. 간단한 말이지만 현대사회에서 행하기 어려운 일이다.
"엄마, 손도 많이 가는데 오늘은 그냥 사 먹자."라고 말해도 돌아오는 대답은 비슷하다." 사 먹는 거보다 엄마가 더 맛있게 요리해 줄게." 엄마는 우리 가족의 셰프다. 재료는 무엇을 썼는지. 메주로 담근 된장과 버섯 가루로 맛을 냈다든지. 바다에서 막 캐 온 조개로 육수를 냈다든지. 어린순으로 담은 머위장아찌가 입맛을 돋운다든지. 그래서 오늘 음식은 더 맛있을 거라고 우리에게 안내한다.
작년 집 앞 텃밭에 브로콜리, 방울토마토, 무화과, 가지, 배추, 당근 등 여러 가지 종자를 심었다. 작물들이 다행히도 무럭무럭 잘 자랐다. 덕분에 우리 가족은 밭에서 갓 딴 채소들을 배불리 먹을 수 있었다. 특히 방울토마토의 8할은 내가 먹어 치운 것 같다. 색이 오른 방울토마토를 옷소매에 쓱쓱 문질러 베어 물면 상큼한 맛이 입안 가득 퍼진다. 직접 키운 작물이라 그런지 그 맛이 더 달다.
자식들이 오랜만에 내려오면 아빠도 아침 일찍 분주하다. 아직 모두가 잠든 시각.갓 잡은 생선을 저렴한 가격에 구해오신다. 아빠 손을 거친 먹기 좋은 크기의 회가 접시를 꾸민다. 잡고기지만 그 맛은 고급 횟감 못지않다.
자연에 시간을 더하면 계절이 된다. 계절은 돌고 돌아 다시 봄이다. 꽁꽁 언 땅이 꽃망울을 틔우기까지 봄은 얼마나 바지런히 움직였을까. 4월은 채집하는 달이다. 머위도 따고, 깻잎도 몇 장바구니에 담는다. 수줍게 고개를 내민 땅두릅도 채취한다. 채집을 마친 자리는 다시 흙을 덮는다.자연은 시기하지 않고 우리에게 또 한 번 먹거리를 제공한다. 텃밭에도 다시 씨앗을 뿌린다. 많이 얻는 게 목적이 아니기에 무리하거나 욕심내지 않는다. 가족이 먹을 만큼 작물을 기르고 알맞은 순간이 올 때까지 기다린다.
시린 맨발이 두려워 소홀했던 바다도 오랜만에 들렀다. 파도를 양껏 머금은 모랫바닥을 호미로 긁으면 턱 걸리는 게 있다. 형형색색의 조개가 고개를 빼꼼 내민다.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일라.' 추억을 찾는 일은 즐겁다.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조개를 캐다 보면 어느덧 해가 저물기 시작한다. 하늘이 수줍게 물드니 바다도 덩달아 발개진다. 조개를 담은 그물망이 무겁지만, 집으로 돌아오는 발걸음은 가볍다.
갓 잡은 조개는 물만 넣고 끓여도 맛이 잘 우러난다. 향긋한 바다 내음이 코를 간지럽힌다. 돼지김치찜, 두릅튀김, 브로콜리, 머위장아찌, 달래장, 파무침 등 군침을 돌게 하는 음식들이 밥상 가득 채워진다. 가족이 모처럼 모여앉아도란도란 기쁨을 말아 먹는다. 소박한시간이 더없이 정겹다.
군고구마를 먹으려고 아궁이에 불을 땠다. 은박지에 싼 고구마를 집어넣고 익기를 기다린다. 산으로 둘러싸인 정취가 퍽 온화하고 아늑하다. 불꽃과 연기가 내내 어른거리고 타닥타닥 장작 타는 소리가 따뜻하다. 시골의 밤이 봄처럼 무르익어 간다.
부모님의 젊은 시절엔 따뜻한 밥 한 끼가 아주 중요했다. "밥은 먹었냐?"는 첫인사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닐 터이다. 하지만 지금은 아니다. 먹거리가 넘쳐나는 세상이다. 그러다 보니 밥은 뒷전이다. 하지만 엄마가 해주는 든든한 밥 한 끼는 그 어떤 음식보다 강한 힘을 가졌다.
지친 몸을 이끌고 텅 빈 집에 돌아오면 엄마가 해준 음식을 먹고 싶을 때가 있다. 엄마가 알려준 방법대로 직접 만들어 보면 그 맛이 나지 않는다. 그게 바로 엄마의 손맛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