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우주 Nov 10. 2023

성찰하는 글쓰기

#검도와 연애운
"좋은 사람 만나서 결혼해야지~", 외할머니의 통화는 대체로 이렇게 끝나곤 했다. 불과 몇 개월 전까지. 얼마 전부터는 "괜히 이상한 사람 만나지 말고, 남자 조심해~"라는 내용으로 바뀌었다. 할머니에게 어떤 심경의 변화가 있었는지는 모르겠으나, 왠지 찝찝했다. 살면서 할머니에게 처음 듣는 말이기 때문. 할머니가 철학관(?)에서 보고 온 다른 가족의 운세를 들은 다음이어서였을까? 철학관에서 내 연애운을 좋지 않게 말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돌을 좋아하던 시절, 나에게 늘~ 남자가 있다고 말하던 곳과 같은 데인지는 모르겠지만, 지금도 매우 헛다리를 짚은 듯하다. 아무래도 남성 비율이 높은 검도장에서 서로 맞고 때리면서 운동하다 보니, 점괘가 안 좋게 나온 게 아닐까^.^(넝담)

#가훈과 검도
초등학교 과제로 제출하곤 했던 우리집 가훈은 '남에게 피해를 주지 말자'다. 이는 생각보다 내 성격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 때문에 검도장에서 사람을 대할 때도 조급해질 때가 종종 있다. '대련한다 vs 하지 않는다', 이 한 가지만 놓고 본다면 후자의 운동을 선택하고 싶었다. 같은 성장 배경을 지닌 혈육이 학창 시절 해동 검도를 배운 이유도 앞서 언급한 기준 때문이라는 걸 최근에 알게 됐다. 대련을 하기 시작한 현 시점에서 검도를 대하는 (구구절절 나열하기 애매할 정도로) 복잡한 심경은 미뤄 두고, 우선은 살짝 닫힌 마음을 다시금 열어보기로 했다. "배때지에 기합 꽉꽉 채우고 살어"라는 친구의 말을 떠올리며.
 
#다이어트와 검도
지난해 다이어트를 시작했을 때 가장 와 닿았던 말은 “인생은 사진이 아니라 영상”이라는 말이었다. 당장 눈앞에 놓인 여름을 위한 몸매 관리가 아니라, 향후 몇 년을 내다보고 건강관리를 해야 한다는 것. 마찬가지로 검도를 처음 시작했을 때와 지금이 다르듯이, 몇 개월 후에는 또 달라져 있을 것인데…, 그럴 것이라고 관장님이 말씀해주시기 전까지는 그런 생각이 들지 않았다. 지금 당장 어렵다는 사실에만 마음이 쏠렸다. 검생(?)도 사진이 아니라 영상이겠지. 암, 그렇고말고.  

매거진의 이전글 그간의 수련 일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