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휘찬 Aug 09. 2023

성장의 강박

'어제보다 나은 오늘'이라니

어느 시점을 지나면

매일 조금씩 노화되는 인간으로서

어제보다 나은 오늘이 되려면

오늘은 어제보다 조금 더 노력을 해야 하고

내일은 오늘보다 조금 더 노력을 해야 돼.

단지 '어제 보다 나은 오늘'을 위해서 말이야.

성장하지 않는다고 도태되는 것도 아닌데

마음은 왜 자꾸 발을 동동 구르는지

이럴 때 보면 내 마음도 내 편은 아닌 것 같아.

항상 다리가 아프도록 걷거나

티셔츠가 흠뻑 젖도록 달려야 하는 건 아니잖아.

잠깐 멈춰서 하늘을 보거나,

땅을 내려다보며 신발끈을 묶을 수도 있잖아.

출근시간에 어쩔 수 없이

지옥철에 타야만 하는 것처럼,

숨을 쉬기가 힘들 정도로 구겨지더라도

성장이라는 열차에 올라타야만 하는 건가.


그런데

다들 돈이든, 지식이든, 명예나 권력이든,

항상 무언가를 획득하는 것만이 성장이라고

생각하나 봐.

그렇다면 승진을 한 것은 성장이고

용서하지 못할 것 같았던 사람을 용서하게 된 건 성장이 아닌 걸까.

스케쥴러를 빼곡하게 채워가며 여러 일을 해내는 건 성장이고

누군가를 진심으로 위로할 줄 알게 되는 건 성장이 아닌 걸까.

'어제보다 더 행복한 마음,

더 감사한 하루,

더 사랑한 날이에요.'라고 말했을 때,

'그건 성장이 아니야. 성장의 끝은 성공이야.'라고 말하는 것이

이 세상이 원하는 성장인 걸까.


성장이 곧 성공의 다른 말인 세상이라는 게

조금은 서글프지만,

분명한 것은

내 마음이 조금씩 변하고 있다는 거야.

'어제보다 더 나은 오늘'이 아니라

'어제보다 더 나은 어른'이 되고 싶거든.

누군가를 향한 뾰족한 마음도,

내 맘대로 되지 않아 헝클어진 마음도,

이기적이고, 유치했던 옹졸한 마음도

조금은 더 무던하게,

흔들이지 않고 고요하게,

그리고 침착하지만 단호하게

기다리고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 같아.

누군가는 나이가 들어서 그런 거라고 하겠지만,

나이가 든다는 것이 닳아서 무뎌지는 게 아니라

시간의 광을 내는 과정이라면 괜찮지 않을까.

은은하게 빛나는 마음을 가진 어른이 되는 것,

그것도 성장이라고 믿어.

성장이 성숙의 다른 말이라는 것을 믿으니까.

매거진의 이전글 순간의 세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