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궂은일기 Feb 24. 2019

"아뇨."를 기르는 밤,
기지개를 켤 우리

실비아 플라스 Sylvia Plath, 「버섯 Mushrooms」


 "아뇨."가 가진 말맛을 좋아한다.


 상대방보다 지위가 높지 않아 차분하고 예의를 지키면서, 시쳇말로 '싸가지없는' 단호함까지 머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회적으로 뭣도 없어도 경쾌할 수 있는 그 발랄함이 좋다. 선생님·선배의 주장을 줄곧 듣다가 이견이 있어 한참을 생각한 끝에 "아뇨, OOOO~" 식으로 이야기할 수 있을 때면 내가 무엇이라도 된 것 마냥 즐겁다. 


 다만 효과를 발휘하려면 오랜 인내와 숙고가 필요한 편이다. 권위에 흔들리지 않고 내가 옳다는, 아마 많은 이들도 뜻을 같이할 것이라는 확신은 거저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불합리한 억압·회유 등에 진정 "아뇨."라고 말하기 위해서는 휘어질지언정 부러지지는 않는 자기 긍정이 필요하다.


 "아뇨."에 흐르는 그 부드러운 탄성을 영미권 시인 실비아 플라스 Sylvia Plath (1932-1963)의 버섯 Mushrooms에서도 느낀다.



        Mushrooms                    버섯          


          Sylvia Plath                                    실비아 플라스



              Overnight, very                                            밤사이, 아주

              Whitely, discreetly,                                       하얗게, 신중하게,

              Very quietly                                                 아주 조용히


              Our toes, our noses                                       우리의 발가락과 코는

              Take hold on the loam,                                  찰흙을 꽉 붙잡고,

              Acquire the air.                                             공기를 얻는다.


              Nobody sees us,                                            아무도 우리를 보거나

              Stops us, betrays us;                                      지지하거나, 배신하지 않는다.

              The small grains make room.                          작은 낟알은 자리를 내어준다.


              Soft fists insist on                                         부드러운 주먹은

              Heaving the needles,                                      뾰족한 나뭇잎과

              The leafy bedding,                                         잎이 많은 화단과


              Even the paving.                                            심지어 보도까지 들어 올리자고 우긴다.

              Our hammers, our rams,                                 우리의 쇠망치와 충각(衝角)은

              Earless and eyeless,                                        귀가 없고 눈도 없고,


              Perfectly voiceless,                                         완벽한 벙어리인데,

              Widen the crannies,                                        갈라진 틈을 넓히고, 

              Shoulder through holes. We                             구멍을 밀치며 나아간다. 우리는


              Diet on water,                                                물과 그림자 부스러기로

              On crumbs of shadow,                                     식사를 하고,               

              Bland-mannered, asking                                  온화한 태도로,             


              Little or nothing.                                            거의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는다.

              So many of us!                                                이렇게 많은 우리!

              So many of us!                                                이렇게 많은 우리!


              We are shelves, we are                                     우리는 선반이고, 우리는

              Tables, we are meek,                                        탁자며, 우리는 유순하고

              We are edible,                                                 우리는 먹을 수 있는 것이다.


              Nudgers and shovers                                        자신도 모르는 사이   

              In spite of ourselves.                                        팔꿈치로 찌르고 밀치는 놈들이다.

              Our kind multiplies:                                         우리의 종족은 늘어간다


              We shall by morning                                         아침이면 우리는       

              Inherit the earth.                                              대지를 물려받을 것이다.

              Our foot's in the door.                                       우리의 발이 문 안에 들어섰다.


                                       1959년 11월 13일

                                       ― 원문 :  《거대한 조각상 The Colossus and Other Poems》(1960)

                                       ― 번역 : 박주영 譯, 『실비아 플라스 시 전집』, 마음산책, 2013


              *rams 충각(衝角): 군함 뱃머리에 달던 쇠로 된 돌기




 낭독과 함께 스미는 한밤의 버섯


 화자는 참 지난한 시간을 견딘 것 같다. 한 문장이 짧은 여러 행으로 나뉘고, 연 단위에서도 끊겨 무언가를 어렵게 말해내고 있다. 심지어 짧은 행에 쉼표가 있어 정말 신중하다. 그렇지만 행과 연 안에서 유사한 발음이 일렁이기 때문에 차분한 어조 속에서도 생동하는 힘이 느껴진다. 은밀한 반란을 준비하는 자의 리듬이다.


 몇몇 연에서는 버섯의 이미지가 입에 달라붙는다. 1연에서 입을 살짝 벌린 채로 부드럽게 넘어가는 유음[r, l ]-[i ] 모음의 결합을 반복하니, 살금살금 흰 버섯이 돋아나는 것 같다. 2연의 [oʊ 오ㅜ] 이중모음은 혀와 턱을 내리면서도 숨을 머금게 해서 정말로 발가락이자 코다. 지렁이처럼 흙을 헤집고 숨구멍을 얻는 모습이 떠오른다. "Acquire the air. 공기를 얻는다."에 이르면 놀랍게도 그 뜻대로 숨을 깊게 들이켜고 내쉰다. 4연과 5연의 [vɪŋ ] [dɪŋ ]을 발음하면 둥글지만 단호하게 무언가를 밀쳐내는 감각을 체험한다. 수족관 유리에 머리를 찧는 산오징어의 감각이랄까. "구멍을 밀치며 나아가"기 위해 내 몸에 힘을 싣는다, 나는


 어느새 버섯과 '이렇게도 많은 우리'가 된다. 

 억압하던 대상을 기어코 부정해내는 이미지는 전염성이 있다. 억압에 시달리던 이가 승리하기 위해서는 절실한 확신이 필요하고, 그 확신에 가득한 저항이 또 다른 우리를 이끈다. 'needles 뾰족한 나뭇잎( 바늘)' 'bedding 화단(침대)' 'meek 유순한', 'door ' 등의 계열체와 시대 배경을 고려하면 화자는 집에서 남성을 묵묵히 따라야 했던 가정주부겠지만, 그렇다고 1960년대 여성만 공감하며 연대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소외 받든, 차별 받든, 자신이 스스로 어려움으로 기어 들어가든, 인내의 시간을 보내며 자신만의 신념을 조금씩 키우는 모든 이에게 버섯의 이미지가 열려 있기 때문이다. 화자도 나도 '우리의 종족'의 한 종류다




  "대지를 물려받" 기 위해 이 글을 씁니다


 문득, 버섯이 고목과 부엽토를 삭이는 속성이 책을 읽으며 세상을 살고 있는 내 삶과 닮았다는 생각이 든다. 보라, 나는 이미 버섯이다. 양질 글을 삭이다("식사를 하고") 지쳐 시든다. 그러나 어쩔 수 없이 다음날 또 다른 버섯으로 태어난다. 간밤에 쌓인 이불과 먼지를 '부드러운 주먹'처럼 들어 올리며 일어난다. 


 나는 램프고, 책장이고, 읽을 수 있다. 더부룩한 머리카락을 털어내지 못한 채 의자에 앉아 다시 주름을 펼치고, 내가 겪었던 일과 책장에 꽂아두었던 이야기를 포자처럼 퍼뜨린다. 이렇게 남의 언어와 세상을 해석해 글로 써내는 것이, 아무도 모를 만큼 조금씩 지구를 점령하는 길의 일종이 아닐까. 


 피로한 어느 날, 버섯이 갓을 펴듯 기지개를 켜다 이런 생각이 들었다. 아틀라스처럼 지구의 무게로 눌리는 벌을 받고 있지만 매일 아틀라스의 힘으로 지구를 들어 올리며 싸우고 있다고. 어쩌다 세상에 태어난 주제니 세상에 맞게 살라는 운명에게 계속 "아뇨."라고 말할 수 있도록 더욱 나를 펼치고 퍼뜨리겠다. 지긋이 무게를 견디다 성취감을 느끼며 기지개를 켤 날이 언제일지는 모르겠지만. 

매거진의 이전글 계속 이렇게 살아도 괜찮은 걸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