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정은 Apr 07. 2020

언론사 2020 총선 특집 페이지, 당신의 선택은?

각사별 총선 특집 페이지 모니터링

4월 15일 총선을 앞두고 당과 후보자가 경쟁하기에 앞서 언론사들도 총선 특집 기획 페이지를 오픈합니다. 총선은 '빅 이벤트'입니다. 보도본부 차원에서 대응하며 총선 특집 기획 페이지를 별도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제가 소속한 곳은 일단 논외로 하고 각사별 총선 특집 페이지를 리뷰해보겠습니다.


※ 웹/모바일 총선 기획 페이지 리뷰입니다. 언론사들은 어떻게 선거 정보를 디지털 콘텐츠로 전달하는지 주목했습니다. 총선 보도나 영상 콘텐츠, 선거 당일 방송에 대한 것이 아닙니다.

※ 순서도 임의대로,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리뷰 포인트를 잡았습니다. 
※ SBS도 총선 특집 페이지에 힘을 쏟았습니다. 기회가 되면 (애)사심 담아 리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KBS  "내 삶을 바꾸는 정치 2020 총선"
- 링크 : https://news.kbs.co.kr/special/election2020/main.do#1

KBS 총선 특집 페이지 메인 화면 갈무리


- 카테고리 : 정치합시다, 따져봅시다, 투표합시다, 토론합시다, 참여합시다 

- 메인 화면  구성 : 헤드라인 - 2020 총선 여론조사 결과(인터랙티브) - 정치합시다 & 따져봅시다 - 여론조사 & 토론합시다 & 후보자 정보 & 총선 팩트체크 - 총선 레이스 TIME LINE - 선거뉴스 


투표용지를 접은 듯한 로고 표현이 눈에 띕니다. KBS 총선 특집 페이지의 핵심은 '정치합시다' 콘텐츠입니다. 선거를 앞두고 지난해 11월, '정치합시다'를 정규방송에 편성했고 유튜브 특화된 영상 콘텐츠를 공급하며 5개월 여 만에 구독자 11만을 달성했습니다. 유시민, 전원책 패널을 앞세워 본방송 콘텐츠 클리핑과 유튜브 전용 콘텐츠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는데 선거 특집 페이지에서도 꽤 큰 비중을 두어 다루고 있습니다. 국회 감시 K, 총선 팩트체크 K, 여심야심 등 기획 보도물도 '따져봅시다' 페이지에 모아 큐레이션 했습니다. 


KBS는 이번에 총선 여론조사 결과를 인터랙티브 폼으로 정리했는데 타 언론사와 비교해 다른 점은 1차>2차, 2차>3차 이렇게 회차별로 지지 정당 변화 추이를 정리했습니다. 전국조사, 패널조사로 나눠 전국조사에서는 지역구 투표에서 선택할 후보의 정당 변화 추이, 비례대표 투표에서 선택할 정당 추이, 지지정당 추이, 문재인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추이를 선 그래프, 막대그래프로 담았습니다. 

KBS 여론조사 페이지 - 전국조사

패널조사에서는 1차>2차, 2차>3차 회차별로 지역구 투표에서 선택할 후보의 정당 변화를 그래픽으로 표현했습니다. 다만 A당에서 B당으로 아주 약간의 지지 변화 흐름은 나타나는데 유의미한 차이로 느껴지지 않은 점과 약간의 변화가 있더라도 당시 어느 이슈가 쟁점이었는지 등 이유에 대한 짐작이 어려운 점은 아쉽습니다.

KBS 여론조사 페이지 - 패널조사 (각 정당을 클릭하면 전회차 대비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확인 가능)


KBS 데이터 저널리즘팀은 제21대 국회의원 후보자 조회 페이지를 따로 열었습니다. 그래픽 자체는 단순한 편인데 선거 특집 페이지에서 중선관위 페이지로 바로 연결하기 전 브릿지 역할을 하고, 각 동그라미를 클릭하면 이름, 소속당, 입후보횟수, 주요 경력, 재산, 체납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후보를 다시 한번 클릭하면 중선관위 후보자 프로필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상단의 검색툴을 쓰면 선거구별 후보자만 동그라미로 노출됩니다. (나름 글로 풀어서 설명했는데 백문이 불여일견, 아래 사진을 보시면 이해가 쉬울 겁니다.) 

- 링크 : http://dj.kbs.co.kr/resources/2020-03-31/

KBS 데이터 저널리즘팀 - 제21대 국회의원 후보자 조회 페이지 (각 후보자 동그라미를 클릭하면 간단 정보가 노출됨)

2. MBC "선택 2020"
- 링크 : https://imnews.imbc.com/issue/vote2020/main_pc.html

MBC 총선 특집 페이지 메인 화면 갈무리

- 카테고리 : 총선 페이지 전용 상단 카테고리 따로 사용하지 않음. 

- 메인 화면  구성 : 디데이 - 최신 뉴스 & 여론조사 - 투표 손금 이벤트 배너 - 선거 영상 - 화제의 선거구 - 후보자 - #우리 동네 유세 현장 - 역대 선거 아카이브 


형광 보라를 메인 색으로, 선거 D-DAY 초 단위까지 중앙에 노출했습니다. MBC는 이번에 '우리 동네 누가 앞서나?'를 내세웠는데요, '여론조사를 조사하다' 라는 취지로 MBC 기획취재팀의 디지털 콘텐츠입니다. 과학적 방법으로 여론조사 기관의 성향을 분석하고 여론 추이를 읽어내 현시점 예상 득표율까지 예측합니다. Jackman의 베이지안 상태 공간 모형을 적용해 여론조사 기관별 성향을 반영한 정당, 후보자별 지지율을 추정합니다. 어렵지만, MBC가 설명한 '방법론'에 따르면 특정 시점에서 지지율은 여론조사 기관의 특성과 과거의 추세를 반영한다는 분석 모델입니다. 다만 여론조사 자체의 정확도나 무응답 등 한계도 있다고 스스로 짚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방법론과 분석 페이지를 어떻게 기획했는지 궁금하기도 한데요, 마찬가지로 아예 별도 페이지를 열었습니다. 

- 링크 : http://poll-mbc.co.kr/

MBC 우리 동네 누가 앞서나 페이지

선거구를 선택하면 해당 지역 여론조사 결과를 취합해 상위 2인을 비교해 보여줍니다. 또 아래에는 해당 지역구 출마 후보자들의 간단 정보를 보여주는데요, 문제는 여론조사 자체를 진행하지 않은 지역구가 꽤 많다는 점(위 그림에서 보라/파랑/분홍 색외 다른 곳들은 모두 여론조사 결과 없음입니다.) 그리고 양 후보자 비교 값을 메인으로 올려 인포그래픽으로 표현했다는 점입니다. 쉽게 말해, 3자 경합 지역으로 알려진 대구 수성구을 결괏값을 보면 마치 홍준표 VS 이인선 후보자 간 팽팽한 50:50 접전으로 보입니다. 마치 둘이 합쳐 100인 것처럼 시각적 착각을 유도하는데, 메인에 노출되지 않은 이상식 후보도 30% 지지율로 사실상 3분의 1씩 표를 나누고 있습니다. 또 다른 3자 경합 지역인 동대문구을에서도 무소속 출마 민병두 후보는 3월 30일 23.4%, 4월 5일 15.9% 지지율을 얻었으나 거대 양당 후보자 중심의 경선인 것처럼 보이는 것은 아쉬운 대목입니다. 

30% 지지율의 이상식 후보도 오차 범위 안에서 메인 노출 기회를 잃었습니다...

이외에도 MBC는 화제의 선거구별 기사 모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 선거 후보자 프로필 검색을 메인 페이지에 넣었다는 점이 주목됩니다. KBS는 메인과 중선관위를 연결하는 브릿지 인터랙티브 페이지를 만들었지만, MBC는 메인에서 후보자 프로필 더보기를 클릭하면 바로 중선관위 페이지로 연결합니다. 

MBC 총선 특집 페이지 내 '후보자' - 프로필 더보기를 클릭하면 중선관위 페이지로 연결

3. JTBC "2020 우리의 선택 물음, 표를 던지다" 
- 링크 : http://news.jtbc.joins.com/hotissue/timeline_Issue.aspx?comp_id=NC10013537&mgubun=toprmv

JTBC 총선 특집 페이지 메인 화면 갈무리

- 카테고리 : 민심청원415, 민심택시, 선거 뉴스

- 메인 화면  구성 : 이슈 키워드별 큐레이션. 


따로 페이지 링크를 열지 않고 기존 이슈 페이지로 소화했습니다. 대신 민심청원415, 민심택시를 별도 꼭지로 잡았는데, 제보 로직(기본 정보 입력, 파일 첨부)을 활용해 쓴 것으로 보입니다. 이외 민심로그, 단편영화 등 선거 기획 콘텐츠가 있으나 이번 브런치에서는 다루지 않습니다. 


4. TV조선 "결정 2020" 

- 링크 : http://news.tvchosun.com/common/vote2020/index.html

TV조선 총선 특집 페이지 갈무리

- 카테고리 : 홈, 뉴스, 선거정보, 후보자정보, 투개표현황, 당선결과

- 메인 화면  구성 : 헤드라인&총선후보자정보 - 선거 일정 - 기사 큐레이션 


타사에 비해 아주 기본적인 선거 리터러시에 중점을 둔 페이지입니다. '선거 정보' 페이지에선 주요일정, 달라진 주요 선거법, 투표용지 안내 설명과 역대 선거 정보를 제공하고 일부 링크는 중선관위로 연결됩니다. 이 리터러시 부분은 사실 대부분의 언론사도 넣을지 뺄지 고민했을 텐데, 결국 TV조선이 유일하게 비중을 두어 배치한 것으로 보입니다. '후보자 정보'는 지역별, 정당별(비례) 후보자 정보를 검색하는 툴을 제공합니다. 지역별 후보자 정보가 직관적이라 좋은데 이름(한자), 정당, 나이, 직업 정도의 아주 적은 정보를 줍니다. 

TV조선 후보자 정보 페이지

이외에도 


 MBN "선택!2020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링크 : https://www.mbn.co.kr/election/home/

선거 관련 기사 큐레이션 중심으로 배너/상단 메뉴바를 통해 중선관위로 연결합니다.  


YTN 도 비슷합니다. 

- 링크 : https://www.ytn.co.kr/issue/election2020.php


채널A "진짜선택2020" 

- 링크 : http://www.ichannela.com/news/main/election2020.do

선거 관련 기사 큐레이션 중심으로 배너/상단 메뉴바를 통해 중선관위로 연결합니다. 타사에 없는 '우리동네 이슈맵' 보도가 있는데 지역별 이슈를 키워드로 정리하고 후보별 공약 안내 기사를 공급합니다. (동아일보와 서울대 한규섭 교수 팀(폴랩·pollab)이 2016년 4월부터 2020년 1월까지 권역별 주요 지역구 34개 관련 139개 언론의 보도 37만889건을 빅데이터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라고.)



SBS에서도 총선 특집 페이지 기획에 힘을 쏟았습니다. 이번 리뷰에서는 나름의 형평성을 위해 뺐는데, 조만간 기회가 되면 (애)사심 담긴 페이지 소개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SBS 총선 특집 페이지 바로 가기 :  https://news.sbs.co.kr/vote2020/main.do


작가의 이전글 요즘 애들 뉴스에 관심 없다고? "땡!"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