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두영 Sep 05. 2019

VVI

오늘 우루과이 저가항공 Amaszonas를 처음 이용해봤다.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에서 파라과이 아순시온을 들렸다가 볼리비아 산타 크루즈로 가는 여정이었다.


파라과이를 들려 비행기를 갈아타는 것이 아니고 한 비행기로 파라과이에 착륙했다가 30분 만에 내릴 사람 내리고 공항직원들이 간단한 청소를 재빠르게 한 후 추가 승객을 태우고 다시 이륙하는 일정이었다.

파라과이 아순시온 공항에서 추가 승객을 기다리며 다시 비행기에 주유 중인 모습


30분 동안 파라과이 공항 활주로 위 비행기 안에서 머문다면 나는 파라과이에 왔다고 할 수 있을까? 꼭 이민국 수속을 통과해야 공식적으로 파라과이에 왔다고 할 수 있는 것인가?


갈아타는 일정이 많은 공항은 한 비행기를 이용해서 비행 일정을 짜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해봤다. 예를 들어 마이애미나 엘에이 공항에 착륙한 후 비행기를 바꾸지 않고 30분 후에 바로 멕시코를 향해 이륙한다고 생각해보자.


그럼 저 악명 높은 미국 이민국에서 오른쪽 손가락 네 개, 왼손 엄지 하나, 안경 벗어, 카메라 응시해, 모자 벗어, 허리띠 벗어, 신발 벗어, 노트북 빼, 핸드폰 빼, 바지 주머니에 아무것도 없는지 확인해 두 손 들어 정면 응시해 이러면서 한두 시간씩 허비할 필요가 없지 않을까?


그리고 무엇보다 한 비행기로 갈 경우 앞선 비행기가 연착돼 갈아탈 비행기를 놓칠 우려도 전혀 없다. 한번 탄 비행기를 내릴 필요가 없다는 것이 얼마나 좋은가.

오늘 거쳐간 우루과이 공항은 지금까지 거쳐간 남미 국가들 중 유일하게 검색대 통과할 때 노트북 핸드폰 등을 따로 뺄 필요가 없다고 했다. 그런데 허리띠는 벗으라고 했다. 그러면서 왜 신발은 신고 있어도 된다고 하는 것인가. 도대체 전 세계 공항의 검색대의 룰은 누가 만드는 것인가.

여기는 볼리비아 산타 크루즈.

매거진의 이전글 SCL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