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일상공유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베니 마쿤 Aug 31. 2021

D.P. 개의 날 리뷰[넷플릭스 리뷰]

넷플릭스 리뷰


넷플릭스 화제의 기대작인 D.P. 개의 날이 오픈했다.


헌병 중에서도 탈영병을 잡는 보직인 D.P.가 있다. 정식 명칭은 Deserter Pursuit(탈영병 추적), 즉 '군무이탈 체포조'이다. 원작 웹툰을 보지 못했기 때문에 드라마를 보기 전에는 단순히  탈영병을 잡으러 다니는 헌병에 대한 이야기라고만 생각했다. 그런데 드라마는 D.P.가 잡으러 다니는 탈영병들의 탈영의 이유에 대해서 상황적, 심리적 묘사를 보여주며 탈영병들이 왜 탈영을 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해서 말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군대 내 부조리에 대한 고발에 대한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다.


탈영병 중에는 양아치 삶을 살아온 이가 휴가 미복귀로 인해 탈영병 신분이 된 에피소드도 담고 있고, 지키고자 하는 것을 지키기 위해서 탈영을 각오한 이의 대한 내용도 있다(스포가 될 것 같아서 이 정도로만). 하지만 상당수의 탈영병은 군대 내 가혹행위로 인해서 탈영을 결심하게 되었음을 말한다. 그래서 드라마는 단순히 D.P.의 추격씬에 에너지를 쏟지 않는다. 탈영병들의 가혹한 군대 내 삶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군대를 갔다 오지 않은 이들은 요즘 군대는 안 저렇겠지? 하고 생각하겠지만 요즘 군대도 똑같다. 과거에 비해서 군대 많이 좋아졌다는 군 전역자들의 경험과 자부심(?)이 현재 군생활하는 이들에게 상실감을 주겠지만, 전역자들은 이 드라마를 보면서 공감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공감은 가혹행위 가해자였거나, 피해자였거나, 방관자로서 자신의 군생활을 떠올리게 할 것이다. 사실 여기서 방관자는 가해자 그룹에 속해 있을 수도 있고, 피해자 그룹에 속해있을 수도 있다. 그만큼 방관자는 대다수라는 것이다.


드라마는 마지막 회차에 가서 그 지점을 고발한다. 좋은 사람, 괜찮은 사람이 가혹행위를 당해서 탈영을 선택하고 죽음을 선택할 만큼 괴로워한 그때, 당신들은 왜 그 가혹행위를 방관하고 있었느냐에 대한 지적이다. 그리고 탈영병을 잡으러 간 D.P.가 그를 설득하기 위해서 우리가 (군대를) 더 좋게 변화시키자는 말에 탈영병은 6.25 때 사용한 군대 수통도 바뀌지 않는 이 군대에서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느냐고 냉소적인 답을 하는 부분에서 드라마는 여전히 변화되지 않는 군대 내 부조리에 대한 고발을 적나라하게 이어간다.


내가 느끼기로는 드라마에서 군대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이상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나도 군대가 바뀔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군을 경험한 사람은 모두 같은 생각이지 않을까? 그래서 드라마에서는 군대가 바뀌지는 않겠지만 적어도 방관자가 되지 말고, 가혹행위 피해자들에게 관심을 갖고 그들에게 힘을 주고 연대해달라는 호소를 담고 있다고 생각한다.


드라마의 절정에서 가혹행위 가해자는 그를 찾아온 피해자의 왜 그랬냐는 질문에, 그래도 되는 줄 알았다고 한다. 그래, 그게 정답이다. 대부분의 가해자들이 비슷하게 생각할 것이다. 그래도 되는 줄 알았다고. 그게 군대 내 가혹행위의 실체이다. 자신보다 낮은 계급에게 그래도 되는 줄 아는, 자신도 선임에게 그렇게 대우받은, 영원한 악의 대물림. 그게 군대다.



군대에선 군부적응자들을 부르는 멸칭이 있다.

"폐급"



A급, B급... 그리고 폐급. 폐기물 쓰레기 급이라는 말이다. 또 다른 말로는 관심병사, 고문관이 군부적응자들을 부르는 멸칭이다. 사실, 공익근무요원으로 대체복무를 하거나 군 면제를 받을만한 사유가 있지 않는 이상 대부분의 남성이 징병제의 의해 군대를 경험한다. 그중에는 신체 건강하고 평균의 의사소통 능력, 업무 능력, 사회성이 있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렇지 않은 이들에게도 군대는 의무이다. 그러다 보니 이들에게는 폐급이란 칭호와 함께 고문관 새끼, 부적응자 새끼 등의 욕설과 무시, 폭행과 괴롭힘으로 약 2년 간의 군생활 동안 함께 생활하는 이들로부터 괴롭힘을 당하는 생활을 하게 된다. 물론 선임의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도 같은 처우를 받는 경우도 있다. 그런 이들도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괴롭힘에 의해서 주눅 들고 미쳐가는 경우가 발생한다.


나는 대학원에서 공부를 하고, 사회생활을 하다가 스물여덟의 11월이라는 늦은 나이에 군 입대를 했다. 내가 근무하던 곳은 수방사 예하 사단으로 수도권에 위치해 있었고, 내 보직은 군교회에서 군종참모(군종 목사)를 보위하는 군종 행정병. 소위 말하는 꿀 빠는 보직이었다. 사회에서의 직업은 여러 가지가 있었지만 가장 대표적인 직업으로는 지금도 동일한 교회 전도사. 사람을 케어하는 직업을 갖고 있었고 또 성격 역시 그러하다 보니, 군대 내 부조리와 가혹행위는 납득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럼에도 부조리와 가혹행위를 당하는 이들을 적극적으로 도울 수 있는 처지는 아니었다. 군대는 계급이 왕이니까. 나이도 직업도 없는 계급 중심의 상명하복의 사회니까. 괴롭힘 당하는 이들을 따로 위로해주거나 우리는 그러지 말자라고 말하는 게 전부였다. 그리고 가혹행위 가해자들을 몰래 고발하는 일 정도...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내가 방관자였다는 사실은 바뀌지 않는다. 연대해서 그러한 부조리를 몰아내고 가혹행위를 근절하지는 못했으니까. 그래서 이 드라마는 나의 마음에도 큰 찔림을 준다.


사실 내가 군 생활의 막바지에 가서 느꼈던 것은 군대 내 가혹행위 가해자들은 악의 되물림으로 그렇게 만들어졌다는 것은 개소리라는 것이었다. 나는 그들이 원래 그런 종자였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지금도 그렇게 생각한다. 악의 되물림이 동기가 되고 계기가 되었을 수는 있지만 폐쇄적인 군대 내에서 그들이 가지고 있던 내면의 악한 모습이 적나라하게 드러났을 뿐...


가혹행위 가해자들도 사회의 수많은 시선과 관계 속에서는 정상인처럼 생활하고 살아간다. 그래서 난 군대를 경험하면서 사람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 사회에서 정상인 코스프레를 하는 이들의 내면의 드러나지 않은 악함이 얼마나 가식적이고 역겨운지를 경험하였기에, 사람을 믿는 것이란 어리석은 일이라는 게 결론이었다. 그리고 자신이 군대 내에서 얼마나 악질이었고,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싫어했었는지 자랑하는 이들을 보면 구역질이 나온다. 일말의 반성도 못하는 인간성이라니. 그러한 이들이 폐쇄적인 군 사회에서 날개를 달고 활개를 친다.


드라마의 절정에 다다르기 전, 가혹행위 가해자가 전역을 한다. 그리고 그는 후임들에게 말한다.


- 빡센 고참 만나서 욕봤다.
- 형 때문에 고생 많았어.
- 좋은 추억도 좆같은 기억도 다 털자.



그렇다. 군대 내 가혹행위자들의 심리는 군대라서 자신은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나도 그렇게 당했고, 너희들도 남아서 그렇게 할 거지?, 이제 나는 그 사회에서 이탈한다. 나는 죄가 없다, 죄는 군대에게 있다,라고 셀프 면제권을 주고 군대라는 무대 밖으로 사라진다. 그리고 이들에 의해서 군대 내에서 또 누군가는 탈영을 하고, 자살을 하고, 평생의 트라우마를 갖고 살아가게 될 것이다. 드라마는 그들의 실체를 고발하고, 피해자들을 방관하지 말라고 계속해서 외친다.



D.P.는 탈영병을 추격하지만,
넷플릭스 드라마 <D.P. 개의 날>은
그러한 군대 내 가혹행위자를 추적해 고발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마음이란 게 그런 거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