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J YP May 14. 2021

영화 자산어보 이야기

숏리뷰, 스포일러 없습니다

영화 포스터


영화 화법의 발전이란 그럴듯한 이야기의 온전한 ‘재연’에 있는 걸까? 더 많이, 더 디테일하게, 더 화려하게. 그렇게만 본다면 자산어보가 선택한 흑백 비주얼은 일정 부분 퇴행적인 선택이라고 믿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사용된 기법이 옛 것이라 해도 중요한 것은 그것이 완성된 영화 안에서 가지는 역할이다. 흑백으로 색채를 억누른 비주얼은 영화 전반에 엄숙한 무드를 덧씌운다. 마치 필터처럼 여겨질 수 있는 선택은 그러나 결과적으로 감독이 의도했을 이야기의 재현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방언 화자는 쉽게 타자화된다. 그것이 실제 있어야 할 이야기의 재연이라 하더라도 방언으로서 입 밖에 나오는 순간 앞서 느끼는 지역색이 관객의 온전한 인식을 방해한다. 그것은 설사 방언의 화자일 지라도 예외가 될 수 없다. 자주 등장하는, 영화 속에서 드문드문 나오는 사투리를 갖다가 지엽적인 말투 만으로 저게 진까리다 혹은 이기 진까리다 하는 논쟁(?)도 결국 이 프레임에서 벗어나지는 못한다.


자산어보는 관객이 방언에 대해 가지는 편견 사이에 흑백이라는 필터를 끼워 넣는다. 비주얼이 주는 엄숙한 무게감이 가벼운 편견을 멋대로 날아가지 못하게끔 묶어 놓는다. 그러한 장치를 통해 구현된 영화 속 세계는 (어쩌면 배경을 고려했을 때 당연히 이루어졌어야 할) 일상적인 방언의 영역이다. 여기에 끊임없이 흑백을 상기시키는 소재의 힘과 드넓은 자연으로 스크린을 채우는 구도를 통해 흑산도는 영화 속에서 자연스레 있어야 할 주인공의 위치로 우뚝 선다.


섣불리 이야기하기 쉽지 않지만 이준익 감독은 이미 출세작인 황산벌에서 주류 한국 영화 역사상 처음으로 지역의 언어로 지역의 이야기를 풀어낸다는 접근을 시도했었다. 만약에 이 영화가 그때의 경험을 거친 고민의 산물이라면 한국 영화 속에서 더 많은 말들이 응당 있어야 할 자리를 찾아가는데 실마리를 제공하는 (방언화자로서, 그리고 감히 이야기하자면 한국 영화계에도) 윽수로 고마운 작품으로 남을 것이다.



<다섯글자 느낌>

보는게고통 / 허접합니다 / 기본만한다 / 무난하네요 / 양호합니다 / 아주좋아요 / 내인생영화

작가의 이전글 영화 스파이의아내 이야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