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변백합 Dec 24. 2019

에른스트 키르히너

작품과 관객의 호흡에 대해

누구에게나 기억에 남는 작품이 있다. 내게는 키르히너의 작품이 그러하다. 처음 그의 작품을 보았을 때가 떠오른다. 나는 일주일에 한 번씩은 꼭 가는 모마(Museum of Modern Art)에서 작품들을 감상하고 있었다. 뉴욕 미술관들을 무료로 갈 수 있는 아트스쿨 학생 신분 덕이었다. 고흐, 샤갈, 고갱 등 내가 좋아하는 인상파 작가들의 작품들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나는 키르히너를 보았다.


Ernst Ludwig Kirchner, Street, Dresden, 1919


 키르히너는 내가 따라 그리고 싶었던 최초의 화가였다. 키르히너의 작품을 보았을 때, 진부하다고 생각했던 문장이 내 마음속에 피어올랐다. 


이 그림을 보기 위해 내가 뉴욕에 왔나 보다.


 이유는 알 수 없었다. 그냥 좋았다. 때로 사람이든 사물이든 우리는 이유 없이 대상이 좋아지는 경험을 한다. 내게는 <거리, 드레스덴>이 그러했다. 무어라 설명해야 좋을지 알 수 없었다. 하지만 닮고 싶었다.


 나는 무엇을 닮고 싶었을까? 그의 그림을? 그의 붓질을? 그의 색감과 구도, 구성, 예술의 대상을?

 나는 이 그림이 왜 좋았던 걸까. 그림을 보는 순간, 그림이 나를 집어삼킨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한참을 그 앞에 서 있었다. 사람들이 내 앞뒤로 지나쳐 갔다. 모마에 걸린 다른 수많은 작품들은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그날 하루는 온전히 이 그림에 집중했다.


  하루에 한 작품에 집중하는 것은 처음이었다.  항상 모마에 가면 다양한 작품들을 차례로 감상하고는 했다. 여러 작품들을 눈과 마음에 담으며 볼 때면 영감을 받았다. 뛰어난 구성과 색채, 기법을 보는 것은 재미있었으니까. 그랬던 내가, 온전히 집중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작품을 찾은 건 행운이었다.


 키르히너는 왜 거리를 분홍색으로 칠했을까? 아트스쿨 학생이던 당시의 나는 내 그림의 형식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있었다. 실제적으로 그린 작품이 잘 그린 것인지, 나만의 스타일로 완성한 작품이 더 좋은지를 생각했다. 나는 색감을 사실적으로 그려내기보다 내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했는데, 키르히너의 작품은 그런 고민을 하던 내게 용기를 주었다. 당시 내 질문에 대한 답을 그의 작품에서 찾은 것 같아, 위로받은 기분이 들었다.


 <거리, 드레스덴>을 보면 어딘가 불안해 보인다. 인물들의 얼굴도 평범하지 않은 색으로 칠해졌다. 단순히 색깔 때문에 이 작품이 불편해 보이는 걸까? 안 어울리는 색들은 서로 충돌하고, 인물들의 표정은 밝지 않다. 키르히너는 이렇게 불안한 <감정>을 표현했다. 작품을 보면 우리는 불편함은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인물들의 표정은 왜 어두 워보이는 걸까? 서로 다른 곳을 향한 인물들의 시선은 만나지 않는다. 우리는 키르히너가 선택한 색감과 구도, 인물의 형태로 구성된 감정을 우리 내면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나는 이것이 작품과 관객의 호흡이라고 생각한다.

 

 시간과 공간을 넘어선 작품과 관객의 호흡이 예술의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거리, 드레스덴>을 보았을 때 느낀 불안함과 낯섬은 내 삶을 흐르던 감정과 맞닿아 있었다. 당시 나는 뉴욕이라는 낯선 땅에 정착한 이방인이었고, 외로움과 불안함을 종종 느끼곤 했다. 혼자 살았기에 밥을 혼자 먹고, 뭐든지 혼자 해결하는 것이 익숙했던 나에게, 이 그림에서 표현되는 불안함은 내게 오히려 정답게 다가왔다. 내가 혼자가 아니라는 것, 마치 자신도 불안하지만 이렇게 아름답게 빛날 수 있다고 말해주는 것 같아 이상하게 고마웠다. 나는 이 작품과 같은 호흡을 하고 있었던 걸까.


 그 후로 나는 이 작품만을 보기 위해 모마에 가곤 했다. 내가 미술관에서 최초로 스케치한 작품이기도 했다. 내가 쭈그리고 앉아 이 작품을 스케치하면, 몇몇의 관객들은 내게 다가와 스케치와 작품을 번갈아보았다. 내게 말도 걸고, 웃으며 칭찬도 해주었다. 내가 스케치한 모습이 다른 관객들과 소통하는 또 다른 연결고리가 되어준 것이다. 이렇게 하나의 예술은 다른 창작의 모습으로 발현되고, 상호교류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만든다. 나는 이 작품에 영감을 받아 더 이상 남들과 다른 나만의 고유한 색채를 의심하지 않고 그림을 창작할 수 있었다. 색채를 중요시하던 내게, 키르히너의 작품들은 다양한 실험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때때로 나는 궁금했다. 이 색채를 음악이나 글로 표현해내면 어떤 예술작품이 나올지. 서로 교류하는 예술이 어디까지 나아갈 수 있을지를.


  우리는 살면서 질문을 던지는 예술을 만난다. 그 예술은 회화작품이 될 수도 있고, 영화나 음악, 설치미술이 될 수도 있다. 어쩌면 누군가 건네는 행동 하나가 물결처럼 밀려와 하나의 예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예술을 만나면, 우리는 스스로에게 질문하게 된다. 왜 이 예술이 좋은지. 이 예술을 통해 우리의 무엇이 변하였는지를. 

 내게 키르히너의 작품은 많은 궁금증을 남겼다. 그 궁금증 중 몇은 찾아냈지만, 아직 해답을 찾아야 하는 질문들이 남아있다. 어떠한 방향으로든 내게 변화를 주었다는 점에서, 나는 <거리, 베를린>을 사랑하게 되었다. 앞으로 이런 작품을 또 만나게 되기를 기대하면서, 키르히너의 작품에게 받은 영감으로 새로운 예술을 창조해낸다. 내가 창조한 예술이 또다른 예술에 영감을 불어넣을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