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혜 Apr 12. 2022

성공적인 심층 인터뷰를 위한 A-Z 1편

1등 뷰티앱, 화해 UX 리서처 우승준 님의 UX 리서치 강연을 토대로

나는 현재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연합하여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아리 '디프만'에서 11기로 활동하고 있다. 2주 차 동아리 정규 세션 시간에 화해 UX 리서처 우승준 님을 연사로 초청하여 UX 리서치 강연을 진행하였다. 강연에서는 심층 인터뷰의 준비부터 계획과 과정까지 전부 알아볼 수 있었다. (중요한 팁들도!) 이에 대해 정리하고 되짚어보고자 한다. (1)심층 인터뷰의 구체적인 방법론을 알고 싶은 분들, (2)성공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인사이트를 얻고 싶은 분들이 참고하면 좋을 글이 되었으면 좋겠다.


본 글은 1편과 2편으로 나누어 진행할 예정이다.



Index


1편 - 인터뷰 준비

1. 누구를 조사할까?

2. 어디서 모집할까?

3. 모집 안내문을 작성해보자

4. 리서치 대상을 선별하자 : 스크리닝 설문

5. 가설을 수립하자


2편 - 인터뷰 질문, 과정

6. 심층 인터뷰의 장점과 단점

7. 심층 인터뷰의 3 Step

8. 심층 인터뷰 Step 1

9. 심층 인터뷰 Step 2

10. 심층 인터뷰 Step 3

11. 성공적인 심층 인터뷰를 위한 TIP




1. 누구를 조사할까?


해결하고 싶은 문제가 있다면 '누가' 그 문제를 겪고 있을지 조사가 필요하다.

해결하고 싶은 문제를 정의하지 못한 상태에서 대상자가 먼저 정해졌다면, 그 사람들은 어떤 문제를 겪고 있을지 조사가 필요하다. 어떤 문제를 가진 누구를 조사할지 정해졌다면 그를 중심으로 퍼소나를 잡는다. 

서비스 초창기에는 가상으로 잡고 시작한 후, 이후에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퍼소나를 잡아간다.




2. 어디서 모집할까?

누구를 조사할지 정해졌다면 어디서 대상자를 리크루팅해야 하는지 생각해보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대상자가 많을 것 같은 곳'에서 모집하는 게 효율적이고 빠르다.

원하는 사람이 어디에 분포해 있는지를 먼저 고민해보자. 네이버 카페에서 대상자를 섭외하는 것도 좋다. 사용자가 많고 원하는 키워드로 검색 후 멤버 주요 연령대, 성별, 주제 등으로 필터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대상자로 좁혀가기 쉽다. 

예시로 반려동물 관련 플랫폼을 기획하고 있다면 반려동물이 주제인 카페에서 대상자를 모집할 수 있다.

여성 Z세대를 타겟으로 한 화장품 관련 서비스를 기획하고 있다면 네이버 카페 이외에도 대상자가 많이 분포한 인스티즈와 같은 커뮤니티에서 대상자를 모집할 수 있을 것이다.




3. 모집 안내문을 작성해보자


개발 이전의 서비스라면, 모집 주체자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므로 명확한 안내문이 더욱 중요하다. 

우리가 어떤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는 누군지, 혹은 어떤 맥락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누군지가 먼저 소개되어야 한다. 그리고 인터뷰 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어떤 사람들을 찾고 있는지 명시해야 한다. 스스로 대상자에 부합하는지 필터링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아래 예시를 참고해보자.




4. 리서치 대상을 선별하자 : 스크리닝 설문


스크리닝 설문은 말 그대로 선별 질문이다. 우리가 사전에 정의해놓은 리서치 대상자가 맞는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는 질문을 만들어 서베이에서 스크리닝 하는 것이다. 스크리닝 설문을 만들 때 주의할 점은 거짓된 답변을 방지하기 위해 참여 조건을 눈치채기 어렵게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어떻게 어렵게 구성하면 좋을까?


"예", "아니오"로만 구성된 선택지는 피하자

응답자는 긍정적이거나 분명히 설문조사를 완료할 수 있는 응답을 선택할 가능성이 더 크다. 다중 응답 선택이 있는 질문을 만들 경우 응답자가 과정 상 앞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생각하는 항목을 선택하기보다 정직하게 응답할 것이다.


스크리닝 설문 사용의 이점

스크리닝 설문은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적절하게 설계된 스크리닝 설문은 기준에 맞지 않는 응답자를 설문 조사에서 조기에 제외하여 전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없는 데이터의 양을 제한하여 전반적인 리서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5. 가설을 수립하자

가설을 수립했을 때 좀 더 명확히 인터뷰의 방향성을 잡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엇을 질문할지 기준을 세울 수 있고 해결하고자 하는 What에 대한 Why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이후 2편에서 가설이 어떻게 심층 인터뷰에 쓰이는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작가의 이전글 사용자의 주의를 끌기까지 거치는 과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