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도시 탐색자 May 23. 2021

로컬 크리에이터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1

1.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의 기본방향


자발적인 상상력, 열정, 창조성 등을 지닌 로컬 크리에이터를 육성하고 이들의 활동을 통해 소멸위기에 처한 지방도시뿐만 아니라 수도권의 쇠퇴가 진행되고 있는 지역들을 재생시키기 위한 발전방안은 창조산업(Creative Industry), 창조경제(Creative Economy), 창조도시(Creative City)의 맥락에서 수립되어야 한다. 


창조산업(Creative Industry): 영국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창조산업을 신경제의 핵심 요소로 강조하고 이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오고 있다. 영국의 문화미디어 스포츠부(The Culture, Media and Sport Select Committee, now The Digital, Culture, Media and Sport Select Committee, 1998)에서는 창조산업을 기존 문화산업(Cultural Industry)과 차별화하여 '개인의 창의성, 기술 및 재능 등을 활용, 지적 재산권을 설정하고 이를 소득과 고용 창출의 원천으로 하는 산업'으로 정의하였다. 


창조경제(Creative Economy): 유엔(Nnited Nation)의 UNCTAD(The United Nations Centre on Transnational Corporations, 2006)는 창조경제를 '경제성장과 발전 잠재력을 지닌 창의적 자산을 기반으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경제'로 정의하였다. 창조경제를 통해 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 무역확대 등의 경제적 목표와 함께 사회통합, 문화다양성, 인적자원 개발 등의 사회문화적 목표 달성도 동시에 가능하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창조산업을 창의성과 지적 자산을 활용하여 유형 또는 무형의 서비스를 생산하는 모든 경제활동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보고 무형의 지식, 예술 서비스 외에도 디자인, 광고, 게임 및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 콘텐츠도 포함시켰다.  


창조도시(Creative City): 찰스 랜드리(Charles Landry)는 창조도시를 '독자적인 예술문화를 육성하고, 지속적, 내생적인 발전을 통해 새로운 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도시, 인간이 자유롭게 창조적 활동을 함으로써 문화와 산업의 창조성이 풍부하며 혁신적이고 유연한 도시 경제 시스템을 갖춘 도시'로 정의하였다. 창조도시는 탈산업화 시대에 쇠퇴의 길을 걷고 있는 지역의 자원을 긍정적인 시각으로 새롭게 해석하고 복원하려는 노력에서 시작되었다. 


로컬 크리에이터의 활동이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지역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이 지닌 다양한 형태의 창조성이 뿌리내리고 번성할 수 있는 산업생태계를 지역에 조성시켜야 한다. 공공에서 로컬 크리에이터들이 지역에서 활동할 수 있는 산업생태계의 기본 틀을 제시하고 민간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지역사회 전반에 걸쳐 로컬 크리에이터들이 성장할 수 있는 창조경제를 지향하는 '선순환 모형'을 만들어야 한다. 


 로컬 크리에터 산업생태계는 로컬 크리에이터, 로컬 크리에이터 지원기관, 투자자가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하며, 로컬 크리에이터의 비즈니스가 지속적으로 활성화되는 환경을 의미한다. 


2. 로컬 크리에이터 단계별 지원전략


로컬 크리에이터를 발굴하고 육성하여 지역을 대표하는 글로벌한 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성장 단계별 지원방안이 요구된다.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지원전략>


2-1. 일반지원 단계(1단계): 

다양한 로컬 크리에이터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산함으로써 자신들을 표현하고 타인에 의해 인정받을 수 있는 창업환경을 조성한다. 


다양성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고 포용하는 지역문화 조성: 로컬 크리에이터가 그들이 지닌 상상력과 창의력을 자유롭게 발휘할 수 있는 포용력 있는 지역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 특히, 지방 중소도시에서 활동하는 로컬 크리에이터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지역주민들이 보여주는 타지 유입인구에 대한 배타성, 혹은 대도시에서 활동하던 지역 출신이 다시 돌아왔을 때 갖는 선입견(실패자 혹은 낙오자로 보는 경향이 높음)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배타적인 지역문화는 로컬 크리에이터들이 지역에 뿌리내리지 못하게 하는 가장 큰 원인이 된다. 


상호의존적인 협동의 네트워크: 로컬 크리에이터가 지닌 창의성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상호작용이 요구된다. 이들의 활동이 산업으로 제대로 작동하려면 상호의존적인 협동의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로컬 크리에이터는 단독으로 자급자족할 수 없으며, 다른 로컬 크리에이터들과 관계를 형성하고 소비자, 공급업체, 금융기관이나 규제기관 등 산업생태계 내의 다른 여러 경제주체들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자원에 의존해서 발전해 나가야 한다. 


인큐베이팅: 로컬 크리에이터가 로컬이 지닌 가치를 새롭게 해석하는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산출하여 시장에서 상품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시와 커뮤니티 연구소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주관으로 실시한 '2020년 지역기반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에 신청한 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지원자의 48% 정도가 대기업과 중소기업에서의 직장경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53.5%가 5년 미만의 경력을 갖고 있으며, 2년 미만인 경우도 3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쟁력 있는 로컬 크리에이터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1:1 멘토링과 코칭이 요구된다. 로컬 크리에이터와의 심층 인터뷰에서 성장을 하기 위해서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 양질의 인큐베이팅으로 나타났다. 멘토링과 코칭을 통해서 로컬 크리에이터는 자신에게 적합한 비즈니스 전략 맵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로컬 크리에이터의 비즈니스 전략 맵>

                                                    자료: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2-2. 로컬 크리에이터 산업생태계 조성(2단계):

로컬 크리에이터들이 산업적으로 생존 가능할 수 있는 기본적인 수익기반을 다지면서 새로운 수익모델이 창출되는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한다. 로컬 크리에이터의 창조산업 환경 내의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생태계의 유기체들처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 서로 상호작용하는 시스템 또는 경제공동체를 조성해주어야 한다. 


지역별 혁신거점/혁신사업 연결(클러스터화): 다양한 지역과 산업영역에 걸쳐있는 로컬 크리에이터들을 연결시켜 클러스터 화함으로써 시장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혁신을 이루도록 협동적이면서도 경쟁적으로 네트 워킹하도록 하여 공동의 가치를 창출하도록 한다. 


기회 환경 조성: 기회 환경이란 충족되지 않은 소비자의 요구, 개발되는 과정에 있거나 개발되었으나 이용되지 않는 기술, 잠재적인 규제의 철폐, 엑셀러레이터를 포함한 뛰어난 투자자들, 그리고 로컬과 로컬 크리에이터가 갖고 있는 잠재적인 자원과 같은 사업 기회의 가능성을 갖고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회 환경에서 로컬 크리에이터들은  기술혁신을 통한 역량강화, 새로운 제품 개발, 소비자와 시장의 만족도를 높이고 벤처기업으로 성장역량을 발전시킬 수 있다. 


자본시장과의 연결고리 형성: 도시와 커뮤니티 연구소에서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실시한 로컬 크리에이터 발굴 육성사업 지원사업에 지원한 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지원자의 80% 정도가 창업 자본금이 5,000만 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창업 자본금이 1,000만 원 미만인 경우가 지원자의 38%, 1,000만 원-5,000만 원 미만인 경우가 42%). 또한 정부지원금을 창업  자본금으로 활용한 경우가 38%로 1인 창조기업 창업자본의 2%를 차지하는 정부지원금과 비교해서 정부지원금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으며, 사업 경영상의 가장 큰 어려움은 운영자금 부족으로 나타났다. 로컬 크리에이터들이 정부의 지원금에만 의존하지 않고 성장할 수 있도록 성장단계별로 투자를 받을 수 있는 자본시장과 연결고리를 형성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선순환 구조 형성: 로컬 크리에이터들이 활동하고 성장할 수 있는 산업생태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여 핵심역량을  키우고 산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생태계 자체의 리더십이나 지원, 제휴 공동체 발전 활동 등에 재투자되도록 해야 한다. 특 제휴 공동체 간의 이중 고리를 형성하여 투자와 수익의 선순환으로 통합되어야 한다. 


<산업생태계의 혁신 궤도와 이중 고리>

                                                    자료: 산업연구원(2011)


2-3. 로컬 크리에이터 산업 활성화를 통한 기업화(3단계):

지역을 기반으로 한 로컬 크리에이터가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창의적인 콘텐츠를 개발해야 하며, 이를 상품화할 수 있는 자본(capital)의 확보 여부가 경쟁요소가 된다. 따라서 로컬 크리에이터가 초기 창업단계를 지나 기업화될 수 있는 단계로 도약이 요구되는 시기로 민간의 투자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로컬 크리에이터의 사업규모가 커지게 되면 창의적인 콘텐츠와 자본의 확보 이외에도 이를 상품화하고 시장에 판매할 수 있는 능력인 마케팅과 로컬 크리에이터의 브랜드에 대한 가치 전달 및 소비자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브랜딩이 중요하다. 


벤치마킹: 성공적인 기업으로 성장한 다른 로컬 크리에이터를 연구하고 뛰어난 성과를 가능하게 한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프로세스를 자신의 비즈니스 운영방식과 비교함으로써 내부의 개선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양질의 엑셀러레이터를 선발하여 로컬 크리에이터와 1:1 매칭을 통해 실전교육과 멘토링, 경영 프로그램 등을 통해 이들의 성장을 돕도록 해야 한다. 


공급자 중심의 마케팅과 브랜딩: 로컬 크리에이터의 사업은 벤처기업이 활동하는 시장과 마찬가지로 수요자 중심의 마케팅(demand-side marketing) 보다는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를 소비자에게 알리는 공급자 중심의 마케팅(supply-side marketing)과 브랜딩 전략이 필요하다. 로컬 크리에이터 사업의 특성사 시장과 고객이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에 있기 때문에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경험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로컬 크리에이터 사업에 대한 마케팅과 브랜딩 조사는 주로 질적인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2-4. 로컬 크리에이터 기업을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4단계):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으로 성장한 로컬 크리에이터가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역량을 향상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하며, 공공은 로컬 크리에이터의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오픈 이노베이션: 기업으로 성장한 로컬 크리에이터를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서 관련 산업 및 전문기관과의 경계를 허물고 협업 및 연계를 하도록 한다. 로컬 크리에이터가 갖고 있는 자원을 외부에 공개 및 공유를 함으로써 혁신을 위해 필요로 하는 기술과 아이디어를 기업 외부의 대학, 연구소 혹은 다른 기업에서 끌어오거나 대기업과의 인수합병 혹은 협업을 통해 최고의 결과물을 만들어 내도록 한다. 


수출시장 판로 확충:  공공부문에서 다양한 지원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하여 수출시장 판로 확충을 지원해야 한다. 또한 해외시장 및 관련 제품과 다양한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글은 도시와 커뮤니티 연구소에서 2020년 중소기업 벤처부와 창업진흥원에서 의뢰를 받아 진행한 연구용역과제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 현황 분석 및 전략 수립' 보고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로컬 크리에이터 vs 1인 창조기업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