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기천협회 윤범사 Feb 06. 2022

천강권 연구1

돌제비수

기천의 천강권 앞절에서도 특히 돌제비수는 기천에서 힘을 내는 원리이자 선행으로는 용틀임, 후속으로는 반장과 타권(잡아채기) 등 다양한 기법으로 분화되는 시발점으로서의 의미가 있는 수행법이다. 본편에서는 기천의 가르침을 실증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日野晃의 영상을 같이 소개하고자 한다.


□ 흉골조작

돌제비수에서 운용되는 흉골과 견갑골의 움직임과 거의 흡사한 동작. "비틀고 → (흉골을) 내어 밀고 → 떨구고"를 반복적으로 언급하면서 보여주고 있다.


□ 지르기

위에서 소개한 '흉골조작' 영상의 말미에 주먹을 지르는 동작이 잠시 나오는데, 日野晃의 지르기는 아래 영상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특히 1:08 이후 나오는 흉골조작을 활용한 지르기는 기천의 지르기와 일맥상통하는 측면이 있다.


'흉골조작'을 활용한 지르기


□ 흉골조작시 흉골의 운용방법

기천의 단배공 수련 이해에 참조할 수 있는 영상으로, 아래는 본 영상의 설명을 그대로 인용하여 소개해본다.

胸骨を引き上げ、背骨を伸ばします。

흉골을 끌어올림으로써 척추를 곧게 편다.

決して腰を反ったり、背中を力んだり、緊張させたり、背骨を伸ばそうと「意識」してはいけません。背骨を「意識」すると緊張してしまうので実は力はあまり出ません。

허리를 휘거나 등에 힘을 주거나 척추를 곧게 펴려는 '의식'을 하게 되면 긴장으로 인해 힘이 실리지 않게 된다.

背骨が伸びたままを感じます。背骨を緊張させないために日野武道研究所では「胸骨」を操作します。胸骨を引き上げ、結果背骨が伸びる、のです。

척추가 곧게 펴져 있다는 것을 느끼도록 한다. 척추가 긴장하지 않도록 흉골을 조작한다. 흉골을 끌어올려서 결과적으로 척추가 곧게 펴지도록 한다.  


□ '바르게 걷는 자세가 무도'

금번에 소개하는 영상 중 가장 참조하기 좋은 영상이다. 전체를 찬찬히 보는 것도 좋은데, 27:12 歩く姿が武 부분을 보면 바른 자세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 돌제비수

위에 소개한 영상을 통해 흉골조작에 대한 이해를 했다면 아래 돌제비수를 보는 눈이 한층 깊어졌을 것이다. 흉골조작에 유의하여 수련하도록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도는 것이 아름답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