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PORTFOLIO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현주 May 09. 2020

Van Gogh : Painted with words

편지로 읽는 반 고흐

극 다큐멘터리를 통해 고흐의 눈을 보며 그의 말을 들으니 고흐가 정말 살아서 말을 건네는 듯했다. 글로 고흐의 생애를 접했을 땐 그저 전설 속 인물처럼 느껴졌는데 카메라를 또렷이 바라보며 때로는 벅차오르게, 때로는 슬프게 말을 건네는 고흐의 모습을 보며 새삼스럽게도 고흐도 실제 삶을 살아갔던 한 사람이라는 게 느껴졌다. 특히 고흐의 그림 속 해바라기가 고갱이 자신과 함께 있길 바라는 마음에서 작업실을 꾸미기 위해 꽂아 놓은 꽃이라는 일화는 사람냄새가 났다고 해야 할까. 신화화되지 않은 고흐의 일상적 면모를 본 것 같았다. 작품은 정말 그의 삶으로부터 나왔다.

고흐는 스스로 귀를 자른 사건과 그의 정신질환 때문에 영화에 나온 말대로 ‘미치광이’ 화가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하지만 그의 생애를 지켜보면 그는 대체로 자신의 감정을 섬세히 다스릴 줄 알고, 연민을 갖고 있는 따뜻하고 다정한 모습을 보인다.  

한편으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아 가고 그림에 정말 자신의 생과 열정을 다 쏟았던 그가 대단하고도 절박해 보였다. 그런 고흐의 모습을 보며, 나는 그처럼 용감하게 내가 사랑하고 좋아하는 것을 위해 내 삶과 열정을 모조리 던질 수 있을까? 그렇게 솔직하게 내 감정을 표현하며 살 수 있을까? 하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게 됐다. 그럴 용기가 사실 아직 없지 않나 싶다. 그래서 지금껏 하고 싶은 일이 있음에도 지금 앉아 있는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새로운 길로 떠나지 못했다. 그 불안정과 고독을 온전히 마주하며 나아갈 자신이 없었다. 언젠가는 내 신념 앞에 솔직하고 용감해지길 바라본다. 

거의 일평생 홀로 그림을 그려오고 돈과 명예, 따스한 가정은 그의 곁에 없었다. 그가 정신질환을 앓고 난 후에는 누군가 곁에 있어도 함께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생애 마지막 즈음에 그린 그림들은 고흐의 거대한 고독과 외로움이 덕지덕지 묻어 있는 듯했다.


고흐는 그가 그린 농부처럼 정직하게 자신의 작품을 일구어갔다는 생각이 들었다. 세상의 트렌드를 눈치보면서 적당히 타협할 생각을 하지 않고 그림을 그려나간 것 같다. 오로지 자신의 감각, 감정에 충실하게 그리고 그 생각과 느낌을 자신의 열정을 다해 성실히 그림을 그렸다. 이제 그의 그림을 볼 때면, 고흐의 쓸쓸하고도 충실한 그의 얼굴이 떠오를 것 같다. 

매거진의 이전글 <죄 많은 소녀> 속 생활지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