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one cold day Jan 18. 2021

봄과 엄마와 김밥

부엌 매거진 vol.4 게재

봄기운이 코끝을 간질이기 시작할 때쯤이면 어김없이 어린 시절 소풍날이 떠오른다. 소풍 가는 날 아침이면 엄마는 새벽부터 일어나 도시락을 준비했다. 분주한 칼질 소리에 잠에서 깨 부엌으로 나가 보면 식탁 앞에서 열심히 김밥을 말고 있던 엄마가 환하게 웃는 얼굴로 “일어났어?” 하며 나를 반기고, 김에 바른 고소한 참기름 냄새는 아침 햇빛에 반사된 먼지와 함께 온 집안을 둥둥 떠다녔다.


소풍에 필요한 준비물을 챙기는 동안에도 집안 여기저기를 부유하며 내 뒤만 따라다니는 것 같던 참기름 냄새가 온 신경을 부엌으로 향하게 만들었다. 김밥집에서 파는 김밥 한 줄 사다 손에 들려 보내도 뭐라 할 사람 하나 없었을 텐데, 전날부터 온갖 재료를 준비해 도시락을 싸는 엄마의 모습은 왠지 모르게 들떠 보이기도 했다. 김밥을 써는 모습을 옆에 앉아 구경하고 있으면 엄마는 동그랗고 예쁜 김밥 하나를 집어 내 입에 넣어줬다.


어릴 땐 김밥에 꼬투리 없이 동그랗고 예쁜 부분만 있는 줄 알았다. 못생긴 꼬투리는 모두 엄마 차지였다는 걸 조금 더 크고 나서야 알았다. 어린이 요리책에 나온 쇠고기달걀튀김은 소풍 도시락의 단골 메뉴였다. 잘 삶은 달걀을 곱게 다진 쇠고기로 단단히 둘러싸고 튀김옷을 입혀 기름에 튀겨내는, 생각만해도 번거로운 요리다. “엄마, 나 이거 먹고 싶어!”라는 말 한마디에 엄마는 그 귀찮은 메뉴를 소풍날마다 만들어 도시락에 담아줬다. 알록달록한 3단 도시락의 1층엔 김밥이, 2층엔 쇠고기달걀튀김 같은 특별 메뉴가, 3층엔 과일이 가득했다.


친구들과 모여 앉아 엄마가 정성스레 싸준 도시락 뚜껑을 열 때면 절로 우쭐해지곤 했다. 소풍날 친구들 앞에서 도시락 뚜껑을 여는 일은 나에겐 늘 설레는 일이자 자랑이었다. 비단 소풍날 뿐 아니라 엄마는 마치 내 행복을 위해 사는 사람처럼 내가 먹고 싶다는 건 뭐든 만들어 주었다. 스치듯 혼잣말처럼 먹고 싶다 이야기한 음식조차 다음 날이면 밥상 위에 올라오곤 했을 정도다. 엄마는 가족을 위해 요리하는 일을 삶의 기쁨으로 여기는 것 같았다. 적어도 어릴 땐 그렇다고 생각했다. 엄마는 분명 부엌에 있는 걸 즐기는 거라고, 당신이 좋아하는 음식보다 가족이 좋아하는 음식을 만드는 일을 더 즐거워하는 거라고 말이다.


때때로 생각해보곤 한다. 그 시절 엄마의 부엌이 어떤 공간이었는지를. 새벽잠을 애써 떨쳐내며 정성껏 차려놓은 아침상을 쳐다 보지도 않고 집을 나서는 딸이 미워지는 날에도, 따뜻한 사과 한마디 건넬 줄 모르는 무뚝뚝한 남편과 부부싸움을 한 다음 날에도 엄마는 말없이 부엌에 서서 자식과 남편을 위해 요리를 했다. 가족이 모두 나가고 텅 빈 집을 홀로 지키던 엄마의 마음 한 편에 자리했을 외로움을, 애써 모른 척하며 살아오다 오늘에야 슬그머니 꺼내 들여다본다.


한 살 두 살 나이를 먹은 뒤에야 엄마가 무슨 음식을 좋아하는지 알게 됐다. 엄마는 내가 세상에서 가장 좋아하는 닭고기를 세상에서 가장 싫어하고, 아빠가 죽고 못 사는 생선회는 입에도 대지 못하며, 오빠가 열광하는 제육볶음은 평생 안 먹어도 살 수 있는 사람이었다. 하지만 가족 중 누구도 엄마의 기호에 대해 궁금해한 사람이 없었기에 엄마는 눈 감고도 닭 한 마리를 손질할 수 있고, 수준급 회 뜨는 실력을 지녔으며,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제육볶음 레시피를 보유한 사람이 됐다.


자장면이 싫다던 엄마의 말을 의심 없이 믿어버린 유행가 가사 속 어리석은 가족들처럼, 무심한 자식과 남편에 의해 엄마의 기호가 결정되던 시절이 우리 가족에게도 존재했다. 어느새 부쩍 자란 나는 이제 웬만한 요리는 엄마에게 만들어줄 수 있다. 온갖 번거로운 과정을 겪어가며 요리를 하다 보면 그 시절 엄마가 왜 가장 맛있고 고운 부분만 우리에게 양보했는지, 왜 동그랗고 예쁜 김밥만 내 입에 넣어줬는지 깨닫게 된다. 요리를 한다는 게 그런 것이었다. 곱고 예쁜 것만 내놓게 되는, 내가 만든 음식을 맛있게 먹어줬으면 하는 애틋한 마음. 누군가를 위해 요리를 한다는 것은 필연적으로 희생이 따르는 일이었다.


이제 다 자란 나는, 아니 아직도 자라야 할 마음이 많이 남은 나는 엄마의 마음이 이러이러했으리라 짐작만 해볼 뿐이다. 부엌에서 엄마의 도마 소리가 더 이상 들려오지 않는 날이 왔을 때, 나는 그시간들을 어떻게 견뎌내야 할지 가만히 생각해보곤 한다. 엄마가 만든 김치가 먹고 싶어지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엄마의 된장찌개가, 엄마가 맨손으로 꼭꼭 말아 싼 김밥이 먹고 싶어지면 어떻게 해야 할지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마땅한 답이 나오지 않는다.


소풍날의 도시락에 가득 눌러 담아주던 엄마의 사랑을 온전히 이해할 수 있는 날이 오긴 할까. 나는 잘 모르겠다. 이런 생각에 잠기는 날이면 어김없이 이근화 시인이 김밥에 대해 쓴 시 한 구절이 생각난다. 내용 그대로 제목까지도 ‘김밥에 관한 시’다.


“엄마 옆에 앉아 계란도 깨주고 깨소금도 뿌려주던 때가 있었다. 꼬투리 먹으면서 뭐 이렇게 맛있는게 있나 했는데 김밥 마는 날이면 새벽 네 시에 일어나던 엄마는 이제 다 늙어서 일곱 시 여덟 시까지 자도 된다. 김밥이 그립듯 엄마가 그리우면 속이 정말 아플 것이다. 그럴 것이다.”


엄마는 가끔 내가 좋아하는 음식만 식탁 위에 가득 차려놓으며 “엄마밖에 없지?” 하고 묻는다. “응, 엄마밖에 없어.” 내 대답에 엄마는 세상을 다 얻은 사람처럼 웃는다.

작가의 이전글 '지나온 일을 쓰고 싶어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